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Book of Revelation
프런티스피스, 요한계시록, 산파올로 푸오리무라 9세기 성경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 또는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록이라고도 불리는 계시록신약성서의 마지막 책이며, 결과적으로 기독교 성경의 마지막 책이기도 하다. 그것의 제목은 코인 그리스어 본문의 첫 단어아포칼리시스(apokalypsis)에서 따온 것으로서, "비열하다" 또는 "반복하다"는 뜻이다. 요한계시록은 신약성경에서 유일하게 종말론적인 책이다.[a] 그것은 기독교 종말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저자는 본문에서 자신을 '존'이라고 명명하지만 정확한 정체성은 학문적 논쟁점으로 남아 있다. 파피아스, 저스틴 순교자, 이레나에우스, 멜리토(사르디스의 주교),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Clement of Alexandria) 등 2세기 기독교 작가들과 무라토리아 파편의 저자는 사도 요한계시를 요한이라고 밝히고 있다.[1] [2] 현대의 장학금은 일반적으로 다른 관점을 취하는데,[3] 그가 기독교 선지자였다는 것 외에는 저자에 대해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고려한다.[4] 현대 신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자를 '패트모스의 요한'으로 규정한다. 전통 출처의 대부분은 이 책이 로마 황제 도미티아누스(AD 81-96)의 통치 기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를 증명하는 경향이 있다.[5][b]

이 책은 서간, 종말론, 예언의 세 가지 문학 장르에 걸쳐 있다.[7] 그것은 에게팻모스 섬에 있는 존이 "아시아의 일곱 교회"에게 편지를 쓰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 예수재림에서 절정을 이루는 일곱머리 용, 독사, 야수와 같은 인물들을 포함한 일련의 예언적 환영을 묘사한다.

모호하고 사치스러운 이미지가 기독교의 다양한 해석으로 이어졌다. 역사주의 해석에서는 요한계시를 넓은 역사관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는 반면, 사전주의 해석에서는 요한계시를 대부분 사도시대(1세기)의 사건이나 늦어도 로마제국의 붕괴를 가리키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when?] 한편 미래학자들은 요한계시가 요한계시록이 현대적 능력을 가진 그레코로만 제도의 재등장 또는 지속적 지배를 시대를 통틀어 몸이나 신자로 성장한 7개 교회와의 미래의 사건들을 친숙한 방식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상주의자나 상징적 해석은 요한계시가 n을 행한다고 보고 있다.ot는 실제 사람이나 사건을 언급하지만, 선과 악의 영적 경로와 현재 진행중인 투쟁에 대한 우화다.

구성 및 설정

제목, 저자 및 날짜

성 요한은 11세기 생시버 비투스 계시를 받는다.

요한계시록이라는 이름은 코인 그리스어로 된 책의 첫 단어인 ἀποκάυ ( ((apokalypsis)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단어는 "해고 없다" 또는 "복고한다"는 뜻이다. 저자는 자신을 '존'으로 명명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요한복음서 작성자 역시 요한복음서를 썼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8] 그는 유대교 기독교 예언자였으며, 아마도 그런 예언자 그룹에 속했을 것이며, 그가 그의 편지에 주소를 쓰는 집단에 의해 받아들여졌다.[5][9]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치세를 가리키는 비전의 단서들에 의해 제시된 AD 95년 경으로 흔히 날짜가 잡힌다.[10] 머리 일곱 개와 숫자 666을 가진 이 짐승은 네로 황제(AD 54–68 재지정)에게 직접 암시하는 것 같지만, 이후 수십 년 동안 네로가 돌아올 것이라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기 때문에, 요한계시가 60년대에 쓰여졌다고 할 필요는 없다.[11][5]

장르.

계시는 아시아 로마 지방의 7개 교회를 대상으로 한 서론적 소개와 함께 종말론적 예언이다.[4] 아포칼립스(Apocalypse)는 신성한 신비를 밝히는 것을 뜻하며,[12] 요한은 밝혀진 것(그의 비전 속에서 보는 것)을 적어 일곱 교회에 보내는 것이다.[4] 전체 책은 편지를 구성한다. 7개의 개별 교회에 보내는 편지는 나머지 7개 교회 모두에 대한 소개서다.[4] 지배적인 장르가 종말론적인 반면 저자는 자신을 기독교 예언자로 본다: 요한계시록은 그 어떤 신약성서보다도 21번 다양한 형태로 그 단어를 사용한다.[13]

원천

학자들 사이에서는 정확한 암시의 수나 암시의 수 자체에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요한계시록은 구약성서를 암시한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다.[14] 요한계시는 구약성서에서 직접 인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거의 모든 구절은 오래된 경전을 암시하거나 반향한다. 참고문헌의 절반 이상이 다니엘, 에스겔, 시살름, 이사야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니엘은 길이에 비례하여 가장 많은 숫자를 제공하고 에스겔은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참고문헌은 인용문보다는 암시로 나타나기 때문에 저자가 히브리어를 썼는지 그리스어판 경전을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리스어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15]

설정

종래의 이해로는 계시록은 궁지에 몰린 기독교인들이 황제의 손에 의해 박해를 받자 그들을 위로하기 위해 쓰여졌다는 것이다.

해석은 이것만이 아니다. 도미티안은 제국주의적 이교도를 강요하는 폭군이 아니었을 수도 있고, 그의 시대에 기독교인에 대한 제국 차원의 조직적인 박해는 없었을 수도 있다.[16] 계시는 대신 훨씬 더 큰 비기독교 공동체와 교전할지 아니면 탈퇴할지 여부를 놓고 아시아 마이너 기독교 공동체 내의 갈등의 맥락에서 구성되었을 수 있다. 요한계시는 로마 제국 숭배 집단과 타협하고 싶었던 기독교인들을 꾸짖는다.[17] 이것은 로마 아시아의 기독교인들이 매우 실제적인 처벌을 가한 더 넓은 로마 사회에서 탈퇴하고 이에 반항하기 위해 고통받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요한계시는 종말론적인 희망을 제공함으로써 이 현실에 대한 승리를 제공했다. 아델라 콜린스 교수의 말을 빌리자면, "무엇이 되어야 할지는 현재의 현실로서 경험했다."[18]

표준사

요한계시는 기독교 성서 캐논에 마지막으로 받아들여진 책들 중 하나였으며, 오늘날까지 동양교회에서 유래한 일부 교회들이 이를 거부하고 있다.[19][20] 동양의 기독교인들은 이 책의 저자와 특이한 문체에[21] 대한 의심이 이단자로 여겨지는 몬타니아인들과 다른 단체들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을 혐오함으로써 이 책에 대해 회의적이 되었다.[22] 요한계시록에 대한 이러한 불신은 15세기까지 동양에서 지속되었다.[23]

알렉산드리아의 주교가자 오리지앵의 제자인 디오니시오스(AD 248)는 세린토스 자신이 세린토스가 작가라는 관점을 채택하지는 않았지만 요한토스가 요한계시록을 썼을 수 있었다고 썼다. 그는 종말론을 영감을 받은 사람의 작품이지만 사도(Eusebius, Church History VII.25)의 작품은 아니라고 여겼다.[24]

에우세비우스는 자신의 교회사(C. AD 330)에서 요한계시록이 시논서로 받아들여지고 동시에 거부되었다고 언급하였다.

  • 1. … 이미 언급된 신약성서의 글을 요약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 다음엔 존의 종말론, 즉 존의 종말론, 즉 존의 종말론을 적절한 시기에 제시해야 한다. 이 글들은 그 후 통용되는 [호몰로거우메나]에 속한다.
  • 4. 거절당한 [키르소프] 중에서. 호수 번역: "진짜가 아니다"라고 내가 말했듯이, "존의 종말론"이 적절해 보이면, 일부는, 내가 말했듯이, 거절하지만, 다른 이들은, 받아들여진 책들과 함께 등급이 매겨우 번역: "진짜가 아니다"라고 써야 한다.[25]

존의 종말론은 둘 다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간주된다(키르소프). 호수 번역: "인정")과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이것은 정확히 그렇게 함으로써 에우세비우스가 무엇을 의미했는지에 대해 약간의 혼란을 야기시켰다. 그 논쟁은 아마도 오리건 탓으로 돌릴 수 있을 것이다.[26] 오리지앵은 그의 글에서 그것을 받아들인 것 같다.[27]

예루살렘의 키릴(AD 348)은 이 이름을 정식 서적(Catechesis IV.33–36) 중에서 짓지 않는다.[28]

그의 편지 39,[29]아우구스티누스(c.AD397명)에서 기독교 독트린 위에는 그의 책은 그의았으며 12사도들에(북 2세 제8장)[30]Tyrannius Rufinus(c.AD400)에 아타나시우스(AD367)의 Creed,[31일]교황 Innocent 나는(AD405)에 편지에 그 주교의 Toulouse[32]과 존의 다마스쿠스(에 대해 AD730)에서 작품을 한 박람회의 Ortho.dox 페이스(북IV:7)[33]는 "예방사 요한계시록"을 정식 서적으로 등재하였다.

시노즈

라오디체아 평의회(AD 363)는 그것을 표준서적으로 생략하고 있다.[34]

519년부터 553년 사이에 익명의 학자가 쓴 《데크레툼 겔라시아누스》에는 로마 평의회(AD 382)에서 성서로 추정한 것으로 제시된 경전집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이 목록은 그것을 신약성서의 일부분으로 언급하고 있다.[35]

히포 시노드(AD393년), [36]카르타고 평의회(397년), 카르타고 평의회(419년), 피렌체 평의회(1442년),[37] 트렌트 평의회(1546년)[38]가 그 뒤를 이었다.[39]

692년 트룰로 동방 정교회의 승인을 받았으나 교황 세르기우스 1세에게 거부당한 사도 카논은 이를 생략한다.[40]

개신교 개혁

16세기 개신교 개혁 과정에서 의혹이 다시 불거졌다. 마틴 루터가 신약의 첫 번역(그는 훨씬 더 좋은 평가로 1530년에서 자신의 입장을 개정했다)[41]울리히 츠빙 글리 그것"성경에 나오지 않는 책"[42]고 있는 유일한 신약 책은 존 캘빈은 논평을 쓰지 않은이라 불렀다에 1522년 서문에서 요한 묵시록"도 아니고 예언적인 교황"라고 불렀다.[43] 2015년 현재 요한계시록은 동방정교회의 신약성경에서 읽지 않은 유일한 신약성경서로 남아 있지만 가톨릭과 개신교 신자들은 이를 포함하고 있다.[44]

본문과 원고

그리스계 요한계시록의 필사본은 대략 300권이다.[45] 코덱스 바티칸(4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다른 위대한 비구문에는 존재한다. 시나티쿠스 (4세기), 알렉산드리누스 (5세기), 에브라에미 레스크키투스 (5세기)가 있다. 그 외에도 수많은 파피리가 있는데, 특히 Ⅱ와47 115(둘 다 3세기), 마이너스 분자(8~10세기), 2~5세기 교회 아버지들의 단편적인 인용문과 안드레아스의 요한계시에 대한 6세기 그리스어 해설도 있다.[46]

구조 및 내용

존에게 나타난 천사, 13세기 필사본, 영국 도서관, 런던
천사는 요한에게 950년경 아시아의 교회인 비투스 에스코랄에게 그 편지를 준다.

문학적 구조

이 책의 구절은 주요 구절의 반복, 주제의 블록을 배열하여 그 그리스도론적인 구절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47] 많은 용도가 상당한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고대 수문학에 따라 완벽함을 나타내는 숫자 7이 많이 사용된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계시록의 구조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완전한 공감대 부족'이 존재한다.[49] 따라서 아래는 책의 구조라기보다는 책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개요

요한계시록 6.2: "백마를 보고 보니, 그 위에 앉은 사람은 활을 가지고 있었고, 왕관은 그에게 주어졌다. 그리고 그는 정복하고 정복하기 위해 나아갔다." 17세기 모스크바 톨코비 아포칼립스 출신 화이트 라이더
종말론 7번, 14만4000명의 당선자 비투스 도스마, 11세기
네 번째 천사는 그의 트럼펫인 아포칼립스 8 베투스 에스코리알, 950년 경을 울린다.
종말론 12, 여인과 용. 비투스 도스마, 11세기
일곱 머리 표범 같은 짐승, 아포칼립스 13, 비투스 에스코리알
Joseph Martin Kronheim의 Discovery 22:17을 나타내는 1880 Baxter 공정 색상판
`너희 낫을 먹고, 거두어라. 너희가 거두어야 할 때가 오고, 땅의 수확이 무르익어야 한다.'(14:15), 에스코리엘 비투스 (14:15
붉은 용과 태양으로 옷을 입은 여인 (12차 개정판 1–4), 윌리엄 블레이크 (1803–1805), 브루클린 박물관

요한계시록의 개요:[according to whom?]

  1.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
    1.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록은 예언적인 환영을 통해 요한에게 전달된다. (1:1–9)
    2. 요한은 "인간의 아들 같은 자"로부터 예언적인 시각에서 아시아의 일곱 교회까지 듣고 보는 모든 것을 쓰라는 지시를 받는다. (1:10–13)
    3. '인간의 아들 같은 사람'의 등장이 주어지고, 그는 일곱 별과 일곱 개의 등잔대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드러낸다.(1:14–20)
  2. 아시아의 7개 교회 메시지
    1. 에페서스: 이 교회로부터 "이해하는 자는 하나님의 천국 가운데 있는 생명의 나무에서 먹는 것이 허락된다."(2:1–7)
      1. 악한 자들을 품지 않고, 사도라고 말하는 자와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자들을 시험하고, 거짓말쟁이라고 생각하는 자들을 찾아내고, 니콜라아 사람들의 행위를 미워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인내심을 가지고 있는 자들을 칭찬한다.
      2. "첫 번째 일을 하라"고 훈계하고 "첫사랑"을 떠난 것에 대해 회개하라.
    2. 스미르나: 이 교회로부터 죽을 때까지 충실한 사람에게는 '생명의 왕관'이 주어질 것이다. 극복한 자는 두 번째 죽음으로 상처받지 않는다.(2:8–11)
      1. 가난하고 고통받는 동안 "부자"로 칭송된다.
      2. '사탄의 회합'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훈계하고, 감옥에 던져지는 열흘간의 시련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했다.
    3. 페르가뭄: 이 교회로부터 극복하는 자에게는 먹을 수 있는 숨은 마나와 그 위에 비밀 이름이 새겨진 흰 돌이 주어질 것이다.(2:12–17)
      1. 안티파스 시대에도 '내 신앙'을 부정하지 않고 '내 이름을 향해 빨리'를 들고 있다는 찬사를 받으며, '나의 충실한 순교자'를 자처했다.
      2. 발락에게 이스라엘 자손 앞에 걸림돌을 두라고 가르친 발람의 교리를 참회하라고 훈계하고, 우상에게 희생된 것을 먹고, 음행을 저지르고, '니콜라아 사람들의 교리'를 쥐었다.
    4. 티아티라: 이 교회에서 끝까지 이겨낸 자는 쇠막대기로 민족을 산산조각 낼 수 있도록 권세를 부여받고, '아침별'을 받게 된다. (2:18–29)
      1. 그들의 작품, 사랑, 봉사, 믿음, 인내로 찬사를 받았다.
      2. '제안자'가 성적 비도덕성을 조장하고 우상에게 희생된 것을 먹도록 허용한 것에 대해 회개하라고 훈계했다.
    5. 사르디스: 이 교회로부터 이겨낸 사람은 흰 옷을 입고, 그의 이름은 생명의 책에서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그의 이름도 아버지와 그의 천사들 앞에서 고백될 것이다. (3:1–6)
      1. 그들의 작품이 신 앞에서 완벽하지 않았으므로 주의하고 강화하라고 훈계했다.
    6. 필라델피아: 이 교회로부터 극복하는 자는 하나님의 성전 안에 하나님의 이름과 하나님의 성읍 이름 ' 예루살렘'과 하나님의 아들이 새 이름을 가진 기둥이 될 것이다. (3:7–13)
      1. 힘이 좀 있고, "내 말"을 지키고, "내 이름"을 부정하지 않은 것을 칭찬했다.
      2. 그들이 가진 것을 꽉 잡고, 아무도 그들의 왕관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상기시켰다.
    7. 라오디체아: 이 교회로부터 극복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의 아들과 함께 그의 왕좌에 앉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3:14–22)
      1. 열성적이고 '따뜻한' 것을 회개하라고 훈계하며, '불 속에서 정제된 금'을 사도록 지시받고, 부자가 될 수 있도록 하고, '흰 옷'을 사도록 하고, 옷을 입혀 벌거벗은 부끄러움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눈알을 살살 돋우도록 한다.
  3. 신의 왕좌 앞에서
    1. 24명의 장로들이 앉아있는 24명의 왕좌에 둘러싸여 하나님의 보좌가 나타난다. (4:1–5)
    2. 네 생물체가 소개된다. (4:6–11)
    3. 일곱 개의 도장이 있는 두루마리가 출토되고 '다윗의 뿌리'에서 나온 유다 지파의 사자만이 이 두루마리를 열 가치가 있다고 선언된다(5:1–5)
    4. '7개의 뿔과 7개의 눈을 가진 람'이 두루마리를 잡았을 때, 하늘의 피조물이 어린 양 앞에 엎드려 그에게 찬사를 보내며 무수한 천사와 땅의 피조물이 함께 했다.(5:6–14)
  4. Seven Seals 열림
    1. 첫 번째 봉인: 백마가 나타나는데, 그 왕관을 쓴 기수는 정복할 활을 가지고 있다. (6:1–2)
    2. 두 번째 봉인: 붉은 말이 나타나는데, 그 말을 탄 사람은 땅에서 평화를 얻을 "위대한 검"을 받는다. (6:3–4)
    3. 세 번째 봉인: 검은 말이 나타나는데, 그 말을 탄 사람은 "손에 한 쌍의 균형"을 가지고 있는데, 그 때 한 음성이 "밀 한 척은 1페니에, 보리 세 척은 1페니에, [보기] 기름과 포도주를 해치지 않았다."(6:5–6)
    4. 넷째 봉인: 창백한 말이 나타나는데, 그 말을 탄 사람은 죽음이고, 하데스는 그를 따른다. 죽음은 지구의 4분의 1을 차지하며, 칼과 배고픔과 죽음과 함께, 그리고 땅의 짐승들과 함께 죽인다. (6:7–8)
    5. 다섯째 봉인: "제단 아래"는 복수를 외치는 "하나님의 말씀"을 위해 순교자들의 영혼이 나타났다. 그들은 흰 예복을 입고 형제의 순교가 끝날 때까지 쉬라고 한다. (6:9–11)
    6. 여섯 번째 봉인: (6:12–17)
      1. '태양은 털 자루처럼 검어지고, 달은 피처럼 검어지는 대지진(6:12)'이 일어난다.
      2. 하늘의 별은 땅에 떨어지고 하늘은 두루마리처럼 기울어진다(6:13–14).
      3. 모든 산과 섬은 제자리에 있지 않다(6:14).
      4. 지구인들은 산속의 동굴로 후퇴한다(6:15).
      5. 살아남은 자들은 산과 바위 위에 엎드려서 '양들의 상처'(6:16)로부터 숨길 것을 요구한다.
    7. 막간: 14만4천명의 히브리인들은 봉인되었다.
      1. 이스라엘 열두 지파에서 14만4000명은 이마에 하나님의 종으로 봉해졌다(7:1–8)
      2. 무리가 대환영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보좌 앞에 서서, '양들의 피에 흰' 옷을 입고 손바닥 가지를 손에 들고 있다. (7:9–17)
    8. 일곱 번째 봉인: 일곱 개의 트럼펫 소개(8:1–5)
      1. "하늘에 30분 정도 침묵하라"(8:1)
      2. 7명의 천사가 각각 나팔꽃(8:2)을 받는다.
      3. 여덟 번째 천사는 천단으로부터 불을 가득 채운 '황금 검열기'를 가져다가 땅(8:3–5)에 던진다. 이어지는 것은 '번개, 우르릉, 번개, 지진'(8:5)이다.
      4. 여덟 번째 천사가 대지를 초토화시킨 후, 2절에 소개된 일곱 명의 천사가 나팔을 불 준비를 한다(8:6).
  5. 7개의 트럼펫이 울린다(8장, 9장, 12장에 표시됨).
    1. 퍼스트 트럼펫: 우박과 불은 피와 뒤섞여 나무와 푸른 풀의 3분의 1을 태우며 땅으로 던져진다(8:6–7)
    2. 두 번째 트럼펫: 큰 산을 닮은 무언가가 불길에 타오르며 하늘에서 떨어져 바다에 내려앉는다. 바다생물의 3분의 1을 죽이고, 바다에 있는 배의 3분의 1을 파괴한다(8:8–9
    3. 제3의 트럼펫: 웜우드라는 위대한 별이 하늘에서 떨어져 강과 샘의 3분의 1을 독살한다(8:10–11)
    4. 네 번째 트럼펫: 해, 달, 별의 1/3이 어둠을 받아 낮과 밤의 1/3이 완전히 어두워진다. (8:12–13)
    5. 다섯 번째 트럼펫: 더 퍼스트 워 (9:1–12)
      1. '별'이 하늘에서 떨어진다(9:
      2. 이 "별"에는 "밑 빠진 독의 열쇠"(9:1)가 주어진다.
      3. 그러면 '별'이 밑 빠진 독을 연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거대한 용광로에서 나오는 연기처럼 [나비]에서 연기가 난다. 해와 하늘이 아비스의 연기에 의해 어두워졌다."(9:2)
      4. 연기 속에서 '땅의 전갈과 같은 힘을 부여받은' 메뚜기(9:3)가 이마에 '신의 종자'가 주어지지 않은 사람(7장 4절) 외에는 아무도 해치지 말라는 명령을 받은 것이다.
      5. "루커스트"는 인간의 모습(발과 머리)을 가지고 있지만 사자의 이빨을 가지고 있고, "철로 만든 양탄자"를 입고 있다고 묘사된다. 그들의 날개 소리는 "많은 말과 병거들이 전투에 뛰어드는 천둥소리"(9:7–9)와 닮았다.
    6. 여섯 번째 트럼펫: 더 세컨드 워 (9:13–21)
      1. 유프라테스 강에 묶인 네 의 천사를 풀어 2억 명의 기병을 준비한다.
      2. 이 군대는 화재, 연기, 전광석화의 재앙으로 인류의 3분의 1을 죽인다.
    7. 막간: 작은 두루마리. (10:1–11)
      1. 한 발이 바다 위에 있고, 한 발이 땅에 있고, 손에 작은 책을 들고 천사가 나타난다.
      2. 천사의 울음소리에 일곱 명의 천둥소리가 요한에게 받아 적으면 안 되는 신비와 비밀을 말한다.
      3. 존은 입에서는 달콤하지만, 위에서는 쓰라린 작은 두루마리를 먹고, 예언을 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4. 요한에게는 하나님의 성전과 제단, 그리고 거기에서 예배하는 사람들을 재는 계량봉이 주어진다.
      5. 성전 밖, 성읍의 궁정에서, 마흔두 달 동안 각국에 의해 약탈된다.3+1/2년).
      6. 목격자 2명이 1,260일 동안 베옷을 입고 예언을 했다(11:1–14)
    8. 일곱 번째 트럼펫: 일곱 그릇(11:15–19)으로 이어지는 세 번째 우.
      1. 하나님의 성전이 하늘에서 열리고, 거기에서 하나님의 언약궤가 보인다. 번개, 소음, 천둥, 지진, 큰 우박이 있다.
  6. 일곱 영적 인물. (제3의 재앙으로 이끄는 사건들)
    1. 한 여성이 "흰 가운을 입고, 태양을 등에 업고, 달을 발밑에 두고, 머리에는 별 12개의 왕관을 쓰고 있다"(12:1–2)는 남자 아이를 임신 중이다.
    2. 위대한 드래곤(머리 7개, 뿔 10개, 관 7개를 머리에 이고)은 꼬리로 하늘의 별 3분의 1을 끌고 지구로 던진다(12:3–4). 용은 아이가 태어나기를 기다려서 그것을 먹어치울 수 있다. 그러나 아이가 태어난 후 어느 날, 그는 신의 왕좌에 휘말리게 되고, 여자는 1,260일(3년) 동안 그곳에서 그녀를 먹여 살려야 한다는 신의 준비된 곳으로 광야로 뛰어들게 된다. (12:5–6). 저 늙은 독사, 악마, 사탄 (12:9)으로 확인된 마이클과 드래곤 사이에 천국에서 전쟁이 일어난다. 큰 싸움 끝에 용과 그의 천사들은 영원히 천국에서 쫓겨나고, 이어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승리의 찬사가 이어진다. (12:7–12). 용은 여인을 박해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여인은 여인을 피하려고 원조를 받는다. 그녀의 발악은 용을 화나게 하여, 용은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고 예수 그리스도의 증언을 하는 나머지 자손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게 한다. (12:13–17)
    3. 야수 한 마리(머리 일곱 개, 뿔 열 개, 왕관 열 개를 뿔에 달고, 머리 위에 신성모독의 이름을 달고)가 바다에서 나타나며, 그 머리에는 치명상을 입은 머리 한 개가 있는데, 그 머리에는 그 후에 치유된다. 세상 사람들은 야수를 궁금해하고 따라간다. 용은 그에게 42개월 동안 권력과 권위를 부여한다. (13:1–5)
    4. 바다의 야수는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하고(하나님의 성막과 그의 나라와 하늘에 사는 모든 사람과 함께) 성도들과 전쟁을 치르고 그들을 이겨낸다.(13:6–10)
    5. 그 때, 한 야수가 용처럼 말하면서 양처럼 두 개의 뿔을 가지고 지구에서 나온다. 그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입었지만 살아 있는 바다의 야수의 이미지를 만들어, 그 속에 생명을 불어넣고, 모든 사람들에게 '야수의 표식'인 '666'을 강요한다. 제3의 재앙으로 이어지는 사건:
    6. 어린 양은 14만4천 개의 "첫 열매"를 가지고 시온 산에 서 있는데, 이들은 지구에서 구원을 받고 야수와 그의 표식 및 이미지를 이긴다. (14:1–5)
      1. 세 천사의 칭송. (14:6–13)
      2. 인자와 같은 사람이 땅을 재탕한다. (14:14–16
      3. 두 번째 천사는 "지구의 포도주"를 다시 가져와 "신의 분노의 위대한 포도주 생산자... 그리고 포도주 생산자로부터 피가 흘러나왔다... 천 육백 스테디아까지." (14:17–20)
      4. 천국에 있는 성막의 성전이 열리고(15:1–5) '7그릇' 계시를 시작한다.
      5. 하나님의 진노가 깃든 마지막 일곱 재앙이 담긴 네 생명체로부터 일곱 천사에게 황금 그릇이 주어진다. (15:6–8)
  7. 일곱 개의 그릇이 지구로 쏟아진다.
    1. 첫 번째 볼: "울림과 악성 통증"은 야수의 추종자들을 괴롭힌다. (16:1–2)
    2. 두 번째 볼: 바다는 피로 변하고 그 안의 모든 것이 죽는다. (16:3)
    3. 세 번째 볼: 모든 민물은 피로 변한다. (16:4–7)
    4. 네 번째 볼: 태양은 강렬한 열로 지구를 쬐고 심지어 몇몇 사람들을 불로 태운다. (16:8–9)
    5. 다섯 번째 볼: 야수의 왕국에는 완전한 어둠과 큰 고통이 있다. (16:10–11)
    6. 식스 볼: 강 유프라테스는 말라서 동양의 왕과 아마겟돈에서의 선과 악의 세력간의 마지막 전투에 대비한다(16:12–16).
    7. 제7공기 : 대지진과 심한 우박 : "모든 섬이 도망쳐 나갔는데 산들이 발견되지 않았다."(16:17–21)
  8. 여파: " 일곱 그릇을 가진 천사"가 준 요한의 비전
    1. 주홍빛 야수(머리 일곱 개와 뿔 열 개와 온 몸에 신성모독의 이름을 가지고 있음)와 많은 물가에 앉아 있는 위대한 할롯: 바빌로니아 대왕. 요한에게 할롯과 주홍빛 야수의 비전을 보여주는 천사가 그들의 정체성과 운명을 밝힌다(17:1–18)
    2. 뉴 바빌론은 파괴되었다. (18:1–8)
    3. 지구인(왕, 상인, 선원 등)은 뉴 바빌론의 멸망을 애도한다. (18:9–19)
    4. 뉴 바빌론 파괴의 영속성. (18:20–24)
  9. 양의 결혼 만찬
    1. 많은 사람들이 신을 찬양한다. (19:1–6)
    2. 양의 결혼 만찬(19:7–10)
  10. 두 짐승, 용, 사자의 심판(19:11–20:15)
    1. 야수와 거짓 예언자는 불의 호수에 던져진다(19:11–21)
    2. 용은 천 년 동안 보텀리스 구덩이에 갇혀 있다. (20:1–3)
    3. 부활한 순교자들은 천 년 동안 그리스도와 함께 살고 군림한다. (20:4–6)
    4. 천년후
      1. 용은 풀려나 지구 네 모퉁이인 고그와 마곡에 있는 민족들을 속이기 위해 나가서 성스러운 성읍에서 싸우기 위해 모인다. 용은 신의 백성들과 전쟁을 하지만 패배한다. (20:7–9)
      2. 용은 야수와 거짓 예언자와 함께 불의 호수로 던져진다. (20:10)
      3. 최후의 심판: 악인은 죽음, 하데스와 함께 불의 호수에 던져지고, 이것은 두 번째 죽음이다. (20:11–15)
  11. 신천지와 신예루살렘
    1. '신천지'와 '신천지'가 옛 천지와 옛 땅을 대신한다. 더 이상 고통도 죽음도 없다(21:1–8)
    2. 신은 신 예루살렘에서 인류와 함께 살게 된다. (21:2–8)
    3. 신예루살렘에 대한 설명. (21:9–27)
    4. 생명의 강과 생명의 나무는 민족과 민족의 치유를 위해 등장한다. 죄악의 저주가 끝나다. (22:1–5)
  12. 결론
    1. 그리스도는 그가 곧 올 것이라고 확신했다. 마지막 훈계. (22:6–21)

해석

요한 계시록 어떤 s를 부인하고 해석의 다양한 가장 간단한 역사적 해석, 너는 장래에 무엇인 윌의 하나님과 사탄("상징적인 해석")에 W의 승리의 방법에 의해, 다른 종료 시간 시나리오에("미래파 해석")[50][51]비평가들의 견해에 일어날 예언적 견해에 이르기까지 가지고 있piritual 요한계시록의 가치를 인간에게 물려주는 원형으로 돌리는 [52]

리투라식

파스찰 리테리아술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 모두 표현을 찾아낸 이 해석은 요한계시록의 구조와 의의를 이해하는 배경과 맥락으로 초기 기독교의 재판 예배, 특히 부활절 의식을 꼽는다. 이러한 관점은 매시 H의 <파스찰 리투르기와 종말론>(신판, 2004년)에서 설명된다. 성공회 학자인 셰퍼드스콧 한의 <양고기 만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가 형식상의 요한계시는 창조, 타락, 판단, 구원을 거쳐 구조된다고 말하는 지구상의 천국 미사(1999년)가 그것이다. 이런 견해를 가진 사람들은 성전의 파괴(AD 70)가 예루살렘뿐 아니라 지중해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 사이에서 유대인들에게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53]

그들은 요한계시록이 신천지에서의 신전 예배라고 말하면서 초기 성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성찬을 천상의 연회의 전미라고 하는 사상은 영국 감리교 제프리 웨인라이트(Geoffrey Wainwright)가 그의 저서 성찬과 에스차톨로지(Oxford University Press, 1980)에서도 탐구하고 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따르면 요한계시록의 일부 이미지는 1세기 아시아 교회의 극적인 고통과 박해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54]

이에 따라 이들은 요한계시록이 수수께끼 같은 경고로 읽혀질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악에 대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고무적인 비전으로 읽혀져야 한다고 주장한다.[55]

동양 정교회

콥트 정교회에서 계시의 모든 책은 묵시록의 이나 굿 프라이데이에 읽힌다.[56]

에스카톨로지

대부분의 기독교 해석은 다음 범주 중 하나 이상에 속한다.

동방 정교회

'성인의 종말론'의 정통파 우상 16세기 요한

동방 정교회는 본문을 동시대의 사건(동시에 일어나는 사건)과 다가올 사건에 대한 예언으로 동시에 기술하는 것으로 취급하는데, 그 동시대의 사건은 일종의 예시였다. 그것은 "그가 여기 있다!"라고 일찍 선언하는 사람들에 대한 스크립트 경고를 마음에 새기면서, 사실 이전에 폭로의 사건들이 현재의 사건들에 그것들을 매핑함으로써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 그 대신 이 책은 종말이 올 때마다 영적으로 도덕적으로 준비하라는 경고("밤의 도둑으로")로 여겨지지만, 인간이 벼락치거나 하찮은 추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택하신 시간에 올 것이다.[57] 천주교 내부에서는 종말론의 성격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많은 가톨릭 신자들에 의해서도 받아들여지고 있다.[citation needed]

요한계시록은 비잔틴 제례와 같은 주교 밑에 있는 서양의 제례 정교회에서는 읽히지만 비잔틴 제례 교회의 예배 중에는 읽히지 않는 신약성서의 유일한 책이다.

개신교

초기 개신교 신자들은 그들의 성경에 대한 역사주의적 해석에 따라 교황을 적그리스도로 식별했다.

제7일 재림론자

초기 개신교 신자들과 비슷하게, 재림교 신자들은 종말론에 대한 성경의 예측에 대한 역사적 해석을 유지하고 있다.[58]

7일차 재림론자들은 요한계시록이 예수 그리스도의 2번째 탄생 이전의 날에 특히 신자들에게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 "만국교회는 그리스도를 진정으로 믿는 모든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배교 만연한 마지막 날,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잔재가 불려 나왔다."[59] "여기 성도들의 인내심이 있고,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의 신앙을 지키는 사람들이 있다."[60] 모든 인류를 위한 구원의 일에 참여요원으로서 "이 잔당들은 심판 시간의 도착을 알리고 그리스도를 통해 구원을 선포하며, 그의 두 번째 출정의 접근을 예고한다."[61] 요한계시록 14의 세 천사는 하나님의 전갈의 빛을 받아들이고,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나아가서 땅의 구석구석까지 경고음을 울리는 백성을 대표한다.[62]

바하이 페이스

밀러파 역사주의와 유사하게 추론함으로써, 예언의 변형된 역사주의 해석 방법인 바하후엘라흐진보적 계시의 교리는 바하위 신앙의 가르침에서 확인된다.[63]

바하후엘라의 아들이자 후계자로 지목된 압둘바하(Abdu'l-Baha)가 '일부 답변 질문'의 요한계시록 11장과 12장에 대해 일부 해석을 내놨다.[64][65] 1,260일이라는 형식은 이슬람력(AH 1260년 또는 AD 1844년)[66][67]의 1,260년을 가리킨다. " 명의 목격자"는 무함마드알리이다.[68] 또한 성경에는 "하늘에 큰 경이로움이 나타났다. 머리 일곱 개와 뿔 열 개, 머리 위에 왕관 일곱 개를 두고 있는 큰 붉은 용을 보라"[69]고 적혀 있다. 7개의 용의 머리는 우마야드족이 지배하는 7개의 성을 상징한다. 다마스쿠스, 페르시아, 아라비아, 이집트, 아프리카, 안달루시아, 트란소시아. 이 열 개의 뿔은 우마야드 왕조의 지도자 아부 수피아, 무아위야, 야지드, 마르완, 압드 알 말리크, 왈리드, 술레이만, 우마르, 히샴, 이브라힘의 열 개의 이름을 나타낸다. 일부 명칭은 야지드 2세, 야지드 3세 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재사용되었는데, 이 해석에는 포함되지 않았다.[70]

후기 성도 예수 그리스도 교회

모르몬교서는 사도 요한은 요한계시록의 저자로 하나님으로부터 예지되어 그것을 쓰도록 되어 있다고 밝히고 있다.[71][non-primary source needed]

77절의 교리와 규약은 요한계시록에 포함된 상징성에 관한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게재한다.[72][non-primary source needed] 주제는 유리의 바다, 네 마리의 짐승과 그들의 모습, 24명의 장로, 7개의 물개가 있는 책, 특정한 천사들, 144,000개의 봉인, 요한에 의해 먹힌 작은 책, 11장의 두 명의 목격자 등이다.

후기 성도 예수 그리스도의 교인들은 요한계시록 22:18–19에[73] 포함된 경고가 성경적 성서 전체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고 믿는다.[74] 오히려 하나님과 LDS 신앙의 현대판 예언자와 사도들 사이의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대화는 성경의 공개적인 성전을 구성한다.[72][75]

난해한

그러나 기독교 그노스틱스는 요한계시의 중심인 희생된 양을 통한 구원의 교리가 그노스틱스에게는 혐오스럽기 때문에 요한계시의 가르침에 끌릴 것 같지는 않다. 크리스천 그노스틱스는 "죄의 용서를 믿었지만, 죄에 대한 대리 희생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그 말씀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에서 받아들였다. 그리스도의 죽음이 아니라 그의 삶이 그들의 교리와 실천의 기조였다.'[76]

제임스 모건 프라이스는 요한계시를 힌두교의 차크라 이론의 서양 버전으로 본 난해한 지론자였다. 그는 "이 책의 목적은 종말론이 영적 발전의 매뉴얼이지, 관습적으로 해석되는 것처럼, 암호화된 역사나 예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77]이라고 작품을 시작했다. 그러한 다양한 이론들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그러나 크리스토퍼 롤랜드는 "언제나 옷감 전체에 짜여지는 것을 거부하는 느슨한 실들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 세계관의 깔끔한 태피스트리(tapestry)에 편입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는 실의 존재는 보통 그런 관점을 완전히 훼손하는 것은 아니다.[78]

급진적 제자정신

급진적 제자양성 해석은 요한계시록이 급진적 제자양성을 위한 지침서로 가장 잘 이해된다고 주장하는데, 즉 예수의 정신과 가르침에 충실하고 단순히 주변 사회에 동화되는 것을 피하는 방법이다. 이 해석에서 이 책의 주요 의제는 하나님과 하나님 나라의 길에 반대하려는 세속적인 힘을 속이는 것으로 드러내는 것이다.[citation needed] 1세기 기독교인들에게, 그리고 오늘날에 있어서 가장 큰 유혹은 예수의 비폭력적인 가르침과 예수를 고수하지 못하고, 대신 제국주의, 민족주의, 그리고 시민종교가 가장 위험하고 음흉한 것이라는 세속적, 민족적 또는 문화적 가치의 의심의 여지없는 채택과 동화에 유혹되는 것이다.[citation needed]

이러한 관점(해방 신학과 밀접하게 관련됨)은 체드 마이어스, 윌리엄 스트링펠로, 리처드 호슬리, 다니엘 베리건, 웨스 하워드 브룩,[79] 조어그 리거와 같은 성경 학자들의 접근에 바탕을 두고 있다.[80] 자크 엘룰과 같은 다양한 기독교 무정부주의자들국가정치 권력야수[81], 그리고 앞서 언급한 '잘못'인 그들의 행동과 결과로서 묘사된 사건들을 확인했다.

미적·문학적

아우크스부르크 운더자이첸부치의 이 작품은 요한계시록 11장 5절에서 8절까지를 묘사하고 있다. "만약 그들을 해칠 사람이 있다면, 그들의 입에서 불이 쏟아져 나와 적을 소모한다. 만약 누군가 그들을 해친다면, 이렇게 죽임을 당할 운명인 거야... 그리고 그들이 증언을 마치면 밑바닥 없는 구덩이에서 솟아오른 짐승이 그들에게 전쟁을 일으켜 그들을 정복하여 죽일 것이며, 그들의 시체는 위대한 도시의 거리에 놓여 있을 것이다.(c. 1550)

문학작가와 이론가들은 요한계시록의 기원과 목적에 대한 광범위한 이론에 기여했다. 이들 작가들 중 일부는 기성 기독교 신앙과 아무런 관련이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계시록에서 영감의 원천을 발견한다. 힌두 철학과 유대인 미드라쉬로부터 계시가 접근해 왔다. 다른 사람들은 현대 시적 영감과 예언적 영감의 유사성이나 그리스 드라마와의 유사성 등 무시되어 온 구성의 측면을 지적해 왔다. 최근에는 독자와 지문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의미를 창조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원작자가 의도한 것에 대해 관심을 덜 갖는 이론들이 생겨나고 있다.[citation needed]

찰스 커틀러 토레이예일 대학교에서 셈어어를 가르쳤다. 그의 지속적인 공헌은 요한계시록의 서기관과 같은 예언자들이 시인으로 가장 먼저 대우받을 때 얼마나 더 의미 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대부분의 영어 성경들이 모든 것을 산문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이것이 종종 놓치는 지점이라고 생각했다.[82] 시가 존이 나이 든 예언자들을 직접 인용하지 않은 이유이기도 했다. 만약 그렇게 했다면, 그는 자신의 시를 쓰고자 하는 반면에 그들의 (히브루) 시를 사용해야 했을 것이다. 토레이는 요한계시록이 원래 아람어로 쓰여졌다고 주장했다.[83]

토레이에 따르면 4차 복음은 1세기 중반 직후 팔레스타인에서 도망친 기독교인에 의해 에페소스에 전해졌다고 한다. 아람어로 씌어 있었어." 후에 에베소서인들은 이 도망자가 실제로 사랑하는 제자였다고 주장했다. 그 후 이 요한은 네로에게 추방되어 요한계시를 쓴 후 파트모스에서 죽었다. 토레이는 기독교인들이 회당에서 추방된 AD 80년까지 기독교의 메시지는 항상 회당에서 처음 들렸으며,[84] 문화적인 이유로 전도자가 아라마어(Aramaic)에서 말했을 것이며, 그렇지 않았다면 "청각이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85] 토레이는 요한계시록의 3대곡(신곡, 모세와 양의 노래, 19:6–8의 합창)이 각각 어떻게 4개의 규칙적인 계율 선에 코다를 더하여 자연스럽게 떨어지는지를 보여주었다.[86] 공포를 느낀 사람들이 숨으라고 외치는 6:16과 같은 요한계시록의 다른 극적인 순간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한다.[87] 살아남은 그리스어 번역은 요한계시록 22장 18절의 경고에 따라 어떤 식으로든 본문이 '손상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문자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크리스티나 로세티는 자연계의 관능적인 흥분이 죽음과 신에서 의미 있는 목적을 찾았다고 믿었던 빅토리아 시대의 시인이었다.[88] 그녀의 깊은 얼굴은 종말론에 대한 명상이다. 그녀의 견해로는 요한계시가 가르쳐야 할 것은 인내심이다.[89] 인내는 인간의 조건이 허용하는 완벽에 가장 가깝다.[90] 주로 산문으로 쓰여진 그녀의 책은 종종 계시 그 자체와 흡사하게 시나 환희에 잠기곤 한다. 존의 비전의[91] 관련성은 지속적인 현재 명상으로서 모든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속한다. 그러한 문제들은 영원하고 정상적인 인간의 계산 밖이다. "시간의 죽음이 될 그 겨울은 종말을 고할 가망이 없다. 봄이 아닌 겨울... - 누가 견딜 수 있겠나?"[92] 그녀는 존의 전언에 담긴 복수심에 능란하게 대처했다. [사설] `몇 사람은 심판을 받아야 한다. 예외 없이 모든 사람은 자비를 베풀어야 한다.'[93] 그녀의 결론은 기독교인들은 존을 '모든 형제들의 대표자'로 보아야 '기원대로 희망하고, 사랑했던 대로 사랑하라'[94]는 것이다.

최근에는 요한계시를 예술과 상상력의 작품으로 보고 그 이미지를 시대 없는 진리와 악에 대한 선의 승리에 대한 상징적 묘사로 보는 미학적·문학적 해석 방식이 발전하고 있다. 엘리자베트 슈슬러 피오렌자요한계시록을 다음과 같이 썼다. 수사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의로운 세계의 비전.[95] 이에 따라 요한계시의 의미는 부분적으로 독자들이 메시지를 받는 맥락에 의해, 그리고 부분적으로 논리를 넘어선 무언가에 대한 호소력에 의해, 존이 말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96]

슈슬러 피오렌자 교수는 폭로가 오늘날 혜택 받지 못한 단체들에게 보내는 해방 메시지로서 특별한 관련이 있다고 믿는다. 존의 책은 정의로운 세계에 대한 비전이지, 복수심에 불타는 세계 파괴의 위협이 아니다. 폭로의 메시지가 성별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그녀의 견해는 이견을 일으켰다. 그녀는 우리가 상징물들로 페티쉬를 만들기 보다는 상징물들을 뒤돌아봐야 한다고 말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티나 피핀은 존이 "끔찍한 문학"과 "서사의 기초가 되는 여성혐오"[96]를 쓴다고 말한다.

D. H. 로렌스는 자신이 쓴 마지막 책 <종말론>에서 요한계시에 대해 반대적이고 비관적인 견해를 취했다.[97] 그는 요한계시록이 사용한 언어가 황량하고 파괴적이라고 보았다. 그것은 '죽음의 산물'이다. 대신 그는 두 천적을 상대로 공공의 정신에 찬 개인주의(불확실한 우주적 의식으로 보충된 역사적 예수와 동일시)를 옹호하고 싶었다. 그 중 하나는 그가 기술에 기반을 둔 전체주의 사회에서 본 "지성의 주권"[98]이라고 불렀다. 또 다른 적은 "불가결함"[99]을 꾸몄고 그것이 그가 요한계시록에서 발견한 것이었다. "가난하고 겸손하지 않으면 매우 좋다" "적들을 완전히 파멸로 몰고 가는 동시에 스스로 웅장하게 일어서는 것" 그리고 이 일이 요한계시록에서보다 더 눈부시게 일어나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100]

요한계시에 대한 그의 구체적인 미적 반대는 그것의 이미지가 부자연스럽고 "양들의 분노"와 같은 구절들이 "어리석은 짓"이라는 것이었다. 그는 폭로가 두 개의 불협화음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첫 번째, 그가 상당히 좋아했던 '위대한 찰딘 스카이 스페이스'에 우주 재생의 계획이 있었다. 그 후, 로렌스는 이 책이 아기 메시아의 탄생에 몰두하게 되었고 "불쾌한 증오와 단순한 욕정... 로런스는 적들이 지옥에서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낙원에서만 행복할 수 있는 기독교인들을 묘사하기 위해 "팻모서스"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01]

학문적

현대 성서 학자들은 요한계시를 유대인과 기독교 종말론 문학의 장르 안에서 1세기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려고 시도한다.[102] 이 접근방식은 본문을 아시아 마이너 7개 역사 공동체에 대한 주소로 간주한다. 이 해석에 따르면, "시간이 가까워졌다"는 주장은 말 그대로 그 공동체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존이 '비열하고 악마적이며 신성한 판단'을 받는 현대 그레코로만형 사회에 순응하지 말라는 경고로 여겨진다.[102]

신약성서의 서술적 비평 또한 요한계시를 1세기 역사적 맥락에 배치하지만 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103] 예를 들어 서술 비평가들은 책의 분석에서 인물과 성격, 문학적 장치, 설정, 줄거리, 주제, 관점, 묵시적 독자, 묵시적 저자 및 기타 서술의 구성적 특징을 검토한다.

비록 요한계시록의 캐논에 대한 수용은 처음부터 논란의 여지가 있었지만, 본질적으로 다른 본문의 경력과 비슷했다.[104] 궁극적으로 다른 현대 종말론적 문헌을 캐논에서 배제하는 것은 공식적으로 정통으로 여겨졌던 것, 이단적이었던 것, 그리고 심지어 이단적이었던 것의 전개되는 역사적 과정에 빛을 던질지도 모른다.[104] 의미와 이미지에 대한 해석은 역사 저자가 의도한 것과 현대 관객들이 추론한 것에 고정되어 있다; 기독교인들에게 로마 제국 문화에 동화되지 말라는 메시지가 요한의 중심 메시지였다.[102] 따라서 그의 편지(종말론적 장르로 쓰여진)는 자연 속에서 목회적인 것이며(그 목적은 억압받는 자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다),[105] 요한계시의 상징성은 그 역사적, 문학적, 사회적 맥락 안에서 전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105] 비평가들은 저자가 의도했을지도 모르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 종말론적 문학의 관습과 1세기의 사건들을 연구한다.[105]

학자 바바라 휘트록은 요한계시록에서 묘사된 3분의 1의 일관된 파괴(불, 연기, 수막의 재앙에 의한 인류의 1/3, 나무와 푸른 풀의 1/3, 바다생물의 1/3과 바다 등에 있는 배들의 1/3 등)와 이란 신화 악역 자하크나 D의 공통점을 지적했다.조로아스터교의 초기 종교 문헌인 아베스타에 묘사된 아하그. 다하그는 마침내 쇠사슬에 묶여 신화 속의 다마반트 산에 투옥될 때까지 세상에 많은 악을 쓴다고 언급되고 있다. 중세 페르시아의 소식통들은 다하그가 마침내 자신의 결속을 터트리고 인간과 가축 세 마리 중 한 마리를 소비하여 고대 영웅 키르사스가 살아나 다하그를 죽일 때까지 세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예언한다. 휘트록은 다음과 같이 썼다: "로마 제국의 주요 라이벌인 조로아스트리아교는 그리스-로마 종교인 유대교와 마찬가지로 기독교가 생겨난 지적 환경의 일부였고, 이시스와 미트라스 숭배도 마찬가지였다. 조로아스터교의 영향력은 완전히 그럴듯하다."[106]

구약성서의 기원

대부분의 요한계시록은 주로 구약성서에서 온 것은 아니지만 고대 자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하워드-브룩과 그위테르는[107] 에녹 (1 에녹)을 똑같이 의미 있지만 문맥상 다른 출처로 간주한다. "에녹의 여정은 히브리 경전에 가까운 평행이 없다." 요한계시는 한 절에서 에녹의 책과 역행렬(치아스무스)을 이루는데, 1 En 100:1–3은 수레를 잠글 수 있을 정도로 깊은 피의 강을 가지고 있고, 14:20절에서는 말의 굴레까지 피 강이 흐른다. 양쪽 계정으로 올라가는 천사가 있다(1 En 100:4; 개정 14:14–19)와 두 계정 모두 세 가지 메시지가 있다(1 En 100:7–9; 개정 14:6–12).[108][unreliable source?]

최근까지 학계에서는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다.[109] 그러나 이는 '계시록'의 본문을 약속받고 있다고 생각한 예언과 섞은, 부적합한 배경을 가진 인기 작가들의 경우는 아니었다. 예를 들어 1871[110]prefaces 요한 계시록 4의 작은 묵시록 마크 13으로, 익명의 스코틀랜드의 논평, 요한 계시록 11안에, 옆에"사탄이"의 책의 군대의 역할과 요한 묵시록 12:7 쪽을 말라기 4:5("보아라 나는 예언자 Elijah은 주님의와 모진 위대한 날이 오기 전에 보내 줄 것이다.")을 둔다. 욥기 요한계시록의 모든 것은 이미 정해진 시간에 일어난다는 것이다.[111]

스티브 모이즈는 '회고문에는 어떤 신약성서보다 구약성서 암시 내용이 더 많이 들어 있지만 인용문은 하나도 기록하지 않는다'[112]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유엔성서협회 그리스 신약성서의 지수를 사용한다. 아마도 유의미하게, 요한계시록은 다른 신약성경 책들과는 다른 출처를 선택한다. 요한계시는 이사야, 시편, 에스겔에 집중하는 한편, 비교적으로 다른 신약성서 작가들의 지배적인 출처인 오순절의 책들을 소홀히 하고 있다. 각각의 암시가 동등한 의미를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 방법론적 반론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G. K. 베일은 '명확', '가능성', '가능성'의 암시를 구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했다. 분명한 암시란 그 출처와 거의 같은 표현, 같은 일반적인 의미를 가진 것이며, 다른 곳으로부터 합리적으로 끌어낼 수 없었을 것이다. 개연성 있는 암시에는 그 근원을 추적할 수 있는 독특한 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가능한 암시는 단지 그들의 투입원에 대한 메아리로 묘사된다.[citation needed]

그러나 요한계시록과 함께라면, 그 문제들은 더 근본적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원작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출처를 활용하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 그는 에스겔의 '새로운 성전' 이미지를 40–48로 빌려 쓰지만, 꽤 명백하게 신의 집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성전이 필요하지 않은 신 예루살렘을 묘사하기 위해 그것을 사용한다. Ian Boxall은[113] "계시는 성경적 인용구들을 몽타주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암시와 사색들이 새롭고 창의적인 무언가로 재조명된 것"이라고 쓰고 있다. 이 '새로운 것'을 확인하려고 애쓰면서, 복셀은 에스겔이 요한계시록에게 '백본'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요한계시록의 장을 순서대로 나열한 비교표를 제시하고, 그 대부분을 구조적으로 대응하는 에스겔의 장과 연결한다. 흥미로운 점은 순서가 같지 않다는 것이다. 요한은 이 이론에 따라 에스겔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재배열한다.[citation needed]

일부 의견제출자들은 구조가 아니라 이러한 목적들이 정말로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G. K. Beale은 요한복음자가 에스겔을 아무리 많이 사용하더라도 요한복음서의 궁극적인 목적은 요한복음서를 다니엘 7의 충족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114] 리처드 Bauckham 존이 예견하는 그의 묘사를 지나서, 존은 구약 성경 언어와 패러디로 사용한다고 주장하는 요한 계시록의"독서trinitarian"을 제안하는 YHWH.[115]브랜든 스미스는 제안 모두로 확장된 것과 예수님과 성령을 확인하여 이 트리니티의 초기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mva단일신앙을 희생하지 않고 YHWH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묘사할 수 있는 풍부한 출처들, 이것은 나중에 니케네 기독교의 삼위일체적 교리에 명문화될 것이다.[116]

하나의 이론인 요한계시록 초안 가설은 요한계시록이 에스겔, 이사야, 스가랴, 신토노미, 여호수아, 엑소더스, 다니엘 등 구약성경에 나오는 여러 문헌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만들어진 것을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이즈키엘의 하나님과의 만남은 요한의 하나님과의 만남(Ezek 1:5–28; 4:2–7)이 모두 사자, 황소 또는 송아지, 인간, 독수리(Ezek 1:10; 4:7)의 얼굴을 가진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면서 역순으로 이루어진다(Ezek 1:22; 4:6). 스가랴에 있는 병거의 말은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네 마리의 말(제 6:1–8; 6:1–8)과 같은 색이다. 여호수아에 의해 여리고 주변의 일곱 행군들이 둥지를 튼 것은 예수가 일곱 나팔을 일곱 번째 봉인(조슈 6:8–10, 6:1–17, 8:1–9:21, 11:15–19) 안에 둥지를 틀면서 재연된다. 요한계시록의 짐승에 대한 설명은 다니엘에서 직접 인용한다(단 7:2–8; 13:1–7 참조). 요한이 사용한 방법은 히브리 성경을 출처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고 또한 병렬형성의 기본 기법을 사용하게 하여 히브리 성경을 암시하였다.[108][unreliable source?][117][unreliable source?]

요한계시록의 인물

모양 순서:

  1. 요한의 저자(패트모스의 요한 또는 사도 요한)
  2.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를 밝히는 천사
  3. 왕좌에 앉은 자
  4. 24세 장로
  5. 가지 생명체
  6. 일곱 눈을 가진 일곱 뿔 달린 어린 양인 유다의 사자
  7. 사대부의 기수 네 명
  8. 하나님의 말씀을 위하여 죽임을 당했던 사람들의 영혼은 각각 흰 겉옷을 주었다.
  9. 지구의 네 바람을 안고 있는 네 명의 천사들
  10. 봉인하는 천사 (이스라엘의 144,000명 봉인)
  11. 모든 나라에서 온 거대한 군중
  12. 일곱 명의 천사 트럼펫 연주자
  13. 웜우드라고 불리는 별
  14. 안젤 오브 우
  15. 전갈꼬리메뚜기
  16. 아바돈
  17. 유프라테스 강으로 향하는 네 명의 천사들
  18. 2억 사자머리 기병
  19. 칠순의 강력한 천사는
  20. The Two witters
  21. 바다의 야수는 7개의 머리와 10개의 뿔을 가지고 있다.
  22. 그 여자와 그녀의 아이는
  23. 7개의 머리를 가진 불타는 붉은 용
  24. 대천사 미카엘
  25. 지구의 양 뿔 야수
  26. 바다의 야수 이미지
  27. 세 천사의 메시지
  28. 천사의 갈채와 분노의 포도
  29. 일곱 역병천사
  30. 분노의 일곱 그릇
  31. 거짓 예언자
  32. 바빌론의 창녀
  33. 백마 탄 사람
  34. 최초의 부활과 천년
  35. 고그 앤 마곡
  36. 죽음과 하데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초기 기독교 시대에 유행했던 다른 종말론자들은 표준적인 지위를 얻지 못했다. 2 에스드라(Ezra의 종말론이라고도 한다)는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표준적인 것으로 인정받지만 구약성서의 일부로서도 인정받고 있다.
  2. ^ 그러나, 최근의 작가들 중에서, 존[6] 베어는 이레나에우스와 교회의 초기 전통이 이 글을 네로 치세에 두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 Carson, Don (2005).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2nd ed.).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p. 465ff. ISBN 978-0-310-51940-9.
  2. ^ Holmes, Michael (2007). The Apostolic Fathers: Greek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s. p. 749ff. ISBN 978-0801034688.
  3. ^ 콜린스 1984, 페이지 28.
  4. ^ a b c d 바우컴 1993, 페이지 2
  5. ^ a b c Stuckenbruck 2003, 페이지 1535–1536.
  6. ^ Behr, John (2019). John the Theologian and his Paschal Gospel. Oxford. ISBN 978-0-19-257444-2.
  7. ^ Stuckenbruck 2003, 페이지 1536.
  8. ^ 콜린스 1984, 페이지 28-29.
  9. ^ 바우컴 1993, 페이지 2 24–25.
  10. ^ 퍼킨스 2012, 페이지 19.
  11. ^ 콜린스 1982, 페이지 100.
  12. ^ 맥킴 2014, 페이지 16.
  13. ^ 카우치 2001, 페이지 81.
  14. ^ Fekkes, Jan (1994). Isaiah and Prophetic Traditions in the Book of Revelation: Visionary Antecedents and their Development (The Library of New Testament Studies). Bloomsbury T&T Clark. pp. 61–63. ISBN 978-1-85075-456-5.
  15. ^ 베일 & 맥도너 2007, 페이지 1081–1084.
  16. ^ 스티븐스 2011, 페이지 143–145.
  17. ^ 스티븐스 2011, 페이지 152.
  18. ^ 콜린스 1984, 페이지 154.
  19. ^ 2011년 벽 페이지 번호 없음.
  20. ^ Taylor, David G. K. (11 September 2002). "Christian regional diversity". In Esler, Philip F. (ed.). The Early Christian World. Routledge Worlds. Routledge (published 2002). p. 338. ISBN 978-1-134-54919-1. Retrieved 28 December 2015. [...] the minor Catholic epistles and Revelation continued to be omitted, and are still not included in the canon of the church of the East which was geographically (and from the late-fifth century doctrinally) isolated in the Persian empire.
  21. ^ 패트모어 2004, 페이지 1
  22. ^ 스톤하우스 N.D. 138-142페이지.
  23. ^ 케사리아의 앤드류(CUA Press 2011 ISBN 978-0-8132-0123-8)에 의한 Eugenia Scarvelis Constantinou (편집자) 해설 페이지 3–6
  24. ^ of Caesarea, Eusebius. Church History, Book VII Chapter 25. newadvent. Retrieved 17 October 2016.
  25. ^ of Caesarea, Eusebius. Church History, Book III Chapter 25. newadvent. Retrieved 17 October 2016.
  26. ^ Kalin, ER (1990), "Re-examining New Testament Canon History: 1. The Canon of Origen", Currents in Theology and Mission, 17: 274–82
  27. ^ Origen. Church Fathers: Commentary on John, Book V: 3 (Origen). Retrieved 15 October 2017.
  28. ^ of Jerusalem, Cyril. Catechetical Lecture 4 Chapter 35. newadvent. Retrieved 12 October 2016.
  29. ^ of Alexandria, Athanasius. Church Fathers: Letter 39 (Athanasius). newadvent. Retrieved 14 October 2016.
  30. ^ of Hippo, Augustine. On Christian Doctrine Book II Chapter 8:2. newadvent. Retrieved 12 October 2016.
  31. ^ of Aquileia, Rufinus. Commentary on the Apostles' Creed #37. newadvent. Retrieved 12 October 2016.
  32. ^ "Letter of Innocent I on the Canon of Scripture". www.bible-researcher.com.
  33. ^ of Damascus, John. An Exposition of the Orthodox Faith, Book IV Chapter 17. newadvent. Retrieved 17 October 2016.
  34. ^ of Laodicea, Synod. Synod of Laodicea Canon 60. newadvent. Retrieved 12 October 2016.
  35. ^ Pearse, Roger. "Tertullian : Decretum Gelasianum (English translation)". www.tertullian.org.
  36. ^ "Canon XXIV. (Greek xxvii.)", The Canons of the 217 Blessed Fathers who assembled at Carthage,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37. ^ "Eccumenical Council of Florence and Council of Basel". www.ewtn.com.
  38. ^ "Paul III Council of Trent-4". www.ewtn.com.
  39. ^ "Church Fathers: Council of Carthage (A.D. 419)". www.newadvent.org.
  40. ^ in Trullo, Council. The Apostolic Canons. Canon 85. newadvent. Retrieved 12 October 2016.
  41. ^ Lohse 1988, 322, 337–338 페이지.
  42. ^ Glasson, T.F. (1965). "How was the Book received by the Church?". In Glasson, T.F. (ed.). The Revelation of John. Cambridge Bible Commentaries on the New Testa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6. Retrieved 29 June 2019. Zwingli, the Swiss Reformer, said, '[The Book of Revelation] is not a book of the Bible'.
  43. ^ 회케마 1979, 페이지 297.
  44. ^ Boring, M. Eugene (1989). Revelation. Interpretation: A Bible Commentary for Teaching and Preaching.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published 2011). p. 3. ISBN 978-0-664-23628-1. Retrieved 29 June 2019. To this day, Catholic and Protestant lectionaries have only minimal readings from Revelation, and the Greek Orthodox lectionary omits it altogether.
  45. ^ Aune, David (1997). Word Biblical Commentary 52A: Revelation 1–5.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p. cxxxviii. ISBN 978-0-310-52177-8.
  46. ^ Pate 2010, 페이지 번호 없음.
  47. ^ 테니 1988, 32-41페이지
  48. ^ 시니어 & 게티 1990 페이지 398–399.
  49. ^ 1998년, 페이지 32.
  50. ^ 로버트 J. 카리스(에드) Collegeville Bible 성경 해설 리트러시컬 프레스, 1992 페이지 1296.
  51. ^ 켄 보우어스, 2000년 175년 시더 포트에서 잘 보이는 곳에 숨었다.
  52. ^ 칼 구스타브 융은 자서전 '기억의 꿈 반성'에서 "누구도 믿지 않고 주제 전체가 당혹스러운 예언으로 느껴지기 때문에 요한계시록의 투명한 예언을 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53. ^ 스콧 한, 양의 저녁 식사: 지구상의 천국, ISBN 0-385-49659-1. 뉴욕: 1999년 더블데이.
  54. ^ Benedict XVI, Pope. "John, the Seer of Patmos". Vatican.va. Libreria Editrice Vaticana. Retrieved 31 May 2020.
  55. ^ Catholic Online (23 August 2006). "Pope Benedict: Read Book of Revelation as Christ's victory over evil – International – Catholic Online". Catholic.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October 2013. Retrieved 25 April 2013.
  56. ^ 미국 남부 콥틱정교구(Coptic Authentications George)가 발간한 '종말의 밤'은 2018년 5월 23일에 접속했다.
  57. ^ Averky (Taushev), Archbishop (1996). Eng. tr. Fr. Seraphim Rose (ed.). The Apocalypse: In the Teachings of Ancient Christianity. Platina, California: S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ISBN 978-0-938635-67-3.
  58. ^ Holbrook, Frank (July 1983). "What prophecy means to this church". Ministry, International Journal for Pastors. 56 (7): 21. Retrieved 29 June 2017.
  59. ^ "Seventh-day Adventist 28 Fundamental Beliefs" (PDF). The Official Sit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World Church.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Retrieved 29 June 2017.
  60. ^ "Revelation 14:12". Biblia.com. Logos Research Systems. Retrieved 29 June 2017.
  61. ^ "The Remnant and its Mission". The Official Sit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World Church.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Retrieved 29 June 2017.
  62. ^ "Councils to the Church". Ellen G. White Writings. White Estate. p. 58. Retrieved 5 October 2018.
  63. ^ "The Final Consummation: American Bahá'ís, Millerites and Biblical Time Prophecy". Retrieved 28 October 2018.
  64. ^ 'Abdu'l-Baha, Abbas Effendi. "Some Answered Questions". bahai.org. Retrieved 20 April 2017.
  65. ^ 'Abdu'l-Baha, Abbas Effendi. "Some Answered Questions". bahai.org. Retrieved 20 April 2017.
  66. ^ "Holy Bible". biblegateway.com. Retrieved 20 April 2017.
  67. ^ "Holy Bible". biblegateway.com. Retrieved 20 April 2017.
  68. ^ "Bahá'í Reference Library – Some Answered Questions, pp. 45–61".
  69. ^ "Holy Bible". biblegateway.com. Retrieved 20 April 2017.
  70. ^ 'Abdu'l-Baha, Abbas Effendi. "Some Answered Questions". bahai.org. Retrieved 20 April 2017.
  71. ^ "1 Nephi 14:18–27".
  72. ^ a b "Doctrine and Covenants 20:35".
  73. ^ "Revelation 22:18–19".
  74. ^ Hunter, Howard W. "No Man Shall Add to or Take Away".
  75. ^ "Articles of Faith 1:9".
  76. ^ R. Frances Piggsy (Rosa Frances Emily Biggs) 그노스틱스 런던의 난해한 가르침: 옐런, 윌리엄스 & 코(1909) 페이지 3, 4
  77. ^ 제임스 M. 런던을 봉쇄하지 않은 종말론: 왓킨스(1910). 이 책의 배후에 있는 이론은 아서 아발론 (존 우드로프 경)에 제시되어 있다. 의 힘 마드라스(첸나이): 가네쉬&코(1913). 이러한 믿음이 인도에서 중동, 그리스, 로마로 어떻게 이동했는지에 대한 한 가지 버전은 루돌프 오토 신의 왕국과 맨 런던의 첫 장에 나와 있다. 러터워스(1938년)
  78. ^ 크리스토퍼 롤랜드 폭로 런던: 엡워스(1993) 페이지 5
  79. ^ Howard-Brook, Wes; Gwyther, Anthony (1999). Unveiling Empire: Reading Revelation Then and Now. Orbis Books. ISBN 978-1-57075-287-2.
  80. ^ Rieger, Joerg (2007). Christ & Empire: From Paul to Postcolonial Times. Fortress Press. ISBN 978-0-8006-2038-7.
  81. ^ Christoyannopoulos, Alexandre (2010). Christian Anarchism: A Poli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Exeter: Imprint Academic. pp. 123–126. Revelation
  82. ^ 찰스 C. 헤이븐의 토리: 예일 대학 출판부(1958) 크리스토퍼 R. 그의 <제2의 이사야 런던>에서 북쪽은 OUP(1964) 23쪽은 토레이의 초기 이사야 이론에 대해 "어떤 학자들도 그의 이론을 받아들였다"고 말한다. 이것이 토레이의 이론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다. 그러나 크리스토퍼 노스님은 계속해서 토레이를 20개의 주요 사건에 인용하고 있으며 그의 저서 과정에서 더 많은 사소한 사건들을 인용하고 있다. 그래서, 토레이는 분명 어떤 영향을 미쳤을 것이고 시가 관건이다.
  83. ^ 존 페이지 7의 종말론
  84. ^ 존의 종말론 37페이지
  85. ^ 요한계시록 8장
  86. ^ 페이지 137
  87. ^ 존 페이지 140
  88. ^ "우리가 들을 수 있다면 꽃들은 우리에게 설교한다." 그녀의 시 '밭의 백합을 고려하라' 런던 도깨비 시장: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1913) 페이지 87
  89. ^ 로세티 여사는 마치 그 용법이 처음 그리스도의 입에서 나온 것처럼 신약성경까지는 성경에서 일어나지 않는 단어라고 말한다. 크리스티나 로세티 더 딥런던의 얼굴: SPCK (1892) 페이지 115
  90. ^ "기독교인들은 야광충이 아니라 불을 닮아야 한다. 그들의 밝기는 눈을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지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아니다." The Face of the Deep. 26 페이지
  91. ^ '비전'은 로세티 여사가 존의 경험과 다른 사람들의 경험의 차이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잘못된 강조를 덧붙인다. 그녀는 요한복음 1장 3장 24절의 말을 인용하여 요한복음이 "내가 성령 안에 있었다"고 말할 때 예외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92. ^ 깊은 곳의 얼굴 301페이지
  93. ^ 깊은 곳의 얼굴 292페이지
  94. ^ 깊은 곳의 얼굴 495페이지
  95. ^ 엘리자베스 슈에슬러 피오렌자 폭로: Just World Edinburgh: T&T Clark (1993년) 책은 요한계시록 가든 시티 초대장: 더블데이(1981)로 삶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96. ^ a b 티나 피핀 죽음 & 욕망: 존 루이스빌의 종말론에서 성(性)에 대한 미사여구는 다음과 같다. 웨스트민스터-존 녹스(1993) 페이지 105
  97. ^ D H 로렌스 아포칼립스 런던: 마틴 세커(1932)는 본문의 본질적인 부분인 리처드 앨딩턴의 소개(pp. v-xli)로 사후에 출판되었다.
  98. ^ 아포칼립스 p. xxiii
  99. ^ 종말론 페이지 6
  100. ^ 종말론 페이지 11 로렌스는 이 두 종류의 기독교(그의 견해에 있어서 선과 악)가 대립되는 것 이외의 어떤 관계가 있을 수 있는가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는 그 차이가 복음을 쓴 요한은 요한계시를 쓴 요한과 같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101. ^ D. H. Lawrence (1995). Apocalypse and the Writings on Revelation. Penguin Books. p. 112. ISBN 978-0-14-018781-6.
  102. ^ a b c 데일 마틴 2009(강좌) 유튜브 '24. 아포칼립틱스·숙박시설' 예일 대학교. 2013년 7월 22일에 액세스. 제24강좌(정답)
  103. ^ David L. Barr, Tales of the End: 계시의 책에 대한 서술적 논평 (산타 로사: Poallibidge Press, 1998); Barr, "계시의 책에 대한 서술적 기술". 옥스포드 성서화 핸드북에서, 에드. 대나 놀런 소멜(Oxford: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6), 376–88
  104. ^ a b "Lecture 2: From Stories to Canon". CosmoLearning Religious Studies.
  105. ^ a b c Bart D. Ehrman (9 June 2016). "Bart Ehrman Discusses the Apocalyptici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October 2021 – via YouTube.
  106. ^ 바바라 휘트록 박사, 조지 D. "교회의 난해한 근원을 추적하라" 반스(ed.), "비교적 종교의 새로운 에세이 수집"
  107. ^ 웨스 하워드-브룩 & 앤서니 그위터 제막 엠파이어 뉴욕: 오르비스(1999) 페이지 76
  108. ^ a b Lewis, Kim (2015). How John Wrote the Book of Revelation: From Concept to Publication. Lorton, Virginia: Kim Mark Lewis. pp. 216, 226. ISBN 978-1-943325-00-9.
  109. ^ S Moyise 페이지 13은 1912년과 1984년 사이에 어떠한 작업도 수행되지 않았다고 보고한다.
  110. ^ 아논 문자 해석의 새로운 원리에 의한 종말론 해설 애버딘: 브라운 (1871년)
  111. ^ Chapman, Charles T. (1995). The Message of the Book of Revelation. Liturgical Press. ISBN 978-0-8146-2111-0.
  112. ^ S. 모이스 셰필드 요한계시록의 구약성서: 셰필드 학술지(1995) 페이지 31
  113. ^ 이언 박스올 세인트 존 런던의 폭로: Continuum & Peabody MA: Hendrickson(2006) 페이지 254
  114. ^ G. K. 베일 존이 요한계시록의 요한계시록 셰필드 구약성서 사용: 셰필드 학술지(1998) 페이지 109
  115. ^ 바우컴 1993.
  116. ^ 브랜든 D. 스미스 "크리스웰 신학 리뷰, 계시록에 YHWH와 예수의 동일성 (2016년)
  117. ^ "Revelation Draft Hypothesis".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

요한계시록
아포칼립틱 서편
선행자
신약성서.
성경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