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해부술)

Appendix (anatomy)
부록
Appendix locations.svg
맹장 위치의 가변성이 있는 결장 도면(정면에서 볼 때)
Gray536.png
맹장 및 충수 동맥(오른쪽 하단에 '충돌기'로 표시된 부록)
세부 사항
전구체미드굿
시스템.소화기 계통
동맥충수동맥
정맥충수정맥
식별자
라틴어부록 버미폼리스
메쉬D001065
TA98A05.7.02.007
TA22976
FMA14542
해부학 용어
회장 접합부(부록은 파란색으로 표시됨)

충수(또는 충수, 맹장, 맹장)는 맹장과 연결된 손가락 모양의 블라인드 엔드 튜브로 배아에서 발달합니다.맹장은 소장과 대장의 접합부에 위치한 대장의 주머니 같은 구조입니다."버미폼"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에서 왔고 "벌레 모양"을 의미합니다.부록은 흔적으로 여겨지곤 했지만, 이 관점은 지난 수십 [clarify][1]동안 바뀌었다.연구에 따르면 맹장이 중요한 목적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특히, 그것은 유익한 장내 박테리아를 위한 저장고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조.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장골동맥과 복벽 사이의 정상적인 맹장이 보입니다

인간의 맹장은 평균 길이가 9cm(3.5인치)이지만 5~35cm(2.0~13.8인치)의 범위가 있습니다.충수의 직경은 6mm(0.24인치)이며, 6mm(0.24인치)를 초과하면 충수가 두꺼워지거나 염증이 생긴 것으로 간주됩니다.지금까지 제거된 맹장 중 가장 긴 [2]맹장은 26cm(10인치)였습니다.충수는 보통 복부의 오른쪽 아래 사분면에 있으며 오른쪽 엉덩이 뼈 근처에 있습니다.충수의 밑부분은 대장과 소장을 분리하는 회장판 아래에 2cm(0.79인치) 있습니다.복부 내의 위치는 맥버니의 점으로 알려진 표면의 한 점에 해당합니다.

충수는 중추부라고 알려진 중추[3]짧은 영역에 의해 회장 하부 영역의 장간막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변화

거울상 쌍둥이로 알려진 일부 일란성 쌍둥이는 [4][5]오른쪽 하단 대신 복부의 왼쪽 하단 사분면에 맹장이 있는 선천적 조건인 거울상 해부학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장내 부정 회전은 충수돌기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충수의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회장판막 아래 2cm(0.79인치)에 위치하지만, 충수의 끝은 골반 안, 복막 바깥 또는 [6]맹장 뒤쪽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다른 위치의 유병률은 인구에 따라 달라지며,[7][8][9][10] 골반 위치가 가장 일반적인 이란과 보스니아에 비해 후천 위치는 각각 67.3%, 58.3%가 발생하며, 골반 위치는 각각 55.8%와 57.7%가 발생한다.

매우 드문 경우, 충수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충수염이 의심되는 단층절제술에서는 100,[11]000분의 1의 빈도로 나타났습니다).

때때로 충수돌기 입구에 반원형의 점막 주름이 있다.충수돌기의 이 판막은 게라크 [3]판막이라고도 불린다.

기능들

장내 플로라 유지

인간 충수의 가능한 기능은 설사에서 회복되는 유익한 박테리아를 위한 "안심소"입니다.

충수와 내장의 다른 곳(내장과 관련된 림프조직)을 둘러싼 면역조직이 많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받아들여져 왔지만, 충수의 독특한 모양과 측면의 부재로 판단되는 특정 중요성과 기능의 결여에 대한 설명은 부족했다.제거 [12]감염됩니다.따라서 부록은 단지 잔존물이라는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William Parker, Randy Bollinger, 그리고 듀크 대학의 동료들은 2007년에 충수가 질병으로 인해 다른 [13][14]장에서 박테리아가 밀려나올 때 유용한 박테리아를 위한 안식처 역할을 한다고 제안했다.이 명제는 2000년대 초반 어떻게 면역 시스템 유익한 장내 bacteria,[15][16]의 부록의 건축을 포함한 많은 잘 알려 진 기능은 식품과 세균의 대장에서 정상 편류 바로 아래에 그것의 위치와 조합 성장 지지함으로써 등장한 것이 이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것의 엉덩이면역조직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Winthrop-University Hospital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충수가 없는 사람은 클로스트리듐 디피실 [17]대장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4배 높았다.따라서 맹장은 유익한 [13]박테리아를 위한 "안심소" 역할을 할 수 있다.이 박테리아 저장소는 이질이나 콜레라의 발생 후에 소화기 계통의 장내 균을 다시 채우는 역할을 하거나 가벼운 위장 [14]질환 후에 장내 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면역 및 림프계

맹장은 포유류의 점막 면역 기능, 특히 B 세포 매개 면역 반응과 부심 외적으로 유도되는 T 세포의 중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이 구조는 소화기 내 노폐물의 적절한 이동과 제거를 돕고, 병원균을 조절하는 림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치명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초기 방어막을 만들 수도 있다.게다가, 이것은 병원체에 침입하는 것으로부터 더 많은 면역 방어 기능을 제공하고, 림프계의 B와 T 세포가 장의 그 부분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와 싸우게 하고, 면역 반응이 더 안정적이고 덜 위험하게 병원체를 [18]퇴치할 수 있도록 그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게다가, 맹장이 소화기 [19]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장에서 기능하는 선천성 림프 세포라고 불리는 다른 면역 세포들이 있습니다.연구는 또한 맹장의 존재와 맹장 림프조직의 농도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이는 맹장이 맹장과 복합체로 진화할 뿐만 아니라 주요 면역 이점도 있다는 제안을 뒷받침한다.[20]

임상적 의의

충수성 카르티노이드 종양

충수의 흔한 질병충수염카르티노이드 종양(부록 카르티노이드)[21]입니다.충수암은 모든 위장 악성종양의 200분의 1을 차지한다.드물게 선종도 나타난다.[22]

맹장염

맹장염은 충수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통증은 종종 복부 중앙에서 시작되는데, 이는 배아 중간구의 일부로서 맹장이 발달하는 것과 일치한다.이 통증은 전형적으로 둔하고 국소성이 떨어지는 내장통이다.[23]

염증이 진행되면서 복막에 염증이 생기면서 오른쪽 하복부에 통증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이 복막 염증 또는 복막염은 (압력을 가하기 보다는 압력을 제거할 때) 반동 압통을 일으킨다.특히, 맥버니의 지점, 전방 상부 장골 척추에서 배꼽까지 이어지는 선을 따라 1/3 지점에 나타납니다.일반적으로 두정막에 염증이 생길 때까지 포인트(피부)의 통증은 나타나지 않습니다.발열과 면역체계 반응도 맹장염의 [23]특징이다.다른 증상과 증상으로는 메스꺼움과 구토, 더 악화될 수 있는 저급열, 변비나 설사, 복부 팽만감,[24] 또는 팽만감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맹장염은 맹장수술에서 개복술이나 복강경 수술로 충수염을 제거해야 한다.치료하지 않으면 충수가 파열되어 복막염, 쇼크, 그리고 치료하지 않으면 [23]사망에 이를 수 있다.

최근, 의사들은 맹장 수술 없이 맹장염을 치료한 좋은 결과를 보고했다.항생제 치료와 충수의 냉각만을 사용하여 맹장염을 관리하는 것은 [25]합병증 없이 최초 발생 급성 맹장염에서 성공적이었다.

수술.

맹장의 외과적 제거는 맹장 절제술이라고 불린다.이 제거는 일반적으로 환자가 급성 맹장염을 앓고 있을 때 응급 절차로 수행됩니다.수술 시설이 없는 경우 패혈증 발병을 늦추거나 피하기 위해 정맥 항생제를 사용한다.어떤 경우에는 맹장염이 완전히 사라지기도 하고, 더 자주 맹장 주위에 염증 덩어리가 생기기도 한다.이것은 수술에 대한 상대적 금기사항이다.

충수는 또한 신경유전성 방광을 가진 사람들에게 Mitrofanoff [26]시술로 알려진 수술에서 효율적인 요도관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충수는 또한 장이 마비되거나 주요 직장 괄약근 문제가 있는 아이들의 결장에 접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충수를 피부 표면으로 꺼내어 아이/부모가 카테터를 부착하고 적절한 [27]용액을 사용하여 대장을 쉽게 씻어낼 수 있습니다.

역사

찰스 다윈은 충수돌기가 주로 섬유식물을 소화하기 위해 초기 인류에 의해 사용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목적을 가지도록 진화했다고 제안했다.이나 코알라와 같은 초식 동물의 매우 긴 맹장은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코알라의 맹장은 특별히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것을 돕는 박테리아를 숙주시킬 수 있게 해준다.인류의 조상들도 그들이 잎이 풍부한 식단을 먹고 살았을 때 이 제도에 의존했을 것이다.사람들이 더 쉽게 소화되는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그들은 에너지를 위해 셀룰로오스가 풍부한 식물에 덜 의존하게 되었을지도 모른다.맹장이 소화에 덜 필요하게 되면서, 이전에 유해했던 돌연변이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았고, 그래서 돌연변이는 살아남았다.이러한 대립 유전자가 더 자주 발생하고 맹장이 계속 축소된 것으로 추정된다.수백만 년 후, 한때 필요했던 맹장은 현생인류의 [28]맹장으로 전락했다.

헤더 F 박사Midwestern University의 Smith와 동료들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최근... 내장에 대한 향상된 이해는 생물학 및 의학에서의 현재의 사고와 결합되어 현대 의학이 없는 사회에서 위장 감염의 시기 동안 식물군을 보존하는 공생 장내 미생물의 은신처로서 포유류의 맹장 맹장의 명백한 기능을 지적하고 있다.이 기능은 부록의 진화와 유지를 위한 선택적인 힘일 수 있다.맹장의 3가지 형태형은 주로 맹장의 모양에 기초해 포유동물 사이에서 설명될 수 있다: 원형 또는 주머니와 같은 맹장에서 갈라지는 구별된 맹장(많은 영장류 종에서와 같이), 길고 부피가 큰 맹장의 꼭대기에 위치한 맹장(토끼, 글라이더, 케이프 사구 두더지 쥐에서와 같이)과 맹장의 맹장(웜뱃과 같은) 뚜렷한 맹장의 결여또한, 길고 좁은 맹장 같은 구조는 명백한 맹장이 없거나 맹장과 맹장 같은 구조 사이의 뚜렷한 접합부가 없는 포유류에서 발견됩니다.맹장충수는 적어도 두 번 독립적으로 진화했고, 분명히 다른 세계의 호주 유대류와 태반 사이의 형태학의 융합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맹장은 많은 종에 의해 없어졌지만, 적어도 하나의 [29]분지에서도 8천만 년 이상 유지되어 왔습니다.

2013년 논문에서 부록은 최소 32회(아마도 38회) 진화했으며 6회 [30]이상 손실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업데이트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 보다 최근의 연구는 적어도 29개의 이득과 최대 12개의 손실(모두 모호함)으로 비슷하지만 덜 화려한 결과를 도출했으며, 이는 여전히 상당히 [31]비대칭적이다.이것은 맹장이 많은 상황에서 선택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고 그 잔존적 성격에 대해 강하게 주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이 부록의 복잡한 진화 역사는 다양한 분류군의 진화 속도에서 큰 이질성과 함께, 이것이 반복 [32]특성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기능은 설사가 만연할 수 있는 현대 위생 및 의료 관행이 결여된 문화에서 유용할 수 있습니다.2001년 세계보건기구가 수집한 선진국의 사망원인에 대한 현재의 역학 데이터는 급성 설사가 현재 개발도상국에서 질병 관련 사망의 네 번째 주요 원인임을 보여준다(The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이 요약한 데이터).다른 주요 사망 원인 중 두 가지는 제한적이거나 전혀 선택 압력을 [33]가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이미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Kooij IA, Sahami S, Meijer SL, Buskens CJ, Te Velde AA (October 2016). "The immunology of the vermiform appendix: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186 (1): 1–9. doi:10.1111/cei.12821. PMC 5011360. PMID 27271818.
  2. ^ "Largest appendix removed". Guinness World Recor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20. Retrieved 22 May 2017.
  3. ^ a b Golalipour, M.J.; Arya, B.; Jahanshahi, M.; Azarhoosh, R. (2003). "Anatomical Variations Of Vermiform Appendix In South-East Caspian Sea (Gorgan-IRAN)" (PDF). J. Anat. Soc. India.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1 July 2020. Retrieved 1 October 2014.
  4. ^ "Unusual Types of Twins". Multiples of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y 2014. Retrieved 30 April 2014.
  5. ^ Gedda L, Sciacca A, Brenci G, Villatico S, Bonanni G, Gueli N, Talone C (1984). "Situs viscerum specularis in monozygotic twins". Acta Geneticae Medicae et Gemellologiae. 33 (1): 81–5. doi:10.1017/S0001566000007546. PMID 6540028.
  6. ^ Paterson-Brown, S. (2007). "15. The acute abdomen and intestinal obstruction". In Parks, Rowan W.; Garden, O. James; Carter, David John; Bradbury, Andrew W.; Forsythe, John L. R.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urgery (5th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ISBN 978-0-443-10157-1.
  7. ^ Clegg-Lamptey JN, Armah H, Naaeder SB, Adu-Aryee NA (December 2006). "Position and susceptibility to inflammation of vermiform appendix in Accra, Ghana". East African Medical Journal. 83 (12): 670–3. doi:10.4314/eamj.v83i12.9498. PMID 17685212.
  8. ^ Bakheit MA, Warille AA (June 1999). "Anomalies of the vermiform appendix and prevalence of acute appendicitis in Khartoum". East African Medical Journal. 76 (6): 338–40. PMID 10750522.
  9. ^ Ghorbani A, Forouzesh M, Kazemifar AM (2014). "Variation in Anatomical Position of Vermiform Appendix among Iranian Population: An Old Issue Which Has Not Lost Its Importance". Anatomy Research International. 2014: 313575. doi:10.1155/2014/313575. PMC 4176911. PMID 25295193.
  10. ^ Denjalić A, Delić J, Delić-Custendil S, Muminagić S (2009). "[Variations in position and place of formation of appendix vermiformis found in the course of open appendectomy]". Medicinski Arhiv (in Bosnian). 63 (2): 100–1. PMID 19537667.
  11. ^ Zetina-Mejía CA, Alvarez-Cosío JE, Quillo-Olvera J (2009). "Congenital absence of the cecal appendix. Case report". Cirugia y Cirujanos. 77 (5): 407–10. PMID 19944032.
  12. ^ Kumar, Vinay; Robbins, Stanley L.; Cotran, Ramzi S. (1989).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4th ed.). Philadelphia: Saunders. pp. 902–3. ISBN 978-0-7216-2302-3.
  13. ^ a b "Scientists may have found appendix's purpose". NBC News. Associated Press. 5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February 2020. Retrieved 24 August 2019.
  14. ^ a b Randal Bollinger R, Barbas AS, Bush EL, Lin SS, Parker W (December 2007). "Biofilms in the large bowel suggest an apparent function of the human vermiform appendix".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49 (4): 826–31. Bibcode:2007JThBi.249..826R. doi:10.1016/j.jtbi.2007.08.032. PMID 17936308.
  15. ^ Sonnenburg JL, Angenent LT, Gordon JI (June 2004). "Getting a grip on things: how do communities of bacterial symbionts become established in our intestine?". Nature Immunology. 5 (6): 569–73. doi:10.1038/ni1079. PMID 15164016. S2CID 25672527.
  16. ^ Everett M.L.; Palestrant D.; Miller S.E.; Bollinger R.R.; Parker W. (2004). "Immune exclusion and immune inclusion: a new model of host-bacterial interactions in the gut". Clinical and Applied Immunology Reviews. 4 (5): 321–32. doi:10.1016/j.cair.2004.03.001.
  17. ^ Dunn, Rob (January 2, 2012). "Your Appendix Could Save Your Life". Scientific Americ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November 2020. Retrieved 22 December 2016.
  18. ^ Zahid A (April 2004). "The vermiform appendix: not a useless organ". Journal of the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Pakistan. 14 (4): 256–8. PMID 15228837.
  19. ^ Rankin LC, Girard-Madoux MJ, Seillet C, Mielke LA, Kerdiles Y, Fenis A, et al. (February 2016). "Complementarity and redundancy of IL-22-producing innate lymphoid cells". Nature Immunology. 17 (2): 179–86. doi:10.1038/ni.3332. PMC 4720992. PMID 26595889.
  20. ^ Smith H, Parker W, Kotze S, Laurin M (September 2016). "Morphological evolution of the mammalian cecum and cecal appendix" (PDF). Comptes Rendus Palevol. 16 (1): 39–57. doi:10.1016/j.crpv.2016.06.001.
  21. ^ "Miscellaneous conditions of the appendix". Seminars in Diagnostic Patholog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1 (2): 151–63. 2004. doi:10.1053/j.semdp.2004.11.006. PMID 15807474. Retrieved 30 December 2020.
  22. ^ "Statistics about Appendix disorder". rightdiagnosi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10-16. Retrieved 2020-12-30.
  23. ^ a b c Miller R., Kenneth; Levine, Joseph (2002). Biology. Prentice Hall. pp. 92–98. ISBN 978-0-13-050730-3.
  24. ^ "Appendicitis - Symptoms and causes - Mayo Clinic". mayoclinic.org. Mayo Clin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20. Retrieved 29 December 2020.
  25. ^ Wilms; de Hoog; de Visser (November 2011). "Appendectomy versus antibiotic treatment for acute appendiciti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1): CD008359. doi:10.1002/14651858.CD008359.pub2. PMID 22071846.
  26. ^ Mingin GC, Baskin LS (2003). "Surgical management of the neurogenic bladder and bowel". International Braz J Urol. 29 (1): 53–61. doi:10.1590/S1677-55382003000100012. PMID 15745470.
  27. ^ "Wellington Children's Hospital : Caring for an ACE or Chait Tube : Healthpoint". Retrieved 22 December 2016.
  28. ^ 다윈, 찰스 (1871) "짐의 예수"인간의 강림, 그리고 섹스와 관련선택.존 머레이: 런던.
  29. ^ Smith HF, Fisher RE, Everett ML, Thomas AD, Bollinger RR, Parker W (October 2009). "Comparative anatomy and phylogenetic distribution of the mammalian cecal appendix".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22 (10): 1984–99. doi:10.1111/j.1420-9101.2009.01809.x. PMID 19678866. S2CID 6112969.
  30. ^ Smith H. F.; Parker W.; Kotzé, S. H.; Laurin, M. (2013). "Multiple independent appearances of the cecal appendix in mammalian evolut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ecological and anatomical factors". Comptes Rendus Palevol. 12 (6): 339–354. doi:10.1016/j.crpv.2012.12.001.
  31. ^ Smith H. F.; Parker W.; Kotzé, S. H.; Laurin, M. (2017). "Morphological evolution of the mammalian cecum and cecal appendix". Comptes Rendus Palevol. 11 (1): 39–57. doi:10.1016/j.crpv.2016.06.001.
  32. ^ Laurin M, Everett ML, Parker W (April 2011). "The cecal appendix: one more immune component with a function disturbed by post-industrial culture". Anatomical Record. 294 (4): 567–79. doi:10.1002/ar.21357. PMID 21370495. S2CID 3237168.
  33. ^ 부록의 진화: 생물학적 '잔상'은 이제 그만; Duke Medicine News and Communications 발행: 2009년 8월 20일 갱신: 2009년 8월 21일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