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성탈수소효소 복합소단위 C

Succinate dehydrogenase complex subunit C
SDHC
PDB 1zp0 EBI.png
식별자
별칭SDHC, CYB560, CYBL, PGL3, QPS1, SDH3, 복합 탈수소효소 C
외부 IDOMIM: 602413 MGI: 1913302 HomoloGene: 2256 GeneCard: SDHC
직교체
인간마우스
엔트레스
앙상블
유니프로트
RefSeq(mRNA)

NM_001035511
NM_001035512
NM_001035513
NM_001278172
NM_003001

NM_025321

RefSeq(단백질)

NP_001030588
NP_001030589
NP_001030590
NP_001265101
NP_002992

NP_079597

위치(UCSC)Chr 1: 161.31 – 161.36MbChr 1: 170.95 – 170.98Mb
PubMed 검색[3][4]
위키다타
인간 보기/편집마우스 보기/편집

수진탈수소효소 복합소단위 C수진탈수소효소 시토크롬 b560 소단위,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l)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간에서 SDHC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이다.[5]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의 3카르복실산 사이클과 에어로빅 호흡 체인의 핵심 효소 복합체인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로도 알려진 4개의 핵 인코딩 서브유닛 중 하나를 암호화하고 있다.인코딩된 단백질은 촉매핵심을 형성하는 복합체의 다른 서브유닛을 내부 미토콘드리아 막에 고정시키는 두 개의 일체형단백질 중 하나이다.다른 염색체들에는 이 유전자와 관련된 몇몇 유사성들이 있다.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페로크로모시토마, 파라강리오마 등과 연관되어 왔다.대안으로 분할된 대본 변형이 설명되었다.[6]

구조

SDH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단백질이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핵이다.인간에서 유전자의 위치는 Q21의 첫 번째 염색체에 있다.유전자는 6 exon으로 나누어져 있다.SDHC 유전자는 16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8.6 kDa 단백질을 생성한다.[7][8]

SDHC 단백질은 내부 미토콘드리아 막에 존재하는 4단위 숙성 탈수소효소(Complex II) 단백질 복합체의 2개의 투과 부유닛 중 하나이다.다른 트랜섬브레인 서브유닛은 SDHD이다.SDHC/SDHD 조광기는 SDHB 전자 전송 서브유닛에 연결되고, SDHA 서브유닛에 연결된다.[9]

함수

SuccDeh.svg

SDHC 단백질은 석회성 탈수소효소를 구성하는 4개의 핵 인코딩 서브유닛 중 하나로, 미토콘드리아의 구연산 사이클과 에어로빅 호흡 체인의 핵심 효소 복합체인 전자전달 체인의 콤플렉스 II로도 알려져 있다.인코딩된 단백질은 촉매핵심을 형성하는 복합체의 다른 서브유닛을 내부 미토콘드리아 막에 고정시키는 두 개의 일체형 막 단백질 중 하나이다.[6]

SDHC는 내부 미토콘드리아 막에 콤플렉스 II고정하는 SDHD로 투과성 단백질 다이머의 일부를 형성한다.SDHC/SDHD 다이머는 콤플렉스 II에서 전자 운송 중 유비쿼시논과 물을 위한 결합 부지를 제공한다.처음에 SDHAFAD 결합 사이트에서 감응을 통해 숙성되어 FADH2 형성하고 활성 사이트에 느슨하게 바인딩된 후, 단백질을 자유롭게 배출한다.[3Fe-4S] 철 클러스터에 도달할 때까지 SDHB 서브 유닛의 [Fe-S] 릴레이를 따라 굴착 터널에서 파생된 전자.그런 다음 전자는 SDHC/SDHD 조광기의 Q 풀 활성 부지에 대기 중인 유비쿼시논 분자로 전달된다.유비쿼시논의 O1 카보닐 산소는 SDHD의 Tyr83과의 수소 결합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 부위(이미지 4)를 향한다.[3Fe-4S] 철황 성단에 전자가 존재하면 유비퀴논이 제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이를 통해 유비쿼시논의 O4 카보닐 그룹과 SDHC의 Ser27 사이의 두 번째 수소 결합 상호작용을 촉진한다.첫 번째 단일 전자 감소 단계에 이어, 세미키논 급진 종(種)이 형성된다.두 번째 전자는 유비퀴니온을 유비퀴니놀로 완전히 감소시키기 위해 [3Fe-4S] 군집으로부터 도착한다.[10]

임상적 유의성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파라강리오마(Paragangliomas)와 연관되어 있다.[6][11]SDHC 유전자에서 3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어 유전성 파라강리오마-페오크로모시토마 타입 3의 위험을 증가시켰다.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파라강리오마, 페로크롬소포마, 또는 둘 다 가지고 있다.유전적 SDHC 유전자 돌연변이는 개인을 그 상태에 이르게 하며, 유전적 파라강리오마-페오크로모시토마 타입 3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SDHC 유전자의 정상 복사본을 삭제하는 체적 돌연변이가 필요하다.대부분의 유전적 SDHC 유전자 돌연변이는 SDHC 단백질 서열에서 단일 아미노산을 변화시키거나 단백질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그 결과 SDH 효소 활성도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변이된 SDH 효소는 후마산염굴복하여 변환할 수 없기 때문에, 세포에 굴복한다.과잉은 저산소 유발인자(HIF)를 비정상적으로 안정시켜 세포에도 축적된다.과잉 HIF는 세포가 분열하도록 자극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 혈관 생성을 유발한다.빠르고 통제되지 않는 세포분열은 새로운 혈관의 형성과 함께 유전성 파라강리오마-페오색소세포종을 가진 사람들에게 종양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다.[12]

대화형 경로 지도

각 기사에 연결하려면 아래의 유전자, 단백질, 대사물을 클릭하십시오. [§ 1]

[[파일:
TCACycle_WP78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HMDB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HMDB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CACycle_WP78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HMDB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HMDBGo to articleGo to WikiPathwaysGo to articleGo to HMDB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Go to article
alt=TCACycle_WP78 편집]]]
TCACycle_WP78 편집
  1. ^ 대화형 경로 맵은 WikiPathways에서 편집할 수 있다."TCACycle_WP78".

참조

  1.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스 89: ENSG00000143252 - 앙상블, 2017년 5월
  2.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스 89: ENSMUSG000058076 - 앙상블, 2017년 5월
  3.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 ^ Hirawake H, Taniwaki M, Tamura A, Kojima S, Kita K (1997). "Cytochrome b in human complex II (succinate-ubiquinone oxidoreductase): cDNA cloning of the components in liver mitochondria and chromosome assignment of the genes for the large (SDHC) and small (SDHD) subunits to 1q21 and 11q23". Cytogenetics and Cell Genetics. 79 (1–2): 132–8. doi:10.1159/000134700. PMID 9533030.
  6. ^ a b c "Entrez Gene: succinate dehydrogenase complex".
  7. ^ Zong NC, Li H, Li H, Lam MP, Jimenez RC, Kim CS, Deng N, Kim AK, Choi JH, Zelaya I, Liem D, Meyer D, Odeberg J, Fang C, Lu HJ, Xu T, Weiss J, Duan H, Uhlen M, Yates JR, Apweiler R, Ge J, Hermjakob H, Ping P (October 2013). "Integration of cardiac proteome biology and medicine by a specialized knowledgebase". Circulation Research. 113 (9): 1043–53. doi:10.1161/CIRCRESAHA.113.301151. PMC 4076475. PMID 23965338.
  8. ^ "SDHC - Succinate dehydrogenase cytochrome b560 subunit, mitochondrial". Cardiac Organellar Protein Atlas Knowledgebase (COPaKB).
  9. ^ Sun F, Huo X, Zhai Y, Wang A, Xu J, Su D, Bartlam M, Rao Z (July 2005). "Crystal structure of mitochondrial respiratory membrane protein complex II". Cell. 121 (7): 1043–57. doi:10.1016/j.cell.2005.05.025. PMID 15989954. S2CID 16697879.
  10. ^ Horsefield R, Yankovskaya V, Sexton G, Whittingham W, Shiomi K, Omura S, Byrne B, Cecchini G, Iwata S (March 2006). "Structural and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quinone-binding site of complex II (succinate-ubiquinone oxidoreductase): a mechanism of electron transfer and proton conduction during ubiquinone reductio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1 (11): 7309–16. doi:10.1074/jbc.m508173200. PMID 16407191.
  11. ^ Niemann S, Müller U, Engelhardt D, Lohse P (July 2003). "Autosomal dominant malignant and catecholamine-producing paraganglioma caused by a splice donor site mutation in SDHC". Human Genetics. 113 (1): 92–4. doi:10.1007/s00439-003-0938-0. PMID 12658451. S2CID 32412131.
  12. ^ "SDHC". Genetics Home Referenc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Retrieved 26 March 2015.

추가 읽기

외부 링크

기사는 공공영역에 있는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의 텍스트를 통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