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환
국소환(局所環, 영어: local ring)은 수학의 추상대수학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성질을 갖는 환의 일종으로, 기하학적으로 국소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국소대수학(영어: local algebra)은 가환 국소환과 그 위의 가군을 다루는 가환대수학의 세부 분야이다.
정의
[편집]환 에 대하여 다음 성질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환을 국소환이라 한다.
- 극대 왼쪽 아이디얼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극대 오른쪽 아이디얼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자명환이 아니며, 임의의 에 대하여, 와 둘 다 가역원이 아니라면 또한 가역원이 아니다.
- 자명환이 아니며, 임의의 원소 에 대해 가 가역원이거나, 아니면 가 가역원이다. (즉, 는 양쪽 아이디얼을 이룬다.)
- 유한 개의 원소의 합이 가역원이면 그 합의 항들 중에 가역원이 있다. (이 경우 0개의 원소들의 합은 0이며, 따라서 0은 가역원이 아니며, 특히 1≠0이다.)
위의 성질들이 성립하면 유일한 극대 왼쪽 아이디얼과 극대 오른쪽 아이디얼 및 제이컵슨 근기가 전부 일치한다.
가환환에서는 좌우의 구분이 없으므로, 가환환이 국소환일 필요충분조건은 극대 아이디얼이 유일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일부 저자들은 국소환을 정의할 때 (왼쪽과 오른쪽 모두) 뇌터 환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추가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유사 국소환”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이를 적용시키지 않는다.
국소환 준동형
[편집]두 국소환 , 사이의 국소환 준동형(영어: local homomorphism) 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 은 환 준동형이다.
- 이다.
국소환들과 국소환 준동형들은 범주를 이룬다.
성질
[편집](비가환일 수 있는) 국소환 에 대하여, 몫환 은 항상 나눗셈환이다. 만약 가 추가로 가환환이라면, 몫환 은 체이다.
국소환은 다음 연산에 대하여 닫혀 있다.
가군
[편집]임의의 (비가환일 수 있는) 국소환 위의 (유한 생성 가군이 아닐 수 있는) 사영 가군은 항상 자유 가군이다. 이는 어빙 커플랜스키가 증명하였다.
표수
[편집]가환 국소환의 표수는 0이거나 (1이 아닌) 소수의 거듭제곱이다. 구체적으로, 가환 국소환 가 주어졌을 때, 와 의 표수는 다음 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여기서 는 임의의 소수를 뜻한다.
국소환 의 표수 | 잉여류체 의 표수 | 에 포함된 체 |
---|---|---|
0 | 0 | |
p | p | |
0 | p | (없음) |
pk (k ≥ 2) | p | (없음) |
인 경우를 동표수 국소환(同標數-, 영어: equicharacteristic local ring)이라고 하며, 아니면 형의 혼합 표수 국소환(영어: mixed characteristic local ring)이라고 한다. 가 동표수 국소환인 것은 가 어떤 체를 부분환으로 포함하는 것과 동치이다.
분류
[편집]모든 가환 국소환은 완비화를 가하여 완비 국소환으로 만들 수 있으며, 뇌터 조건 아래 코언 구조 정리(영어: Cohen structure theorem)라는 분류가 존재한다.
가환 국소환 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의 에서의 국소화 역시 국소환이다. 이렇게 얻어진 국소환을 가환 완비 국소환이라고 한다. 가 정칙환인 것은 가 정칙환인 것과 동치이다. 의 표수는 의 표수와 같으며, 의 잉여류체는 의 잉여류체 와 같다.
가환 완비 국소환 의 계수환(영어: coefficient ring)은 다음 성질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부분환 이다.
계수환은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뇌터 가환 완비 국소환 가 주어졌을 때, 코언 구조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 는 적어도 하나의 계수환 를 갖는다.
- 만약 가 동표수 국소환이라면, 이게 놓을 수 있다.
- 만약 이 개의 원소 로 생성되는 유한 생성 아이디얼이라면, 가 되는 -아이디얼 이 존재한다.
여기서
- 은 계수의 개의 변수에 대한 형식적 멱급수환이다.
예
[편집]가환환 의 임의의 소 아이디얼 에서의 국소화 는 국소환이다.
모든 나눗셈환은 국소환이다. (이 경우 영 아이디얼은 유일한 진 왼쪽 아이디얼이자 진 오른쪽 아이디얼이다.)
비가환 국소환의 예
[편집](비가환환일 수 있는) 환 위의 왼쪽 가군 의 자기 사상환 이 국소환이라면, 은 분해 불가능 가군이다. 반대로, 만약 이 유한한 길이를 가지며 분해 불가능 가군이라면, 자기 사상환 은 (비가환환일 수 있는) 국소환이다.
양의 표수 의 체 및 p-군 가 주어졌을 때, 군환 는 국소환이다.
반례
[편집]체 위의 2×2 행렬환 은 유일한 (극대) 양쪽 아이디얼 을 가지지만, 극대 왼쪽 아이디얼 또는 극대 오른쪽 아이디얼은 유일하지 않으며, 따라서 국소환이 아니다.
응용
[편집]대수기하학에서는 (가환) 국소환들이 자주 등장하며, 이는 보통 가환환을 소 아이디얼에서 국소화하여 얻어진다.
국소환을 아핀 스킴으로 여기면, 자리스키 위상에서 극대 아이디얼들은 닫힌 점들에 대응하므로, 국소환은 정확히 하나만의 닫힌 점을 포함하는 아핀 스킴이다. 즉, 이 점의 근방 위의 함수환으로 여길 수 있다. 실제로, 일반적 스킴을 임의의 점 (소 아이디얼)에서 국소화하면, 그 점 근방만의 정보를 담고 있는 국소환을 얻는다. 즉, 국소환은 자리스키 위상에서의 스킴의 줄기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니스네비치 위상에서의 줄기는 헨젤 국소환이며, 에탈 위상에서의 줄기는 순 헨젤 국소환이다.
역사
[편집]국소환의 개념은 볼프강 크룰이 1938년에 독일어: Stellenring 슈텔렌링[*](위치환)이라는 명칭으로 도입하였다.[1] "국소환"이라는 명칭은 오스카 자리스키가 도입하였다.[2]
코언 구조 정리는 어빈 솔 코언이 도입하였다.[3] (코언의 논문이 집필되었을 당시 "국소환"(영어: local ring)이라는 용어는 항상 뇌터 국소환을 의미하였다.)
역사적으로, 1960년대 이전까지는 "국소환"이라는 개념에는 왼쪽 뇌터 환이자 오른쪽 뇌터 환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첨가되었으며, 뇌터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준국소환"(영어: quasilocal ring)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뇌터 조건이 생략되었다.
각주
[편집]- ↑ Krull, Wolfgang (1938년 1월). “Dimensionstheorie in Stellenringen”.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938 (179): 204–226. doi:10.1515/crll.1938.179.204.
- ↑ Zariski, Oscar (1943). “Foundations of a general theory of birational correspondenc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3 (3): 490-542. doi:10.1090/S0002-9947-1943-0008468-9.
- ↑ Cohen, Irvin Sol (1946). “On the structure and ideal theory of complete local ring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9: 54–106. doi:10.2307/1990313. ISSN 0002-9947. MR 0016094.
- Serre, Jean-Pierre (2000). 《Local algebra》.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10.1007/978-3-662-04203-8. ISBN 978-3-642-08590-1. ISSN 1439-7382.
같이 보기
[편집]외부 링크
[편집]- “Local ring”.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Local ring”.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Local ring”. 《nLab》 (영어).
- “Local ring”.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Noetherian local ring”.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Regular local ring”.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Generalized local ring”.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Local Noetherian domain”.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Local Cohen-Macaulay domain”. 《Commalg》 (영어). 2016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21일에 확인함.
- “Definition: local ring”. 《ProofWiki》 (영어). 2012년 5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
- “Characterisation of local rings”. 《ProofWiki》 (영어). 2015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