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캐벌리어 스미스

Thomas Cavalier-Smith
토머스 캐벌리어 스미스
Thomas Cavalier-Smith drawing.png
태어난(1942-10-21)21 1942년 10월
영국 런던
죽은2021년 3월 19일(2021-03-19) (78세)
국적영국의
모교케임브리지 킹스 칼리지 런던 곤빌과 카이우스 칼리지
로 알려져 있다.캐벌리어-스미스의 모든 유기체 분류 체계
수상 왕립학회 회원(1998)
국제 생물상(2004)
린네안 훈장(2007)
프링크 메달(2007)
과학 경력
필드동물학
기관킹스 칼리지 런던,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옥스퍼드대
논문클라미도모나스오르간엘 개발 (1967)
웹사이트www.zoo.ox.ac.uk/people/view/cavaliersmith_t.htm

토마스 (Tom) Cavalier-Smith, FRS, FRS, NERC 교수 동료 (1942년 10월 21일 ~ 2021년 3월 19일)는 옥스퍼드 대학교 동물학과의 진화 생물학 교수였다.[1] 그의 연구는 단세포 유기체(프로테스탄트)의 발견으로 이어졌고, 크로미스타, 크로말벨라타, 오피스토콘타, 리자리아, 굴삭타 등 다양한 주요 분류학 집단을 주창했다. 그는 모든 유기체의 분류 체계로 알려져 있었다.

인생과 경력

Cavalier-Smith는 1942년 10월 21일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메리 모데(네 브랫)와 알란 하일스 스펜서 캐벌리어 스미스였다.[2] 그는 노리치 스쿨, 곤빌과 카이우스 칼리지, 캠브리지(MA), 킹스 칼리지 런던(PhD)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1964년에서 1967년 사이에 박사학위 논문 때문에 존 랜달 경의 감독을 받았다. 그의 논문은 "클라미도모나스의 오르간 개발"이라는 제목이 붙여졌다.[3]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록펠러 대학의 객원 조사관이었다. 그는 1969년 런던 킹스 칼리지의 생물물리학 강사가 되었다. 그는 1982년에 리더로 승진했다. 1989년에 그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보타니 교수로 임명되었다. 1999년 옥스퍼드 대학에 입학하여 2000년 진화생물학 교수가 되었다.[4] 그는 암의 발병에 따라 죽었다.

수상 및 명예

Cavalier-Smith was elected Fellow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FLS) in 1980, the Institute of Biology (FIBiol) in 1983, the Royal Society of Arts (FRSA) in 1987, the 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 (CIFAR) in 1988, the Royal Society of Canada (FRSC) in 1997, and the Royal Society of London in 1998.[5] 2004년에는 일본 천황으로부터 국제 생물학상을, 2007년에는 동물학으로 린네아 훈장을 받았다. 1998년부터 2007년 사이에 캐나다 고등연구기관(CIFAR)의 펠로우(People of Canadian Advanced Research, People of CIFAR)와 CIFAR의 통합 미생물 다양성 자문위원으로 임명되었다.[6] 그는 2007년 런던 동물학회의 프링크 메달을 수상했다.[4]

분류법 스타일

1980년대 초, 스미스는 모든 살아있는 유기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견해를 장려했다. 그는 새로운 관계를 제안하기 위해 거의 평행하지 않은 풍부한 정보를 이용하면서 다작했다. 그 제안들은 분류학 개념과 분류로 번역되어 그가 새로운 이름들과 연관시키거나, 어떤 경우에는 옛 이름들을 다시 사용하기도 했다. 그의 분류학 명제의 범위는 웅장했지만 성분(택사)의 수와 구성, 그리고 그들의 관계는 안정적이지 못했다. 명제는 종종 정밀성이 부족했고(그들은 모호했다), 이름 변경 없이 자주 수정되었다. 그리고 종종 단명했다. 그의 많은 주장은 분류학 명칭이 진화 나무의 한 집단이나 가지와 정확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기대를 저버렸다. 스미스는 명시적인 분류 철학을 따르거나 지지하지 않았다. 그는 일반적으로 분류법에 엄격함을 가져오고 있는 피복형 규약을 채택하지 않았다. 그의 접근방식은 다른 많은 광범위한 양성자 치료방법과 유사했다.[7][8] 부정확한 접근방식은 보편적이지 않았으며, 다른 접근방식은 변형된 피복재학의 철학에 따라 내포된 일련의 원자화된 위조 명제를 가진 양성자의 분류법을 뒷받침하려고 시도했다.

분류학 구조로 이어진 사상은 대개 복잡한 주석을 단 도표의 형태로 먼저 제시되었다. 과학 모임에 발표되었을 때, 그들은 너무 부유했고, 종종 너무 작은 글씨를 써서 아이디어가 의미 있게 이해되거나 비판될 수 없었다. 그러한 도표들 중 일부는 출판물에 진출했는데, 거기서 세심한 정밀조사가 가능했고, 대부분의 주장들의 추측 성질이 뚜렷이 드러난다. 아이디어의 풍부함, 그 지속적 진화, 그리고 스미스의 진화 경로(phylogeny)에 대한 조사와 그에 따른 분류, 그것의 독특한 성격을 부여한 분류학으로의 전환. 그는 분류가 진화 경로를 반영해야 한다는 보편적인 추정이 있던 시기에 일했다.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는 크게 네 가지 영향을 끼쳤다. 첫째, 투기를 인정하고 특정 진화적 통찰력을 어떻게 세자의 배열과 계수로 환산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엄격함이 결여된 '전통적' 접근법의 잔여물이었다. 이 접근방식의 본질은 '그저 그렇다'는 문장으로 자주 치부되는 서술적 내용, 편협성과 다혈질적 세자를 포함하는 관련 분류, 그리고 친유전적 관계보다는 주관적 관점이 택사에 할당된 계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두 번째 영향은 과학적 진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철학이었다. 그것은 칼 포퍼에 의해 표현되었고, 그[11] 강조점을 생각의 검증에서 가설의 위조로 옮겨 놓았었다. 포퍼는 과학이 불건전한 가설들을 제거하는 과정에 의해 발전했다고 보았다. 그래서 가능한 설명들의 배열을 줄여서 더 정확할 가능성이 있는 설명들을 찾아냈다. 이 과정에 맞추려면 가설이 위조될 필요가 있었다. 세 번째 영향은 '복식주의' - 진화의 가설을 제시(그리고 나서 변조)하는 노골적인 방법이었다. 이것은 처음에 윌리 헤니그에 의해 표현되었고,[12] 분류법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점점 더 깊이 이해되고 있었다.[13][14] 마지막으로 시퀀싱 기술의 기술적 진보는 비교 유기체의 시퀀스들 사이의 유사성에 근거한 진화적 관계에 대한 가설을 크게 성장시켰다. 알고리즘은 시퀀스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결과는 대개 덴드로그램 형태로 제시되었다. 이것들은 진화적 관계(나무)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 도표와 표면적으로 유사하며, 불행히도 '생식'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분자 계통생성학의 덴드로그램은 선택된 분자, anlyisis에 포함된 유기체, 비교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따라 달랐다. '분자 계통'은 가설을 통해 진행되는 과정에 필요한 정확성이 결여된 확률론적 요약본이었다. 이 '분자 계통유전학'의 결과는 신호를 숨길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다수의 가설이었고, 종종 세부적으로 불확실했다.

과학적 진보에 대한 포페리아적 해석이 지배적인 시기에 스미스는 서술에 의존하는 찰스 다윈이 특징인 초기 전통주의 스타일을 고수하는 데 있어서 용감했다. 한 예로 플라스티드가 있는 라인에 엽록소 a와 c(원래 번데기와 다른 층층류, 암호생성자, 산호초)를 결합한 다혈질 크로미스타를 옹호한 것이 있다. 플라스티드를 함유한 c를 엽록소가 세 집단 모두의 공통 조상에 의해 획득되는 단 하나의 내분비생물학적 사건이 있었고, 그 집단들 사이의 차이(사이토학적 성분과 그들의 배열 등)가 이후의 진화적 변화의 결과라는 것이 캐벌리어-스미스의 '그저 그렇다'의 이야기였다. 크롬리스트가 단층이라는 이 해석은 또한 세 집단 모두의 이질적(원생동물) 구성원이 플라스티드를 가진 조상으로부터 생겨났다는 것을 요구하였다. 포페리아인의 관점에서, 이것은 번데기, 석회, 암호기 사이의 많은, 종종 초구조적 차이로부터 위변조된 가설이었다. 대립 가설은 세 가지 크롬피질 선들이 (다른 선들의 제외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즉, 다혈질 선들은) 모든 선들이 혈통적으로 플라스티드가 없을 가능성이 높으며, 별도의 공생 작용이 엽록소 a/c플라주 스트라모나이드, 크립토모나드, 합토피아를 확립했다는 것이었다. 크로미스트들의 다혈질은 후속 연구에서 재검증되었다.[15] 캐벌리어-스미스가 시험 가능한 계통적 가설의 요건을 거부한 것과 진화적 통찰력을 세금과 계층적 체계로 변환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론의 부재는 불안정과 불화의 원인이었다. 그의 많은 세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자주 조정해야 한다. 결국 이것은 분류학 명칭이 적용된 택사의 범위에 대한 혼동을 초래했다. 캐벌리어-스미스는 또한 혁신적인 분류 개념을 위해 친숙한 이름(원생대 등)을 재사용했다. 이것은 원생대가 새로운 감각에서 사용되면서도 옛 감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상황은 명칭에 대한 문맥(즉, 원생대 센슈 골드푸ß 1818, 대 원생대 센슈 카발리에-스미스 1999 vs 원생대 센슈 카발리에-스미스 2015)을 참조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지만, 그러한 뉘앙싱이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 캐벌리어-스미스의 시기상조적이고 타당하지 않은 통찰력, 빈번한 변화 필요성, 그리고 다른 개념에 대한 분류학 명칭의 사용성 때문에 그는 통찰력만큼이나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기부금

2015년 개정 전 2010년 Cavalier-Smith 이후 생명의 나무와 세포 진화의 주요 단계

Cavalier-Smith는 모든 생명체의 분류와 분류에 대해 광범위하게 썼지만, 특히 양성자. 생물학에 대한 그의 주요한 공헌 중 하나는 새로운 생명의 왕국 크로미스타에 대한 그의 제안이었다. 이것은 다혈질인 것으로 증명되었다(위 참조).크로말벨라타(1981년), 오피스토콘타(1987년), 리자리아(2002년), 굴삭타(2002년) 등 진핵생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군집단을 소개했다. 잘 알려져 있지만, 그의 주장들 중 많은 것들이 논란이 되어왔고 과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의 분류법 개정은 종종 모든 생명체의 전체적인 분류에 영향을 주었다.

팔국모형

카발리에-스미스의 첫 번째 주요 분류 체계는 모든 유기체를 8개의 왕국으로 나누는 것이었다. 1981년, 그는 로버트 휘태커의 오나라 제도를 완전히 개정함으로써 박테리아, 에우펑기, 칠리오펑기, 애니멀리아, 빌리피타, 비리디플랜테, 크립토피아, 외글레노조아 등 8개 왕국이 존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17]

1993년, 그는 특히 '세균'과는 별개의 집단으로서 고고학박테리아를 일반적으로 수용하고, 1981년 치료에서 제외되었던 일련의 라인업을 포함시키고, 다혈질 문제를 다루며, 새로운 관계 사상을 촉진하기 위해 자신의 제도를 개정하였다. 또 미토콘드리아가 부족한 원생도 일부 발견됐다.[18] 미토콘드리아는 프로테오박테리움내분비증의 결과라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아미토콘드리아산 진핵생물들이 원시적으로 그렇게 생각되어 진핵생식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 결과, 이 아미토콘드리아 원생들은 원생 왕국으로부터 분리되어, 동시에 초왕국과 아르케조아 왕국을 낳았다. 이것은 아르케조아 가설로 알려져 있었다. 여덟 왕국은 다음과 같이 되었다. 에우박테리아, 고고학, 아르케조아, 원생대, 크로미스타, 플랜태, 곰팡이, 애니멀리아.[19]

아르케조아 왕국은 버려지기 전에 다혈질과 비열한 것의 증거 때문에 많은 구성상의 변화를 겪었다.[20] [21] 그는 아케조아 왕국의 몇몇 전 멤버들을 아메보조아 왕국에 임명했다.[22]

육국 모형

1998년까지 카발리에-스미스는 전체 왕국의 수를 8개국에서 6개국으로 줄였다: Analytia, 원생동물, 곰팡이, 플랜태(글라우코스피테, 적조류, 녹조류 포함),[23] 크로미스타, 박테리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미 1981년 자신의 논문에[17] 이 간단한 계획을 처음으로 제시했고 1983년에 그것을 승인했다.[24]

표 11 Eukaryote 왕국: 7 또는 9?

카발리에-스미스의 왕국 중 5개 왕국은 다음 계략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진카리오테로 분류된다.

Analytia 왕국은 Radiata(필라 포리페라, 씨니다리아, 플라코조아, 그리고 Ctenophora), Myxoza, 중생대, 그리고 Baatheria(다른 모든 동물들의 식물)의 4개의 하위 왕국으로 나뉘었다.

그는 아칸토그나타(로티페르, 아칸토세두아, 위궤양, 그나토스토무루스), 브라키오조아(브라치오포드포로니드), 로보포다(온요포란, 후디그라데스) 등 3종의 새로운 동물 필라를 만들어 총 23종의 동물 필라를 인정하였다.[23]

Cavalier-Smith의 2003년 분류 체계:[25]

칠왕국 모형

카발리에-스미스와 그의 협력자들은 2015년에 그 분류를 개정하여 PLOS ONE에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서 그들은 원핵생물의 분열을 두 왕국인 박테리아(=유박테리아)와 아르체박테리아(=아르체박테리아)로 다시 도입하였다. 이는 '세균과 고고학의 분류학 개요(TOBA)'와 '생명의 카탈로그'에서 합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26]

생명의 나무 뿌리뽑기

2006년, Cavalier-Smith는 모든 생명체의 마지막 보편적인 공통 조상은 두 개의 막을 가진 비플라겔산 니기박테리움이라고 제안했다.[27]

참조

  1. ^ "Professor Dr Tom Cavalier-Smith, FRS, FRSC, Professor of Evolutionary Biology and NERC Professorial Fellow in the Department of Zoology, Oxford University". Caval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1 February 2016.
  2. ^ Alan C Smith와 Mary Maud Bratt의 결혼 1차 Qtr 1942 Wayland Reg Dist. (GRO Ref 4b/743). 토마스 C 스미스(어머니의 처녀 이름 Bratt)의 탄생은 1942년 마지막 Qtr, 그리니치 레그 디스트(GRO Ref 1d/650)이다. 소스 www.freebmd.org.uk.
  3. ^ Cavalier-Smith, Thomas (1967). Organelle development in Chlamydomonas reinhardii (PhD thesis). University of London. OCLC 731219097.[페이지 필요][비확산 소스 필요]
  4. ^ Jump up to: a b "Thomas (Tom) CAVALIER-SMITH". Debret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6. Retrieved 11 February 2016.
  5. ^ "Awards and distinctions". Caval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6. Retrieved 11 February 2016.
  6. ^ "Thomas Cavalier-Smith". 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 Retrieved 11 February 2016.
  7. ^ 마굴리스, L, 맥칸, H.I., 올렌젠스키, L. (편집자) 1993. Protoxista의 용어 설명: 녹조, 아피콤플렉스, 칠리테스, 포라미네라, 마이크로스포라, 워터 몰드, 슬라임 몰드, 그리고 다른 프로토텍스트 존스와 바틀렛 출판사의 어휘, 1993.
  8. ^ 마굴리스, 린, 칼린 V. 슈워츠(1997년). 오왕국: W.H. 프리먼 & 컴퍼니, ISBN 0-613-92338-3 지구 생명의 필라에 대한 삽화 안내서
  9. ^ 패터슨, D. J. 1985. 오팔리나 라나룸의 미세한 구조: 오팔리나이드 계통성 및 분류. 원생생물학 21:413-428
  10. ^ 포퍼, K. 1934 과학 발견의 논리 (Logik der Forschung, 영어 번역 1959), ISBN 0-415-27844-9
  11. ^ 포퍼, K. 1963. 추측 및 반박: 과학지식의 성장, ISBN 0-415-04318-2
  12. ^ 1966년 W. Hennig. 계통학 계통학. 일리노이 대학 출판부, 우르바나.
  13. ^ 1981년 E.O. Wiley. 유전체학: 계통학적 계통학의 이론과 실천. 와일리 퍼블리셔스
  14. ^ N. Eldredge & J. Cracraft 1980. 계통학적 패턴과 진화과정. 비교 생물학의 방법과 이론.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ISBN 0 231 03802 X(1981)
  15. ^ Burki, F. Roger, A.J., Brown, M.W., Simpson, A.G.B. 2020. 진핵생물의 새 나무. 생태와 진화의 동향, 35: 43-55. https://doi.org/10.1016/j.tree.2019.08.008
  16. ^ 엘바와브, F.2020. 무척추동물 발생학과 생식, 3장 – 망울 원생동물 학술지, pp 68-190. https://doi.org/10.1016/B978-0-12-814114-4.00003-5
  17. ^ Jump up to: a b Cavalier-Smith, T. (1981).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Biosystems. 14 (3–4): 461–481. doi:10.1016/0303-2647(81)90050-2. PMID 7337818.
  18. ^ Cavalier-Smith, Thomas (1987). "Eukaryotes with no mitochondria". Nature. 326 (6111): 332–333. Bibcode:1987Natur.326..332C. doi:10.1038/326332a0. PMID 3561476.
  19. ^ Cavalier-Smith, T (1993). "Kingdom protozoa and its 18 phyla". Microbiological Reviews. 57 (4): 953–994. doi:10.1128/mmbr.57.4.953-994.1993. PMC 372943. PMID 8302218.
  20. ^ Cavalier-Smith, T.; Chao, E. E. (1996). "Molecular phylogeny of the free-living archezoanTrepomonas agilis and the nature of the first eukaryote".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43 (6): 551–62. Bibcode:1996JMolE..43..551C. doi:10.1007/BF02202103. PMID 8995052. S2CID 28992966.
  21. ^ 심슨, A. G. B., 버나드, 펜첼, T. & 패터슨 D. J. 1997. 마스티가메바 정신분열증 n. sp.의 조직: 초구조적 특성과 펠로비온 양성자의 단순성에 대한 더 많은 증거. 유럽 원생학 저널, 33: 87-98.
  22. ^ Cavalier-Smith, T. (2004). "Only six kingdoms of lif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1 (1545): 1251–62. doi:10.1098/rspb.2004.2705. PMC 1691724. PMID 15306349.
  23. ^ Jump up to: a b Cavalier-Smith, T. (2007). "A revised six-kingdom system of life". Biological Reviews. 73 (3): 203–66. doi:10.1111/j.1469-185X.1998.tb00030.x. PMID 9809012. S2CID 6557779.
  24. ^ Cavalier-Smith, T. (1983). Schenk, HEA; Schwemmler, WS (eds.). "A 6-kingdom classification and a unified phylogeny". Endocytobiology II: Intracellular Space as Oligogenetic. Berlin: Walter de Gruyter & Co.: 1027–1034. doi:10.1515/9783110841237-104. ISBN 9783110841237.
  25. ^ Cavalier-Smith, Thomas (2003).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European Journal of Protistology. 39 (4): 338–348. doi:10.1078/0932-4739-00002.
  26. ^ Ruggiero, Michael A.; Gordon, Dennis P.; Orrell, Thomas M.; Bailly, Nicolas; Bourgoin, Thierry; Brusca, Richard C.; Cavalier-Smith, Thomas; Guiry, Michael D.; Kirk, Paul M.; Thuesen, Erik V. (2015). "A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Bibcode:2015PLoSO..1019248R.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27. ^ Cavalier-Smith, Thomas (2006). "Rooting the tree of life by transition analyses". Biology Direct. 1: 19. doi:10.1186/1745-6150-1-19. PMC 1586193. PMID 1683477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