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터룬드 1-75

제단자리의 항성

좌표: 하늘 지도 16h 47m 08.93s, −45° 49′ 58.45″

웨스터룬드 1 W75 또는 Wd 1-75웨스터룬드 1 초성단에 위치한 적색초거성이다. 반경은 약 668 태양 반경(4.65 × 108km, 3.10au)으로 계산되는데[6] 이는 태양보다 2억 9,800만 배 더 큰 부피에 해당하며 태양계 중심에 배치되면 소행성대의 안쪽 끝부분까지 삼킬 것이다.

웨스터룬드 1-75
Westerlund 1-75
웨스터룬드 1 초성단, 웨스터룬드 1-75의 위치는 동그라미로 표시.
출처: ESO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분점 J2000
별자리 제단자리
적경 16h 47m 08.92s[1]
적위 -45° 49′ 58.5″[1]
겉보기등급 (V) 16.7
특성
진화 단계 적색초거성
스펙트럼 종류 M1[2] - M4Ia[3]
겉보기등급 (J) 6.933[4]
겉보기등급 (H) 4.673[4]
겉보기등급 (K) 3.28[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Rv)−50.6±2.9[1] km/s
고유운동 (μ) RA: −2.029[1] mas/yr
Dec.: −4.248[1] mas/yr
연주 시차 (π)0.0893 ± 0.1477 mas[1]
거리4,120+660
−330
[5] pc
상세
반지름722±36[2] R
광도120,000±14,000[2] L
유효온도3,600[6] - 4,000[2] K
천체 명칭
웨스터룬드 1 BKS E, 2MASS J16470892-4549585, Gaia DR3 5940199877892579584
데이터베이스 자료
SIMBAD데이터
웨스터룬드 1-75와 웨스터룬드 1 성단에 있는 다른 3개의 적색초거성과의 비교.

이 별은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방출하는[7] 밝고 차가운 초거성으로 분류되며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의 우상단 부분을 차지한다. 웨스터룬드 1-75의 반경은 3,600K의 유효온도,[6] 68,000L복사광도[6] 및 5,772K의 태양의 유효온도를[8] 사용하여 슈테판-볼츠만 법칙을 사용해 668 R으로 계산될 수 있다.[a]

웨스터룬드 1-20, 웨스터룬드 1 W26웨스터룬드 1-237과 마찬가지로 웨스터룬드 1-75는 전파원으로 관찰되었지만 성단의 적색초거성 중 가장 약하고 어떤 파장대에서도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9]

웨스터룬드 1-75는 확장된 성운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전형적인 적색초거성 주변의 성운보다는 덜 거대한 것으로 보인다.[10]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내용주
  1.  
참조주
  1. Vallenari, A.; 외. (Gaia collaboration) (2023). “Gaia Data Release 3. Summary of the content and survey properti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674: A1. arXiv:2208.00211. Bibcode:2023A&A...674A...1G. doi:10.1051/0004-6361/202243940. S2CID 244398875.  이 출처의 Gaia DR3 기록 at VizieR.
  2. Arévalo, Aura (2019). 《The Red Supergiants in the Supermassive Stellar Cluster Westerlund 1》 (학위논문). doi:10.11606/D.14.2019.tde-12092018-161841. 
  3. Clark, J. S.; Ritchie, B. W.; Negueruela, I. (2010). “A serendipitous survey for variability amongst the massive stellar population of Westerlund 1”.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4: A87. arXiv:1003.5107. Bibcode:2010A&A...514A..87C. doi:10.1051/0004-6361/200913820. S2CID 14780809. 
  4. Cutri, Roc M.; 외. (2003). “VizieR Online Data Catalog: 2MASS All-Sky Catalog of Point Sources (Cutri+ 2003)”.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46: II/246. Bibcode:2003yCat.2246....0C. 
  5. Beasor, Emma R.; Davies, Ben; Smith, Nathan; Gehrz, Robert D.; Figer, Donald F. (2021). “The Age of Westerlund 1 Revisited”. 《The Astrophysical Journal》 912 (1): 16. arXiv:2103.02609. Bibcode:2021ApJ...912...16B. doi:10.3847/1538-4357/abec44. S2CID 232110879. 
  6. Fok, Thomas K. T.; Nakashima, Jun-Ichi; Yung, Bosco H. K.; Hsia, Chih-Hao; Deguchi, Shuji (2012). “Maser Observations of Westerlund 1 and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n Maser Properties of Red Supergiants Associated with Massive Clusters”. 《The Astrophysical Journal》 760 (1): 65. arXiv:1209.6427. Bibcode:2012ApJ...760...65F. doi:10.1088/0004-637X/760/1/65. S2CID 53393926. 
  7. “Cl* Westerlund 1 W 75”. 《Simbad》. 
  8. Williams, D. R. (2013). “Sun Fact Sheet”. 
  9. Dougherty, S. M.; Clark, J. S.; Negueruela, I.; Johnson, T.; Chapman, J. M. (2010년 2월 1일). “Radio emission from the massive stars in the galactic super star cluster Westerlund 1”. 《Astronomy & Astrophysics》 (영어) 511: A58. arXiv:0912.4165. Bibcode:2010A&A...511A..58D. doi:10.1051/0004-6361/200913505. ISSN 0004-6361. 
  10. Andrews, H.; Fenech, D.; Prinja, R. K.; Clark, J. S.; Hindson, L. (2018). “Asymmetric ejecta of cool supergiants and hypergiants in the massive cluster Westerlund 1”.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Letters》 477 (1): L55–L59. arXiv:1803.07008. Bibcode:2018MNRAS.477L..55A. doi:10.1093/mnrasl/sly046. S2CID 53640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