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 기병

Camel cavalry
1915년 제1차 세계 대전제1차 수에즈 공세 때 비에르셰바의 오스만 낙타 부대.

낙타 기병 또는 낙타 기병은 낙타를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는 군대를 총칭한다.때때로 이런 유형의 전사나 군인들도 낙타로부터 창, 또는 소총을 들고 싸웠습니다.

낙타 기병은 중동의 역사를 통틀어 사막 전쟁에서 흔한 요소였는데, 부분적으로 낙타 기병의 높은 적응력 때문이다.그들은 전통적기병들의 말보다 건조하고 물이 없는 환경에서 일하고 생존하기에 더 적합한 이동 요소를 제공했습니다.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낙타 냄새는 말을 놀라게 하고 방향을 흐트러뜨리게 하여 아케메네스족 페르시아인들이 [1][2]심브라 전투에서 사용했을 때 낙타를 효과적인 반카발리 무기로 만들었다.

초기 역사

1825년 인도 비하르푸르비야 낙타 타는 사람

낙타를 군사 동물로 사용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853년 카카르 전투에서 무려 1000마리의 낙타를 고용했다고 알려진 아랍 긴디부에 의해 기록되었다.이후 페르시아키루스 대왕리디아크로수스 사이에 벌어진 기원전 547년 팀브라 전투의 예가 있다.크세노폰에 따르면, 키루스의 기병은 6대 1로 수적으로 우세했다.그의 장군들 중 한 명으로부터 리디아 말들이 낙타로부터 도망쳤다는 정보에 따라, 사이러스는 그의 수하물 훈련에서 나온 낙타들을 무장을 한 기수들과 함께 임시 낙타 부대로 편성했다.기술적으로 기병으로 고용되지는 않았지만, 낙타의 냄새와 모습은 리디아 기병대의 기병을 패닉시키고 전투를 키루스로 [3]바꾸는데 결정적이었다.

60여 년 후,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 1세는 2차 페르시아 침공 기간 동안 많은 아랍 용병들을 그의 거대한 군대에 영입했는데, 그들 모두는 활을 차고 낙타를 탔다.헤로도토스는 리비아 기마병을 포함한 아랍 낙타는 총 병력 2만 명에 달한다고 말했다.아라비아와 시리아의 유목민 부족에 대항해 고용된, 페르시아 군대에서 일하는 낙타 기마 용병들은 교전 궁수로서 싸웠고, 때로는 [4]낙타에게 두 마리씩 타기도 했다.

헤로디언에 따르면, 파르티아아르타바누스 4세는 창(콘토스)을 차고 [5]낙타를 타는 중무장 병사들로 구성된 부대를 고용했다.

로마 제국은 2세기 [6]동안 아라비아 국경을 따라 현지에서 징집된 낙타 기수를 이용했다.그 중 첫 번째는 팔미라에서 트라야누스 황제 밑에서 모집된 알라 1세 울피아 드로모에다리오룸 팔미레노룸이었다.아랍 낙타 부대 또는 드로메다리는 로마 제국 말기에 호위, 사막 경비, 정찰 [7]임무를 위해 고용되었다.

이슬람 이전의 시대와 이슬람 정복

낙타는 아라비아 [8]반도의 이슬람 이전 문명에서 군사용 기마로 사용되었다.서기 1세기 나바테아군과 팔미렌군은 아라비아계 [9]유목민 부족에서 모집한 낙타 탄 보병과 궁수들을 고용했다.전형적으로 그러한 부담금은 낙타에서 [10]내려서 싸우기 보다는 걸어서 싸운다.무함마드와 그의 [11]추종자들이 처음 활동할 때 낙타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그 후, 아랍인들은 이슬람 [12]정복 기간 동안 그들의 사산 적들과 비잔틴 적들을 따돌리기 위해 낙타 탄 보병을 이용했다.

근대

낙타를 위한 샤프론(머리 방어) (터키, 아마도 17세기)

나폴레옹이집트와 시리아에서의 프랑스 원정을 위해 낙타 부대를 고용했다.19세기 후반과 20세기 대부분 동안 낙타 부대는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 식민지 군대에서 사막 경비와 순찰 업무에 사용되었다.

1930년대 소말리아의 이탈리아 두바트

그러한 부대의 후손들은 여전히 현대 모로코, 이집트 군대와 인도 준군사조직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영국 사무소의 이집트 낙타 [13]부대는 1898년 옴두르만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기간 동안 이 기마 부대가 세트피스 전투에서 상당한 수의 기마 부대가 참여한 몇 안 되는 사건들 중 하나이다.오스만 육군은 1차 세계대전 이전과 기간 동안 예멘과 헤자즈 군단의 일부로 낙타 중대를 유지했습니다.

이탈리아인들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주로 국경 순찰에 두바트 낙타 부대를 소말리아 이탈리아나에서 사용했다.이들 두바트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기간인 1935-1936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 오가덴을 정복하는 데 참여했다.

스페인령 모로코의 식민지 당국은 주로 1930년대부터 1956년까지 모로코 북부 지역에서 지역적으로 모집된 낙타 부대를 국경 순찰에 사용했다.Tropas Nomades del Sahara의 일부를 형성한 이 낙타 기마 부대들은 1936-1939년 스페인 내전에서 제한된 지역 역할을 했다.;[14]

낙타는 여전히 요르단 사막 [15]순찰대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인도의 준군사 국경경비대비카너 낙타 부대도 낙타를 보유하여 국경 순찰에 사용하고 있다.

매년 열리는 공화국의 날 퍼레이드 중 인도의 국경경비대 카메엘 부대.
정찰 임무에서 낙타는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여기에서는, 에리트레아에서 순찰하고 있는, 이디오피아 유엔대표부와 에리트레아 평화유지군이 있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erodotus (440 BC). The History of Herodotus. Rawlinson, George (trans.). Retrieved 4 December 2012. He collected together all the camels that had come in the train of his army to carry the provisions and the baggage, and taking off their loads, he mounted riders upon them accoutred as horsemen. These he commanded to advance in front of his other troops against the Lydian horse; behind them were to follow the foot soldiers, and last of all the cavalry. When his arrangements were complete, he gave his troops orders to slay all the other Lydians who came in their way without mercy, but to spare Croesus and not kill him, even if he should be seized and offer resistance. The reason why Cyrus opposed his camels to the enemy's horse was because the horse has a natural dread of the camel, and cannot abide either the sight or the smell of that animal. By this stratagem he hoped to make Croesus's horse useless to him, the horse being what he chiefly depended on for victory. The two armies then joined battle, and immediately the Lydian war-horses, seeing and smelling the camels, turned round and galloped off; and so it came to pass that all Croesus' hopes withered away.
  2. ^ "Cameliers and camels at war". New Zealand History online. History Group of the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30 August 2009. Retrieved 5 December 2012.
  3. ^ 짐 힉스, 타임 라이프 북스, 1975년, 21페이지 "The Persians"
  4. ^ Cassin-Scott, Jack (June 1977). The Greek and Persian Wars 500-323 BC. p. 34. ISBN 0-85045-271-6.
  5. ^ 안티오키아의 헤로데안, 로마 제국의 역사 (1961) 페이지 108-134. 제4권제14장
  6. ^ D'Amato, Rafaele (23 May 2017). Roman Army Units in the Eastern Provinces (1). p. 41. ISBN 978-1-4728-2176-8.
  7. ^ Esposito, Gabriele (3 May 2016). The Late Roman Army. p. 85. ISBN 978-0-9963657-9-6.
  8. ^ Nicolle, David (26 March 1991). Rome's Enemies 5. The Desert Frontier. pp. 20 & 21. ISBN 1-85532-166-1.
  9. ^ Rocca, Samuel (24 November 2009). The Army of Herod the Great. p. 46. ISBN 978-1-84603-206-6.
  10. ^ Nicolle, David (26 March 1991). Rome's Enemies 5. The Desert Frontier. pp. 34 & 37. ISBN 1-85532-166-1.
  11. ^ Mubarakpuri, Saifur Rahman Al (2005),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Darussalam Publications, p. 246, ISBN 978-9960-899-55-8
  12. ^ Nicolle, David. The Armies of Islam 7th-11thm Centuries. p. 11. ISBN 085045-448-4.
  13. ^ Tauris, I. B. (28 April 2016). Kitchener. Hero and Anti-Hero. pp. 84–85. ISBN 978-1-78453-350-2.
  14. ^ 호세 M.부에노, 155-156페이지, Uniformes Militares de la Guerra Civil Espanola, 라이베리아 편집자 산 마르틴, 마드리드 1971
  15. ^ 요르단의 베두인 '사막의 힘' - 중동 - 알자지라 영어 20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