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소붙이과
보이기
군소붙이과 | ||
---|---|---|
Pleurobranchus forskalii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연체동물문 | |
강: | 복족강 | |
(미분류): | 이새류 | |
(미분류): | 직신경류 | |
(미분류): | 나측류 | |
(미분류): | 군소붙이류 (Pleurobranchomorpha) | |
상과: | 군소붙이상과 (Pleurobranchoidea) Gray, 1827 | |
과: | 군소붙이과 (Pleurobranchidae) Gray, 1827[1][2] | |
모식종 | ||
Pleurobranchus | ||
Cuvier, 1804 | ||
학명이명 | ||
Bathyberthellini | ||
아과 | ||
|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는 바다 민달팽이과의 하나이다. 해양 복족류 연체동물이다.
군소붙이과의 종들은 눈에 띠는 외투막, 그리고 성체가 되면 줄어들거나 사라지는 내부의 껍질을 지니고 있다.[3] 일부 다 자란 종들은 해초류를 먹이로 취한다. 유생 단계의 군소붙이류는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지만, 난황영향형(lecithotrophic, 난황(yolk)으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는) 유생 과정 또는 간접 발달 과정을 거치며, 많은 종들이 외부의 약탈자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한 화학 물질로써, 살진 분비선 외투막을 통해 분비액을 분비한다.[4] 심지어 일부 종은 황산을 분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5]
분류
[편집]최근까지 군소붙이과를 배순아목(Notaspidea)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2005년 부쉐와 로크루아의 복족류 분류는 군소붙이과를 나측류의 일부이며, 나새류의 자매군인 군소붙이류(Pleurobranchomorpha)에 속하는 유일한 상과인 군소붙이상과(Pleurobranchoidea)로 분류했다.
- 군소붙이상과(Pleurobranchoidea)
-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
- Pleurobranchinae Gray, 1827
- Bathyberthella
- Berthella de Blainville, 1824
- Berthellina Gardiner, 1936
- Bouvieria Vayssière, 1896
- Euselenops Pilsbry, 1896
- Gigantonotum
- Gymnotoplax Pilsbry, 1896
- Oscanius Leach, 1847
- Parabathyberthella
- Pleuredhera
- Pleurobranchella
- Pleurobranchus Cuvier, 1805
- Polictenidia
- Susania
- Tomthompsonia
- Pleurobranchaeinae
- Pleurobranchaea
- Pleurobranchinae Gray, 1827
- 군소붙이과(Pleurobranchidae)
각주
[편집]- ↑ Menke, C.T. (1828). 《Synopsis methodica molluscorum generum omnium et specierum earum quae in museo Menkeano adservantur》. Pyrmonti: Uslar. 91쪽.
- ↑ Encyclopaedia metropolitana, Volume 7, Plates to Zoology; plate Mollusca III (plate 4)
- ↑ R. Willan (1987).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with a reappraisal of families and genera”. 《AM; Malacol. Bull.》 5: 215–241.
- ↑ Aldo Spinella, Ernesto Mollo, Enrico Trivellone and Guido Cimino (December 1997). “Testudinariol A and B, two unusual triterpenoids from the skin and the mucus of the marine mollusc Pleurobranchus testudinarius”. 《Tetrahedron》 53 (49): 16891–16896. doi:10.1016/S0040-4020(97)10124-7. 2019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2월 29일에 확인함.
- ↑ T. Thompson (1988). “Acidic allomones in marine organisms”. 《J. Mar. Biol. Assoc. UK》 68 (3): 499–517. doi:10.1017/S002531540004336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