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 (식물)
보이기
관동 | |
---|---|
관동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아과: | 국화아과 |
족: | 금방망이족 |
아족: | 관동아족 |
속: | 관동속(Tussilago) L. |
종: | 관동 |
학명 | |
Tussilago farfara | |
L.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관동(款冬, 학명: Tussilago farfara 투실라고 파르파라[*])은 국화과 관동속(款冬屬, 학명: Tussilago 투실라고[*])에 속하는 유일한 식물이다.
분포
[편집]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및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2] 동아시아(중국), 중앙아시아(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아프가니스탄, 인도), 서남아시아(레바논, 시리아, 이란, 터키), 캅카스(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동남유럽(그리스, 루마니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동유럽(라트비아, 러시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벨라루스, 에스토니아, 우크라이나), 북유럽(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페로 제도, 핀란드), 서유럽(네덜란드, 벨기에, 영국), 중앙유럽(독일, 스위스,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헝가리), 남유럽(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북아프리카(모로코, 알제리)가 원산지이다.[2]
사진 갤러리
[편집]각주
[편집]- ↑ “Tussilago farfara L.”. 《플랜트 리스트》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2월 11일.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Tussilago farfara L.”. 《GRIN-Global Web v 1.10.3.6》 (영어). 미국 농무부. 2011년 5월 9일. 2018년 12월 6일에 확인함.
이 글은 국화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그리스의 식물상
- 금방망이족
- 네덜란드의 식물상
- 노르웨이의 식물상
- 뉴질랜드의 식물상
- 덴마크의 식물상
- 독일의 식물상
- 라트비아의 식물상
- 러시아의 식물상
- 레바논의 식물상
- 루마니아의 식물상
- 리투아니아의 식물상
-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
- 모로코의 식물상
- 몬테네그로의 식물상
- 몰도바의 식물상
- 미국의 식물상
- 벨기에의 식물상
- 벨라루스의 식물상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식물상
- 불가리아의 식물상
- 세르비아의 식물상
- 스웨덴의 식물상
- 스위스의 식물상
- 스페인의 식물상
- 슬로바키아의 식물상
- 슬로베니아의 식물상
- 시리아의 식물상
- 아르메니아의 식물상
- 아이슬란드의 식물상
- 아제르바이잔의 식물상
- 아프가니스탄의 식물상
- 알바니아의 식물상
- 알제리의 식물상
- 에스토니아의 식물상
- 영국의 식물상
- 오스트리아의 식물상
- 우즈베키스탄의 식물상
- 우크라이나의 식물상
- 이란의 식물상
- 이탈리아의 식물상
- 인도의 식물상
- 조지아의 식물상
- 중국의 식물상
- 체코의 식물상
- 카자흐스탄의 식물상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캐나다의 식물상
- 크로아티아의 식물상
- 키르기스스탄의 식물상
- 키프로스의 식물상
- 타지키스탄의 식물상
- 튀르키예의 식물상
- 투르크메니스탄의 식물상
- 페로 제도의 식물상
- 폴란드의 식물상
- 프랑스의 식물상
- 핀란드의 식물상
- 헝가리의 식물상
- 1753년 기재된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