허준이
허준이
June Huh | |
2018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의 허준이. | |
출생 | 1983년 6월 9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 (41세)
---|---|
국적 | 미국 |
출신 학교 | |
주요 업적 | 대수기하학을 조합론 문제에 응용 |
수상 |
|
분야 | 수학 |
소속 |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
박사 지도교수 | 미르체아 무스타처(Mircea Mustață) |
허준이(許埈珥, 영어: June E Huh 준이 허[*]; 1983년 6월 9일~)는 한국계 미국인 수학자이다.[1]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 석학교수이다. 2022년에 필즈상과 맥아더 펠로십(MacArthur Fellowship)을 받았다.
생애
[편집]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퍼드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 중이던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전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허명회이다. 2살 때 귀국하여 대한민국에서 초등학교, 중학교를 졸업했으나 고등학교는 중퇴했다.
2002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여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하였고, 2009년 동 대학에서 히로나카 헤이스케 교수와 김영훈 교수의 지도 하에 수리과학부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하였다가 미시간 대학교로 옮겨 미르체아 무스타처 교수의 지도 하에 2014년 박사학위를 취득했다.[2][3]
업적
[편집]대수기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 조합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09년 박사과정 중에 증명한 리드 추측을 비롯하여, 호가 추측, 메이슨-웰시 추측 등 10여 개의 조합론의 추측을 증명하였다.[4] 리드 추측은 그래프의 꼭지점 채색 문제에서 꼭지점을 색칠하는 방법의 개수를 색의 수를 변수로 하는 채색 다항식으로 나타냈을 때, 항의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산봉우리 모양을 띌 것이라는 추측이었다.[5]
가장한 간단한 구조인 삼각형의 꼭짓점을 칠하는 경우의 채색 다항식은
이며, 계수의 절대값은 1, 3, 2이다. 1968년 제기된 이 추측을 2012년 박사과정 재학 중 대수기하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증명하였다.[5]
2015년 리드 추측을 확장한 헤론-로타-웰시 추측을 카림 아디프라시토 코펜하겐 대학교 교수와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와 공동으로 해결하였다.[5]
전문가들은 허준이 교수가 수학적 대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통적인 대수적 구조인 코호몰로지를 기하학과 대수학 뿐 아니라 조합론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본다.[5] 허준이의 석사과정 지도교수였던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의 우주 사이에 웜홀을 만들어 연결한 것"이라고 논평하였다.[5]
필즈상 수상
[편집]허준이는 아래의 업적을 이유로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2022년 필즈상을 수상하였다.[1]
- 호지 이론을 조합론에 끌어옴
- 기하적 격자에서 Dowling-Wilson 추측의 증명
- 매트로이드에서 Heron-Rota-Welsh 추측의 증명
- Lorentzian 다항식의 개발
- 강한 Mason 추측의 증명
길 칼라이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교수가 허준이의 업적을 소개하는 16쪽 분량의 헌사를 작성하였다.[6]
2006년 필즈상 수상자인 안드레이 오쿤코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가 허준이의 업적을 대중에게 알리는 43쪽 분량의 "Combinatorial geometry takes the lead"을 작성하였다.[7] 허준이 본인은 27쪽 분량의 프로시딩스 페이퍼 "Combinatorics and Hodge theory"를 썼다.[8]
학력
[편집]-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9]
- 서울대학교 학사 졸업 (수리과학부, 물리천문학부 복수전공) (2007)[10]
-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석사 졸업 (2009)
- 미시간 대학교 수학과 박사 졸업 (2014)[11][4]
경력
[편집]- 클레이 수학연구소 "클레이 펠로"(2014~2019)[12]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프린스턴 대학교 "베블런 펠로"(2014~2017)
- 한국 고등과학원 스칼라, 교수(2015~현재)[13]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방문교수(2017~2019)
- 프린스턴 대학교,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펀홀츠 방문교수"(2019~2020)
- 스탠포드 대학교 수학과 교수(2020~2021)
- 프린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2021~)
수상
[편집]- 미시건 대학교 섬너 마이어스 박사학위논문 상(2014)[14]
- 미시건 대학교 https://aadl.org/buildings_hhaa012 콘웰 상(2014)
- 블라바트니크 젊은 과학자상(2017)[15],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 세계 수학자 대회 (리우데자네이루) 초청 강연(2018)[16][17]
- 뉴 호라이즌 수학상(2019)[18]
- 삼성호암상 과학상(2021)[19]
- 필즈 상(2022)[1]
- 맥아더 상(2022)
- 자랑스러운 서울대인(2022)
각주
[편집]- ↑ 가 나 다 “June Huh's CV” (pdf).
- ↑ Hartnett, Kevin (2017년 6월 27일).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영어). 2022년 7월 6일에 확인함.
- ↑ “June Huh, High School Dropout, Wins the Fields Medal” (영어). 2022년 7월 5일. 2022년 7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Hartnett, Kevin (2017년 6월 27일). “A Path Less Taken to the Peak of the Math World”. 《Quanta Magazine》 (영어). 2018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문다영 (2022년 7월 5일). “"수학 우주에 '조합론'과 '대수기하' 잇는 웜홀 만들어"”. 《연합뉴스》.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
- ↑ Kalai, Gil (July 2022). “The Work of June Huh” (PDF).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2022w》.
- ↑ Okounkov, Andrei (2022년 7월 8일). “Combinatorial geometry takes the lead” (영어). arXiv:2207.03875 [math.HO].
- ↑ June Huh. “Combinatorics and Hodge theory” (PDF). 2022년 8월 9일에 확인함.
- ↑ 조가현; 최영준 (2014).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디라이브러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물리학과에 02학번으로 입학했다. 2006년에 물리학과와 천문학과가 물리천문학부로 통합되었다.
- ↑ 2009년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수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였다가 2011년에 미시간 대학교로 옮겼다.
- ↑ https://www.claymath.org/people/june-huh
- ↑ “보관된 사본”. 2019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https://prod.lsa.umich.edu/math/graduates/StudentAwards.html
- ↑ “보관된 사본”. 2019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20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1월 10일에 확인함.
- ↑ https://www.youtube.com/watch?v=ceGEZdjnxRw
- ↑ “Breakthrough Prize – Mathematics Breakthrough Prize Laureates – June Huh” (영어). 2022년 3월 23일에 확인함.
- ↑ “삼성호암상 역대 수상자”. 《호암재단》. 2022년 7월 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