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오카 한타로

Hantaro Nagaoka
나가오카 한타로
태어난(1865-08-19)1865년 8월 19일
죽은1950년 12월 11일 (1950-12-11) (85세)
국적.일본인입니다
친척들.나가오카 노부코(손녀)
과학경력
필드물리학
눈에 띄는 학생들혼다 코타로, 유카와 히데키
도쿄의 과학관 나가오카의 부조

나가오카 한타로(, 1865년 8월 19일 ~ 1950년 12월 11일)는 일본의 물리학자이자 메이지 시대 일본 물리학의 선구자, 長岡 半太郎이다.

인생

나가오카는 1865년 8월 19일 일본 나가사키에서 태어나 도쿄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1887년 물리학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 나가오카는 방문한 스코틀랜드의 물리학자 카길 길스턴 노트와 함께 자성의 초기 문제, 즉 액체 니켈의 자기 변형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1893년, 나가오카는 베를린, 뮌헨, 빈 대학교에서 토성의 고리에 대한 강의와 루드비히 볼츠만의 기체 운동 이론에 대한 강의를 포함하여 교육을 계속했습니다. 나가오카는 1900년 파리에서 열린 제1회 국제 물리학자 대회에도 참석하여 방사능에 대한 마리 퀴리의 강의를 들었고, 이는 나가오카의 원자물리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나가오카는 1901년에 일본으로 돌아와 1925년까지 도쿄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도쿄 대학을 졸업한 후, 나가오카는 RIKEN의 수석 과학자로 임명되었고, 1931년부터 1934년까지 오사카 대학의 초대 총장을 역임했습니다.

그의 손녀는 피아니스트 나가오카 노부코였습니다.[1]

토성의 원자모형

1900년까지 물리학자들은 원자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고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J. J. 톰슨이 음전하를 띤 전자를 발견한 것은 중성 원자도 양전하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했습니다. 1904년 톰슨은 원자가 균일한 양전하를 띤 구형이며, 전자가 푸딩 속의 자두처럼 그 사이에 흩어져 있어 자두 푸딩 모델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고 제안했습니다.

Nagaoka는 반대 전하가 침투할 수 없다는 이유로 Thomson의 모델을 거부했습니다. 1904년 나가오카는 토성과 고리의 방식으로 양전하를 띤 중심이 회전하는 전자에 의해 둘러싸인 원자의 대체 행성 모델을 제안했습니다.[2]

나가오카의 모델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예측을 했습니다.

  • 매우 거대한 원자 중심부 (매우 거대한 행성에 비유할 때)
  • 정전기적 힘에 의해 구속된 핵 주위를 도는 전자(중력에 의해 구속된 토성 주위를 도는 고리와 유사).

예측 모두 어니스트 러더퍼드에 의해 성공적으로 확인되었는데,[3] 그는 1911년 원자핵이 제안된 논문에서 나가오카의 모델을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모델의 다른 세부 사항이 잘못되었습니다. 특히 전기로 대전된 고리는 반발 파괴로 인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나가오카 자신은 1908년에 제안한 모델을 포기했습니다.

러더퍼드와 닐스 보어는 1913년에 더 실행 가능한 보어 모델을 제시할 것입니다.

기타작품

나가오카는 나중에 분광학 및 기타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1909년에 그는 솔레노이드인덕턴스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4] 1924년, 그는 중성자 폭격에 의해 수은으로부터 생성된 최초의 금 합성에 성공했습니다.[5] 1929년에 나가오카는 유성 폭발 통신을 기술한 최초의 사람이 되었습니다.[6]

수상 및 인지도

  • 나가오카는 1937년 일본 정부로부터 문화훈장을 받았습니다.
  • 에 있는 나가오카 분화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참고문헌

  1. ^ Yamamoto, Takashi (2019). Leo Sirota: The Pianist Who Loved Japan. Translated by Bantock, Gavin; Inukai, Takao. Kashiwa: First Servant Books. p. 182. ISBN 978-4-9910037-1-4.
  2. ^ B. Bryson (2003). A Short History of Nearly Everything. Broadway Books. ISBN 0-7679-0817-1.
  3. ^ 러더퍼드는 그의 고전적인 논문 "물질과 원자의 구조에 의한 a와 b 입자의 산란"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그것을 인용했기 때문에 그 기사를 알고 있거나 검색했습니다. 잡지, 21(1911), 669.
  4. ^ Nagaoka, Hantaro (1909-05-06). "The Inductance Coefficients of Solenoids" (PDF).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Tokyo, Japan: Imperial University. 27 (6): 18.
  5. ^ Miethe, A. (1924). "Der Zerfall des Quecksilberatoms". Die Naturwissenschaften. 12 (29): 597–598. Bibcode:1924NW.....12..597M. doi:10.1007/BF01505547. S2CID 35613814.
  6. ^ Hantaro Nagaoka (1929). "Possibility of the radio transmission being disturbed by meteoric showers". Proceedings of the Imperial Academy. 5 (6): 233–236. doi:10.2183/pjab1912.5.233. 에 인용됨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