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너구리
Platypus오리너구리 Temporal range: Miocene to Recent | |
---|---|
![]() | |
과학적 분류 ![]() | |
도메인: | 진핵생물 |
킹덤: | 애니멀리아 |
문: | 초르다타 |
클래스: | 포유류 |
순서: | 모노트레마타 |
가족: | 오르니토린치과 |
속: | 오르니토린쿠스 블루멘바흐, 1800 |
종: | O. 아나티누스 |
이항명 | |
아나티누스속 (Ornithorhynchus anatinus) (쇼, 1799) | |
![]() | |
오리너구리사거리 (빨간색 – 네이티브, 노란색 – 도입) | |
동의어[2] | |
|
오리부리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는 [3]태즈메이니아주를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에 서식하는 반수생의 알을 낳는 포유류입니다.[4]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과(Ornithorhynchidae)와 오리너구리속(Ornithorhynchus)의 유일한 살아있는 대표종 또는 단형 분류군입니다.
네 종의 바늘두더지와 함께, 그것은 살아있는 아이를 낳는 대신 알을 낳는 포유류인 현존하는 다섯 종의 단공류 중 하나입니다.다른 단공류처럼 오리너구리는 전기 위치를 통해 흐린 물 속에서 먹이를 감지합니다.수컷 오리너구리는 뒷발에 자극이 있어 극도로 고통스러운 독을 전달하기 때문에 독이 있는 포유류의 몇 안 되는 종 중 하나입니다.
처음에는 알을 낳고, 오리 부리가 있고, 비버 꼬리가 있고, 수달 발이 달린 이 포유동물의 특이한 모습은 유럽의 자연주의자들을 당황하게 했습니다.1799년, 보존된 오리너구리 사체를 조사한 최초의 과학자들은 오리너구리 사체를 여러 동물을 꿰매어 만든 가짜라고 판단했습니다.
오리너구리의 독특한 특징들은 진화 생물학 연구에서 중요하고, 호주의 눈에 띄고 상징적인 상징입니다.그것은 먹이 사냥을 하기도 했던 몇몇 원주민들에게 문화적으로 중요합니다.그것은 국가 마스코트로 등장했고, 호주의 20센트 동전 뒷면에 특징이 있으며,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상징입니다.
오리너구리는 털 때문에 사냥을 당했지만 1912년 이래로 오리너구리가 발생하는 모든 주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5]비록 사육 프로그램이 약간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개체수는 심각한 위협을 받지 않고 있으며, 오염에 취약합니다.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거의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2020년 11월 보고서는 모든 주에서 서식지 파괴와 개체수 감소로 인해 연방 EPBC 법에 따라 멸종 위기종으로 격상할 것을 권고했습니다.[6]
분류법 및 명명법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1/Platypus_%28Ornithorhynchus_anatinus%29._First_Description_1799.jpg/220px-Platypus_%28Ornithorhynchus_anatinus%29._First_Description_1799.jpg)
오리너구리가 1798년 유럽인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었을 때, 가죽과 스케치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두 번째 총독이었던 존 헌터 선장에 의해 영국으로 돌아갔습니다.[7]영국 과학자들의 최초의 직감은 그 속성들이 거짓말이라는 것이었습니다.[8]1799년에 자연주의자의 Miscellany에서 이 동물에 대한 최초의 묘사를 한 George Shaw는 그것의 진짜 본성에 대해 의심을 품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고 Robert Knox는 그것이 어떤 아시아인 박제학자에 의해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고 믿었습니다.[9][8]누군가 오리의 부리를 비버처럼 생긴 동물의 몸에 꿰매어 놓은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쇼는 바느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마른 피부에 가위까지 가져갔습니다.[10][9]
일반적인 이름 "platypus"는 문자 그대로 '평발'을 의미하며, 그리스어 "platus" (πλ α τύς가 "넓고, 넓고, 평평하다")와 푸스 (πούς가 "발")에서 유래되었습니다.쇼는 처음에 이 종을 묘사할 때 린네어 이름을 "Patypus anatinus"라고 지었지만,[15] 이 속의 용어는 나무를 지루하게 하는 암브로시아 딱정벌레 속인 "Patypus"의 이름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빠르게 밝혀졌습니다.[16]1800년 요한 블루멘바흐(Johann Blumenbach)에 의해 오르니토린쿠스 역설(Ornithorhynchus paradoxus)로 독립적으로 기술되었으며(요셉 뱅크스 경이 그에게 준 표본에서),[17] 명명 우선 순위 규칙에 따라 나중에 공식적으로 오르니토린쿠스 아나티누스(Ornithorhynchus anatinus)로 인정되었습니다.[16]
영어에는 보편적으로 합의된 복수 형태의 "오리너구리"가 없습니다.과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오리너구리" 또는 단순히 "오리너구리"를 사용합니다.구어적으로 "platypi"라는 용어는 복수형에도 사용되지만, 이것은 유사 라틴어의 한 형태이다;[10] 그리스어의 어근에 따라 복수형은 "platypodes"가 될 것입니다.초기 영국 정착민들은 그것을 "워터몰(watermole)", "오리부리새(duckbill)", 그리고 "오리몰이([10]duckmole.때때로 그것은 구체적으로 "오리부리오리너구리"라고 불립니다.
학명 Ornithorhynchus anatinus는 문자 그대로 '오리처럼 생긴 새의 코'를 의미하며, 속명은 그리스 어근 Ornith- (όρνιθ 오르니스 또는 ὄρνις 론 ī의 '새')와 rhunkhos (ῥύγχος '코', 'beak')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종명은 아나스 '오리'에서 라틴어 아나티누스('오리 같은')에서 따왔습니다.[15][20]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과(Ornithorhynchidae)의 유일한 살아있는 대표종 또는 단형 분류군입니다.[21]
묘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5/Schnabeltier_1.jpg/220px-Schnabeltier_1.jpg)
데이비드 콜린스는 1788년부터 1801년 사이에 서식한 새로운 식민지에 대한 설명에서 "두더지 종의 수륙양용 동물"을 그림과 함께 묘사했습니다.[22]
오리너구리의 몸과 넓고 평평한 꼬리는 빽빽하고 갈색인 생체 형광 털로 덮여 있는데, 이 털은 이 동물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단열 공기층을 가두고 있습니다.[10][16][23]털은 방수가 되고, 두더지처럼 질감이 있습니다.[24]오리너구리의 꼬리는 지방을 저장하고 있는데, 이는 태즈메이니아 데빌에서도[25] 볼 수 있는 적응입니다.앞발에서 웨빙은 더욱 중요한데, 육상 보행에서는 웨빙을 보호하기 위해 너클 워킹으로 접혀집니다.[26]긴 주둥이와 아래턱은 부드러운 피부로 덮여 있어 부리를 형성합니다.콧구멍은 주둥이의 등 쪽 표면에 위치하고 눈과 귀는 주둥이의 바로 뒤에 있는 물속에서 닫히는 홈에 있습니다.[16]오리너구리는 방해를 받을 때 낮은 으르렁거림을 줄 수 있으며, 사육 상태에서는 다양한 발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10]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e/Platypus-sketch.jpg/220px-Platypus-sketch.jpg)
크기는 지역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평균 몸무게는 0.7~2.4kg(1lb 9oz~5lb 5oz)입니다; 수컷은 평균 길이가 50cm(20인치)인 반면 암컷은 43cm(17인치)로 더 작습니다.[16]이러한 변동은 특정한 기후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포식 및 사람의 침입과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27]
오리너구리의 평균 체온은 약 32 °C (90 °F)로, 전형적인 태반 포유류의 37 °C (99 °F)보다 낮습니다.[28]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과거의 단조로움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기 보다는 소수의 한계 생존 단조로움 종들 사이에서 혹독한 환경 조건에 점진적으로 적응해 왔다고 합니다.[29][30]
알을 낳는 것 외에도 단공류의 해부학, 생물유전학, 유전학은 파충류나 조류와 유사한 흔적을 보여줍니다.오리너구리는 다리가 밑이 아닌 몸의 측면에 있는 파충류의 걸음걸이를 가지고 있습니다.[16]오리너구리의 유전자는 포유류 XY와 조류/ 파충류 ZW 성 결정 체계 사이의 가능한 진화적 연결고리입니다. 오리너구리의 다섯 X 염색체 중 하나가 새들이 Z 염색체에 가지고 있는 DMRT1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31]
모든 진정한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중이에서 소리를 전도하는 작은 뼈는 포유류 이전의 시냅스에서처럼 턱에 눕지 않고 두개골에 완전히 통합되어 있습니다.하지만, 귀의 바깥쪽 개구부는 여전히 턱 밑에 놓여있습니다.[16]오리너구리는 어깨띠에 다른 포유동물들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는 쇄골간을 포함한 여분의 뼈를 가지고 있습니다.[16]다른 많은 수생 및 반수생 척추동물과 마찬가지로, 뼈는 골경화증을 보여 안정기를 제공하기 위해 밀도를 증가시킵니다.[32]
오리너구리 턱은 다른 포유류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고, 턱을 벌리는 근육도 다릅니다.[16]현대 오리너구리의 어린 개체들은 상악골(전 어금니 하나와 어금니 두 개)과 치열(세 개의 어금니)에 각각 세 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는데, 이 이빨들은 번식용 굴을 떠나기 전이나 직후에 빠집니다;[16] 대신에 성체들은 케라토돈테스라고 불리는 각질화된 음식물 분쇄 패드를 발달시킵니다.[16][33][34]오리너구리 둥지의 첫 번째 윗쪽과 세 번째 아랫쪽 뺨 이빨은 작고, 각각 하나의 주걱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이빨들은 두 개의 주걱턱을 가지고 있습니다.[35]
베놈
수컷 오리너구리와 암컷 오리너구리 모두 등발목의 자극을 가지고 태어나는 반면, 수컷들만 독을 내뿜습니다.[36][37][38]이것은 개와 같은 더 작은 동물들을 죽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고, 사람에게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몇 주 동안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39][40]상처 주위에 부종이 빠르게 발생하고 점차 침범된 사지를 통해 퍼지며, 극심한 고알러지(통증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함)가 며칠 또는 몇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41][42]
이 독은 주로 면역체계에 의해 생성되는 데펜신과 유사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세 가지는 오리너구리만의 독특한 것입니다.[39]다른 동물들에서는 병원성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죽이지만 오리너구리에서는 포식자에 대한 독으로 모아지기도 합니다.독은 수컷의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데, 수컷의 신장 모양의 치조샘은 얇은 벽의 관과 각 뒷다리에 있는 석회질 돌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암컷 오리너구리는 바늘두더지와 공통적으로 기본적인 첨두가 발달하지 않고 (첫해가 끝나기 전에 탈락) 기능적인 목샘이 부족합니다.[16]번식기에는 수컷들 사이에서 독의 생성이 증가하여 우세함을 주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39]
비슷한 박차는 많은 고대 포유류 그룹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이 포유류 사이에서 고대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43]
전기위치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4/Platypus_electrolocation.svg/440px-Platypus_electrolocation.svg.png)
단성동물은 (기아나 돌고래를 제외하고)[45] 전기수용 감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포유동물이며, 오리너구리의 전기수용은 어떤 단성동물 중에서도 가장 민감합니다.[46][44]눈이나 냄새로 먹이를 먹는 오리너구리는 [47]잠수할 때 눈, 귀, 코를 감습니다.[48]부리로 개울 바닥을 파서 전기수용체가 먹이의 근육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작은 전류를 감지하여 생물과 무생물을 구별할 수 있게 해줍니다.[44]실험 결과 오리너구리는 작은 전류가 흐르면 "인공 새우"에도 반응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9]
전기 수용기는 지폐의 피부에 있는 로스트로코달 열에 위치해 있으며, 터치용 기계 수용기는 지폐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대뇌피질의 전기감각 영역은 촉각적인 체감각 영역에 있고, 일부 피질 세포는 전기수용체와 기계수용체 양쪽으로부터 입력을 받는데, 이는 오리너구리가 전기장을 터치처럼 느낀다는 것을 암시합니다.법안의 이러한 수용기들은 사람의 손이 펜필드 호문쿨루스 지도를 지배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오리너구리 뇌의 소마토토픽 지도를 지배합니다.[50][51]
오리너구리는 전기 수용체 시트 전체에 걸쳐 신호 강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전기 공급원의 방향을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사냥을 하는 동안 머리의 특징적인 좌우 움직임에 의해 향상됩니다.또한 전기적 압력 펄스와 기계적 압력 펄스 사이의 시차로부터 움직이는 먹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44]
탁한 물에서 사냥하기 위한 단조로운 전기 위치는 치아 손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52]멸종된 오브두로돈은 전기수용성을 가졌지만, 현생 오리너구리와는 달리 (바다 표면 근처에서) 골지식을 했습니다.[52]
눈
최근의 연구에서 오리너구리의 눈은 대부분의 사지동물의 눈보다 태평양 먹장어나 북반구 램프리의 눈과 더 유사하다고 제안되었습니다.또한 대부분의 포유동물들과는 달리 눈에는 두 개의 원추형이 들어있습니다.[53]
비록 오리너구리의 눈은 작고 물속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몇 가지 특징들은 그것의 조상들에게 시력이 중요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각막 표면과 수정체의 인접한 표면은 평평한 반면 수정체의 뒤쪽 표면은 수달이나 바다사자와 같은 다른 수생 포유류의 눈과 비슷하게 급격하게 휘어져 있습니다.양안 시력에 중요한 망막 신경절 세포의 시간적(귀쪽) 농도는 포식의 흔적적인 역할을 나타내지만 실제 시력은 그러한 활동에 불충분합니다.제한된 정확도는 낮은 피질 배율, 작은 측면 유전자 핵, 그리고 큰 시신경에 의해 일치하며, 일부 설치류에서처럼 시각 중뇌가 시각 피질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이러한 특징들은 오리너구리가 수중 생활과 야행성 생활에 적응하여 시각 시스템의 비용을 지불하고 전기 감각 시스템을 발달시켰음을 시사합니다.이것은 건조한 환경에서 사는 짧은 부리가 있는 바늘두더지에서 적은 수의 전기 수용체와 대조되는 반면, 습한 환경에서 사는 긴 부리가 있는 바늘두더지는 다른 두 단막 사이의 중간에 있습니다.[50]
생체형광
2020년, 오리너구리 털이 검은 빛에서 청록색의 생체 형광 빛을 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54]
분포, 생태, 행동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1/Animaldentition_ornithoryncusanatinus.png/220px-Animaldentition_ornithoryncusanatinus.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2/Platypus.jpg/220px-Platypus.jpg)
오리너구리는 반수생 동물로 태즈메이니아의 차가운 고지대와 오스트레일리아 알프스 산맥에서 북쪽으로 멀리 케이프요크 반도의 기슭까지 이르는 퀸즐랜드 해안의 열대 우림에 이르는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작은 개울과 강에 서식합니다.[55]
내륙에서는 그 분포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1975년 렌마크에서 마지막 목격이 기록되면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56]1980년대에 John Wamsley는 Warrawong Sanctuary (아래 참조)에 오리너구리 번식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그 후 문을 닫았습니다.[57][58]2017년에는 보호구역 하류에서 확인되지 않은 목격이 있었고,[56] 2020년 10월에는 최근에 재개장한 보호구역 안에서 둥지를 튼 오리너구리를 촬영했습니다.[59]
1920년대에[60] 소개된 캥거루 섬에는 플린더스 체이스 국립공원의 로키 리버 지역에 150마리가 살고 있다고 합니다.2019-20년 호주 산불 시즌에는 섬의 상당 부분이 불에 타 야생동물을 멸종시켰습니다.하지만, 환경 및 수자원국의 복구 팀들은 그들의 서식지를 복구하기 위해 일했고, 2020년 4월까지 많은 목격사례들이 보고되었습니다.[61]
오리너구리는 아마 개간과 관개로 인한 수질 감소 때문에 머레이-달링 분지의 주요 지역에서 더 이상 발견되지 않습니다.[62]해안 강 시스템을 따라 분포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비교적 건강한 일부 강에는 없지만 마리비농 강 하류와 같은 상당히 저하된 일부 강에는 존재합니다.[63]
사육 상태에서 오리너구리는 17살까지 살아남았고, 야생 표본은 11살 때 되찾았습니다.야생에서 성인의 사망률은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16]천적으로는 뱀, 물쥐, 고아나, 매, 올빼미, 독수리 등이 있습니다.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지역의 오리너구리 수가 적은 것은 악어의 포식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64]1845년 스포츠 사냥을 위해 붉은 여우가 도입된 것이 본토에 있는 붉은 여우의 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습니다.[27]오리너구리는 일반적으로 야행성이고 구불구불하지만 흐린 날에는 활동할 수 있습니다.[65][66]서식지는 강과 강가를 연결하고, 먹이와 강둑을 찾아 땅굴을 파고 둥지를 짓습니다.[66]그것은 최대 7 km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수컷의 가정 범위는 서너 마리의 암컷과 겹칩니다.[67]
오리너구리는 훌륭한 수영선수이고 먹이를 찾아 물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포유류 중에서도 독특한 수영 스타일을 가지고 있으며,[68] 앞발을 번갈아 치는 방식으로 자신을 추진시키고, 물갈퀴가 달린 뒷발은 몸에 대고 꼬리와 함께 조종하는 용도로만 사용됩니다.[69]5°C 이하의 물에서 먹이를 찾는 동안 약 32°C(90°F)의 비교적 낮은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16]다이빙은 일반적으로 30초 정도 지속되며, 에어로빅 제한은 40초 정도로 추정되며, 다이빙 사이의 표면에서 10초에서 20초 정도 지속됩니다.[70][71]
오리너구리는 해발 약 30cm의 짧고 곧은 굴 속에 놓여 있으며, 타원형의 입구 구멍은 종종 뿌리가 엉킨 곳에 숨겨져 있습니다.[68]반나절 정도 잠수한 후에는 하루에 14시간까지 잠을 잘 수도 있습니다.[72]
다이어트
오리너구리는 육식동물로, 개똥벌레, 곤충 유충, 민물 새우, 야비 등을 먹고 살며 주둥이로 강바닥에서 파내거나 헤엄치면서 잡습니다.먹잇감을 먹기 전에 볼주머니로 표면까지 운반합니다.[68]매일 자기 몸무게의 약 20%를 먹기 때문에 먹이를 찾는데 하루 평균 12시간을 소비해야 합니다.[70]
생식
처음에, 유럽의 자연주의자들은 암컷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는다는 것을 거의 믿을 수 없었지만, 이것은 마침내 1884년 윌리엄 헤이 콜드웰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16][39]
이 종은 6월과 10월 사이에 한 번의 번식기를 가지며, 일부 지역적인 변화도 있습니다.[64]조사 결과 거주 오리너구리와 일시적 오리너구리가 발견되었으며, 다성 교미 시스템이 있음을 시사합니다.[73]암컷들은 2년차에 성적으로 성숙해지며, 9살 이상의 동물들에게서 번식이 관찰됩니다.[73]수컷은 둥지를 짓지 않고, 1년 동안 휴식을 취하는 굴에서 삽니다.짝짓기 후 암컷은 20m(65피트) 길이의 깊고 정교한 둥지를 짓습니다.[74]말린 꼬리 아래에 낙엽과 갈대를 집어넣고 굴 속으로 끌고 가 젖은 잎을 접어 터널 바닥을 부드럽게 하고, 끝에는 침구로 둥지를 튼다.[10]
암컷은 두 개의 난소를 가지고 있지만, 오직 한 개만이 기능적입니다.[65]1~3개의 작고 가죽 같은 알(파충류의 알과 비슷한)을 낳습니다.지름이 11mm(⁄ 16인치)이며 새알보다 약간 더 둥글습니다.알은 자궁에서 약 28일 동안 자라는데, 약 10일의 외부 부화 기간만 있습니다. (1일은 체외에서, 21일은 외부에서 보내는 닭의 알과는 대조적으로)[65]암컷은 3단계로 발달하는 부화한 알을 중심으로 몸을 돌립니다.[76]첫번째로, 배아는 기능적인 기관을 갖고 있지 않고, 그것이 흡수될 때까지 유지하기 위해 노른자 주머니에 의존합니다.[77]2기에는 숫자가 생기고, 마지막기에는 난치가 나타납니다.[76]
대부분의 포유류의 접합체는 여러 개의 분열 가능한 딸 세포로 쪼개지는 전모세포 분열을 겪습니다.하지만 오리너구리와 같은 단공류는 파충류와 새들과 함께 난모가 완전히 갈라지지 않는 거대세포 분열을 겪습니다.노른자의 가장자리에 있는 세포들은 달걀의 세포질과 연속적으로 남아 있어서, 노른자와 배아가 세포질을 통해 쓰레기와 영양분을 달걀과 교환할 수 있게 해줍니다.[78]
오리너구리의 공식 용어는 없지만, 대중적인 이름으로는 "오리너구리"와 "퍼글"이 있습니다.[79][80]새로 부화한 오리너구리는 연약하고, 눈이 멀고, 털이 없으며, 모유로 먹이를 먹습니다.오리너구리의 유선에는 젖꼭지가 없고, 젖은 피부의 구멍을 통해 배출됩니다.젖은 엄마의 복부에 홈을 만들어 어린 아이들이 젖을 싸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10][64]그들이 부화한 후, 자손들은 3개월에서 4개월 동안 우유를 먹입니다.
부화와 젖을 떼는 동안 어미는 처음에 먹이를 찾기 위해 짧은 기간 동안만 굴을 떠납니다.그녀는 어린 개체들을 포식자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굴의 길이를 따라 여러 개의 얇은 흙 마개를 남깁니다. 그녀가 돌아올 때 이것들을 밀어내면 그녀의 털에서 물이 짜여지고 굴이 건조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81]약 5주 후, 어미는 더 많은 시간을 어미로부터 떼어놓기 시작하고, 약 4개월 후에는 굴에서 나옵니다.[64]오리너구리는 이빨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이것들은 매우 어린 나이에 떨어져, 그것이 음식을 갈 때 사용하는 뿔 달린 접시들을 남깁니다.[33]
진화
| |||||||||||||||||||||
오리너구리와 다른 포유류[82] 사이의 진화적 관계 |
오리너구리와 다른 단조로운 동물들은 매우 잘 이해되지 않았고, 그들 주변에서 자라난 19세기 신화들 중 일부 - 예를 들어, 단조로운 동물들이 "열등" 또는 "준 렙틸리아" - 은 아직도 견디어 내고 있습니다.[83]1947년, 윌리엄 킹 그레고리는 태반 포유류와 유대류가 더 일찍 갈라졌을지도 모른다는 이론을 세웠고, 그 후의 분기는 단공류와 유대류를 나누었지만, 이후의 연구와 화석 발견은 이것이 틀렸다는 것을 암시했습니다.[83][84]사실, 현대의 단공류는 포유류 나무의 초기 가지의 생존자이고, 이후의 가지는 유대류와 태반군으로 이어진 것으로 생각됩니다.[83][85]분자 시계와 화석 연대 측정법은 오리너구리가 약 1,900만년에서 4,800만년 전에 바늘두더지에서 분리되었음을 시사합니다.[86]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e/Steropodon_BW.jpg/220px-Steropodon_BW.jpg)
가장 오래된 현생 오리너구리 화석의 역사는 약 10만년 전 제 4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멸종된 단공류 테이놀로포스와 스테로포돈은 한때 현생 오리너구리와 가까운 것으로 여겨졌지만, 현재는 [84]더 기초적인 분류군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87]화석화된 스테로포돈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세 개의 어금니가 있는 오팔화된 아래턱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어금니는 처음에는 트라이보스피닉(tribosphenic)인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이것은 그레고리의 이론의 변형을 지지했을 것이지만, 이후의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세 개의 혹을 가지고 있지만, 별개의 과정으로 진화했다고 합니다.[88]이 화석은 약 1억 1천만 년 정도 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이 화석은 호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포유동물 화석입니다.현생 오리너구리와 달리 테이놀로포스는 부리가 없었습니다.[87]
오리너구리의 또 다른 화석 친척인 모노트레마툼 수다아메리카눔이 아르헨티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남미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이 남극을 거쳐 합류했을 때(약 1억 6700만년 전까지) 곤드와나 초대륙에 모노트레마름이 존재했음을 나타냅니다.[88][89]거대한 오리너구리 종인 오브두로돈 타랄쿠아의 화석화된 이빨은 5백만년에서 1천5백만년 전의 것입니다.이빨로 판단해보면, 이 동물의 길이는 1.3 미터로 기록상 가장 큰 오리너구리가 되었습니다.[90]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3/3f/Platypus_skeleton_Pengo.jpg/220px-Platypus_skeleton_Pengo.jpg)
오리너구리는 초기의 세리아 포유류로부터의 분화와 현존하는 단일류 종의 낮은 숫자 때문에 진화 생물학에서 자주 연구되는 주제입니다.2004년, 호주 국립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대부분의 다른 포유류들의 2개의 성 염색체와 비교하여 오리너구리가 10개의 성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 10개의 염색체는 남성의 XY와 여성의 XX의 5개의 독특한 쌍을 형성합니다. 즉, 남성은 XYXYXYXY입니다1122334455.[91]오리너구리의 X염색체 중 하나는 새 Z염색체와 상동성이 매우 좋습니다.[92]오리너구리 게놈은 또한 알 수정과 관련된 파충류와 포유류 유전자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47][93]비록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의 성 결정 유전자 SRY가 부족하지만, 한 연구는 성 결정의 메커니즘이 가장 오래된 Y 염색체의 AMH 유전자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94][95]오리너구리 게놈 서열의 초안은 2008년 5월 8일 네이처에 발표되었으며, 이전에는 조류, 양서류, 어류에서만 발견된 두 개의 유전자뿐만 아니라 파충류와 포유류의 요소를 모두 밝혀냈습니다.오리너구리의 유전자의 80% 이상은 게놈이 배열된 다른 포유동물들에게 공통적입니다.[47]2021년에 짧은 부리가 있는 바늘두더지의 게놈과 함께 가장 완벽한 최신 게놈이 발표되었습니다.[96]
보존.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f/Platypus-plate.jpg/170px-Platypus-plate.jpg)
상태 및 위협
남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서 손실된 것을 제외하면, 오리너구리는 유럽인들이 호주에 정착하기 전에 그랬던 것과 같은 일반적인 분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서식지의 인간 변형으로 인한 지역적 변화와 분포의 단편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역사적인 풍부함은 알려지지 않았고 현재의 풍부함은 측정하기 어렵지만, 1998년 현재의 대부분에서 여전히 일반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됩니다.[66]이 종은 20세기 초까지 털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냥되었습니다.비록 이 종은 1890년[97] 빅토리아주를 시작으로 1912년까지 호주 전역에서 법적인 보호를 받았지만,[5] 1950년경까지는 여전히 내륙 어업의 그물에 익사할 위험에 처해 있었습니다.[62]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2016년에 "거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등급을 다시 매겼습니다.[98]이 종은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지만, 1972년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법에 따라 멸종위기에 처한 주(州)로 지정된 남호주가 유일합니다.2020년 11월, 오리너구리를 모든 주에서[6] 취약종으로 등재하라는 권고가 내려졌고, 2021년 1월 10일 빅토리아 주의 동식물 보증법 1988에 따라 취약종으로 등재가 공식화되었습니다.[99]
서식지 파괴
오리너구리는 보존 조치가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즉각적인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댐, 관개, 오염, 그물, 그리고 덫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과도한 가뭄과 공업용, 농업용, 가정용 물 추출을 통한 수로 흐름과 수위 감소도 위협으로 꼽힙니다.IUCN은 2016년에 평가한 바와 같이 붉은 목록에 오리너구리를 "Near Threatened"[1]로 등재했는데, 이 시기는 유럽인들이 정착한 이후 평균적으로 약 30% 정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이 동물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멸종 위기 동물로 등재되어 있지만, 연방 EPBC 법에서는 전혀 다루어지지 않습니다.[100][101]
연구원들은 수년간 예상보다 감소폭이 더 컸다고 우려해 왔습니다.[100]2020년 1월, 뉴사우스웨일스 대학의 연구원들은 오리너구리가 수자원 추출, 토지 개간, 기후 변화 및 심각한 가뭄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증거를 제시했습니다.[102][103]이 연구는 현재의 위협을 고려할 때, 50년 동안 동물의 풍요는 47%에서 66%로 감소하고 메타 개체군 점유는 22%에서 32%로 감소하여 "약 40% 범위에서 지역 개체군의 멸종"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2070년까지의 기후 변화 예측 하에서, 가뭄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는 50년 이내에 51-73%의 서식지 감소와 36-56%의 메타 개체군 점유 감소를 각각 초래할 것입니다.이러한 예측은 이 종이 "취약종" 분류에 속할 것임을 암시했습니다.저자들은 오리너구리의 건강한 서식지를 보장하기 위해 더 많은 조사, 동향 추적, 위협 감소 및 하천 관리 개선을 포함할 수 있는 국가 보존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104]공동저자인 길라드 비노는 2016년 기준 수치의 추정치가 틀릴 수 있으며, 이미 수치가 절반으로 줄어들었을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100]
뉴사우스웨일스 대학 과학자들의 2020년 11월 보고서는 세계야생생물기금 호주 및 국제휴메인 소사이어티와 공동으로 호주 보존 재단의 연구 보조금으로 자금을 지원했으며 호주에서 오리너구리 서식지가 지난 30년 동안 22%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오리너구리를 EPBC 법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할 것을 권고했습니다.[6][105]뉴사우스웨일스 주, 특히 머레이-달링 분지에서 인구 감소가 가장 컸습니다.[106][6]
질병
오리너구리는 일반적으로 야생에서 거의 질병을 앓지 않지만, 2008년 현재 태즈메이니아에서는 곰팡이 Mucor 양서류에 의한 질병의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이 질병은 태즈메이니아 오리너구리에만 영향을 미치며, 호주 본토의 오리너구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감염된 오리너구리는 등, 꼬리, 다리를 포함하여 몸의 다양한 부분에 피부 병변이나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점막근균증은 오리너구리를 죽일 수 있고, 2차 감염으로 인해 사망할 수 있으며, 체온과 먹이를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동물의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1차 산업 및 수자원부의 생물 다양성 보존 부서는 NRM 북부 및 태즈메이니아 대학 연구원들과 협력하여 이 병이 태즈메이니아 오리너구리에 미치는 영향과 질병의 전염 및 확산 메커니즘을 파악했습니다.[107]
야생동물 보호구역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4/Platypus_house_at_Lone_Pine_Koala_Sanctuary.jpg/220px-Platypus_house_at_Lone_Pine_Koala_Sanctuary.jpg)
1939년 National Geographic Magazine이 오리너구리와 사육 상태에서 연구하고 기르려는 노력에 대한 기사를 발표하면서 전 세계의 많은 부분이 오리너구리에게 소개되었습니다.후자는 어려운 일이고, 그 이후로 빅토리아의 힐즈빌 생츄어리에서 소수의 아이들만 성공적으로 길러졌습니다.이러한 노력의 선두주자는 1943년 번식이 성공한 힐즈빌 생츄어리(탱크 안의 모의 하천)를 설립한 데이비드 플리(David Fleay)였습니다.[108]1972년, 그는 퀸즈랜드 골드 코스트의 벌리 헤드스에 있는 야생동물 공원에서 사육 상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약 50일 된 죽은 아기를 발견했습니다.[109]힐즈빌은 1998년과 2000년에 비슷한 스트림 탱크로 성공을 반복했습니다.[110]2008년 이래로 오리너구리는 힐즈빌에서 2세대를 [111]포함하여 정기적으로 번식을 해왔습니다.[112]시드니의 타롱가 동물원은 2003년에 쌍둥이를 낳았고, 2006년에 그곳에서 다시 성공적으로 번식했습니다.[110]
감금된
2019년 현재, 호주 밖에서 사육되고 있는 오리너구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샌디에고 동물원 사파리 공원에 있는 유일한 오리너구리입니다.[113][114]브롱크스 동물원에 동물들을 데려오기 위해 1922년, 1947년, 1958년에 세번의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이 중 1947년에 소개된 세 동물 중 페넬로페와 세실 두 동물만이 [115]18개월 이상을 살았습니다.[116]
인간 상호작용
사용.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0/08/Platypus_cape_unknown_tasmania.jpg/220px-Platypus_cape_unknown_tasmania.jpg)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은 오리너구리를 먹이로 사냥하곤 했는데(오리너구리의 기름진 꼬리는 특히 영양가가 높습니다), 식민지화 이후 19세기 후반부터 1912년까지 유럽인들은 털을 얻기 위해 오리너구리를 사냥했습니다.[117]게다가, 유럽의 연구원들은 오리너구리를 포획하여 죽이거나 알을 제거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과학적 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또한 명성을 얻고 다른 나라의 경쟁자들보다 경쟁하기 위함이기도 합니다.[6]
문화참고문헌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7/Australianstamp_1551.jpg/220px-Australianstamp_1551.jpg)
오리너구리는 호주 원주민들의 드림타임 이야기에서 소재가 되었는데, 그들 중 일부는 오리와 물쥐의 잡종이라고 믿었습니다.[118]: 57–60
달링 강 상류의 한 이야기에 따르면,[6] 주요 동물 집단인 육지 동물, 물 동물, 그리고 새들은 모두 오리너구리가 각자의 집단에 합류하기 위해 경쟁했지만, 오리너구리는 자신이 특별하기 위해 집단의 일부가 될 필요가 없다고 느끼면서 결국 그들 중 어느 것도 합류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118]: 83–85 그리고 그 모든 그룹들과 친구로 남고 싶었답니다.[6]윗달링의 또 다른 꿈꾸는 이야기는 어린 오리가 부족의 경고를 무시하고 너무 멀리 모험을 하고 빅군이라고 불리는 큰 물쥐에게 납치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얼마 후 겨우 탈출한 그녀는 돌아와서 알 두 개를 낳았고 알은 이상한 털북숭이 생물체로 부화하여 모두 추방되어 산속으로 살게 되었습니다.[6]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22Nam_Sang_Woo_Safety_Matches%22_platypus_matchbox_label_art_-_from%2C_Collectie_NMvWereldculturen%2C_TM-6477-76%2C_Etiketten_van_luciferdoosjes%2C_1900-1949_%28cropped%29.jpg/220px-%22Nam_Sang_Woo_Safety_Matches%22_platypus_matchbox_label_art_-_from%2C_Collectie_NMvWereldculturen%2C_TM-6477-76%2C_Etiketten_van_luciferdoosjes%2C_1900-1949_%28cropped%29.jpg)
일부 원주민들은 오리너구리를 토템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그들에게 "일족이나 가족 구성원들이 그들의 정신적 상징으로서 물려받은 자연적인 물건, 식물 또는 동물"이며, 오리너구리는 머리 강을 따라 사는 와디 와디족에게 토템 동물로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오리너구리는 문화적인 중요성과 국가와의 관계에서 중요성 때문에 이러한 원주민들에 의해 보호되고 보존됩니다.[6]
오리너구리는 호주의 문화적 정체성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되어 왔습니다.1940년대에, 유대를 강화하고 사기를 높이기 위해 살아있는 오리너구리가 2차세계대전의 동맹국들에게 주어졌습니다.[6]
오리너구리는 여러 번 마스코트로 사용되었습니다.시드니 오리너구리는 바늘두더지, 쿠카부라와 함께 시드니 2000 올림픽에 선정된 3개의 마스코트 중 하나였고,[119] 오즈 오리너구리 엑스포는 1988년 브리즈번에서 열린 세계 88 엑스포의 마스코트였고, [120]헥슬리 오리너구리는 다윈 운영체제의 마스코트였습니다.애플 사의 맥OS [121]및 기타 운영 체제의 BSD 기반 코어
1966년 호주에 십진법 화폐가 도입된 이래, 스튜어트 데블린이 디자인하고 조각한 오리너구리의 양각 이미지가 20센트 동전의 뒷면에 나타났습니다.[122]오리너구리는 호주 우표에 자주 등장했는데, 가장 최근에는 2015년 "Native Animals" 시리즈와 2016년 "Australian Animals Monotremes" 시리즈에 등장했습니다.[123][124]
미국 애니메이션 시리즈 피니어스와 퍼브(2007–2015)에서 주인공들은 자신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비밀 요원 페리라는 이름의 애완용 청록색 오리너구리를 소유하고 있습니다.그러한 선택들은 동물의 눈에 띄는 외모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과소 사용에 의해 영감을 받았습니다;[125] 게다가, 그 캐릭터의 주제가를 쓴 쇼 크리에이터 댄 포벤마이어는 그것의 첫 가사가 위키피디아의 오리너구리 기사의 도입 문장에 기초하고 "반수분의 알을 낳는 포유동물" 문구 단어를 모방한다고 말했습니다.단어와 "행동"이라는 문구를 붙입니다.[126]캐릭터로서 페리는 팬들과 비평가들 모두에게 호평을 받아왔습니다.[127][128]공교롭게도 진짜 오리너구리는 자외선 아래서 보면 비슷한 청록색을 보입니다.[129]
참고 항목
각주
인용문
- ^ a b Woinarski, J.; Burbidge, A.A. (2016). "Ornithorhynchus anatin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40488A21964009. doi:10.2305/IUCN.UK.2016-1.RLTS.T40488A21964009.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 ^ "Ornithorhynchus anatinus".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Retrieved 13 July 2021.
- ^ Groves, C.P. (2005). "Order Monotremata". In Wilson, D.E.; Reeder, D.M (ed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 2.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Shaw, George; Nodder, Frederick Polydore (1799). "The Duck-Billed Platypus, Platypus anatinus". The Naturalist's Miscellany. 10 (CXVIII): 385–386. doi:10.5962/p.304567.
- ^ a b "Platypus Conservation Initiativ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y 2023. Retrieved 9 August 2023.
- ^ a b c d e f g h i j "A national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platypus".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23 November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20. Retrieved 28 November 2020.
- ^ Hall, Brian K. (March 1999). "The Paradoxical Platypus". BioScience. 49 (3): 211–8. doi:10.2307/1313511. JSTOR 1313511.
- ^ a b "Duck-billed Platypus". Museum of hoax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4. Retrieved 21 July 2010.
- ^ a b Shaw, George; Nodder, Frederick Polydore (1799). "The Duck-Billed Platypus, Platypus anatinus". The Naturalist's Miscellany. 10 (CXVIII): 385–386. doi:10.5962/p.3045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20. Retrieved 6 October 2020 – via Biodiversity Heritage Library.
- ^ a b c d e f g "Platypus facts file".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5. Retrieved 13 September 2006.
- ^ πλα τύπους 2021년 2월 25일 웨이백 머신, 헨리 조지 리델, 로버트 스콧, 그리스-영어 어휘록, 페르세우스에서 보관
- ^ πλα τύς 2021년 2월 25일 페르세우스의 그리스어-영어 어휘인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됨
- ^ πούς 2021년 2월 27일 페르세우스의 그리스-영어 어휘인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됨
- ^ Liddell, Henry George & Scott, Robert (1980).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ISBN 978-0-19-910207-5.
- ^ a b c Shaw, George; Nodder, Frederick Polydore (1799). "The Duck-Billed Platypus, Platypus anatinus". The Naturalist's Miscellany. 10 (CXVIII): 385–386. doi:10.5962/p.30456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20. Retrieved 6 October 202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Grant, J.R. "16" (PDF). Fauna of Australia. Vol. 1b.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AB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9 May 2005. Retrieved 13 September 2006.
- ^ "Platypus Paradoxes".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August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12. Retrieved 14 September 2006.
-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1940). "ὄρνις".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Digital Library.
- ^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1940). "ῥύγχος". A Greek-English Lexicon. Perseus Digital Library.
- ^ Lewis, Charlton T.; Short, Charles (1879). "ănăs". A Latin Dictionary. Perseus Digital Library.
- ^ Bess, Anna. "ADW: Ornithorhynchidae: INFORMATION". Animaldiversity.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anuary 2022. Retrieved 11 February 2022.
- ^ Collins, David. An Account of the English Colony in New South Wales, Volume 2. Retrieved 5 July 2017 – via Internet Archive.
- ^ Anich, Paula Spaeth (15 October 2020). "Biofluorescence i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ammalia. 85 (2): 179–181. doi:10.1515/mammalia-2020-0027.
- ^ "Platypus: Facts, Pictures: Animal Planet". Animal.discovery.com. 16 Nov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uly 2011. Retrieved 8 September 2012.
- ^ Guiler, E.R. (1983). "Tasmanian Devil". In R. Strahan (ed.). The Australian Museum Complete Book of Australian Mammals. Angus & Robertson. pp. 27–28. ISBN 978-0-207-14454-7.
- ^ Fish FE; Frappell PB; Baudinette RV; MacFarlane PM (February 2001). "Energetics of terrestrial locomotion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PDF).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4 (Pt 4): 797–803. doi:10.1242/jeb.204.4.797. hdl:2440/12192. PMID 11171362.
- ^ a b Munks, Sarah & Nicol, Stewart (May 1999). "Current research o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in Tasmania: Abstracts from the 1999 'Tasmanian Platypus Workshop'". University of Tasma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ugust 2006. Retrieved 23 October 2006.
- ^ "Thermal Biology of the Platypus". Davidson College.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12. Retrieved 14 September 2006.
- ^ Watson, J.M.; Graves, J.A.M. (1988). "Monotreme Cell-Cycl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36 (5): 573–584. doi:10.1071/ZO9880573.
- ^ Dawson, T.J.; Grant, T.R.; Fanning, D. (1979). "Standard Metabolism of Monotremes and the Evolution of Homeothermy".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27 (4): 511–5. doi:10.1071/ZO9790511.
- ^ Graves, Jennifer (10 March 2006). "Sex Chromosome Specialization and Degeneration in Mammals". Cell. 124 (5): 901–914. doi:10.1016/j.cell.2006.02.024. PMID 16530039. S2CID 8379688.
- ^ Hayashi, S.; Houssaye, A.; Nakajima, Y.; Chiba, K.; Ando, T.; Sawamura, H.; Inuzuka, N.; Kaneko, N.; Osaki, T. (2013). "Bone Inner Structure Suggests Increasing Aquatic Adaptations in Desmostylia (Mammalia, Afrotheria)". PLOS ONE. 8 (4): e59146. Bibcode:2013PLoSO...859146H. doi:10.1371/journal.pone.0059146. PMC 3615000. PMID 23565143.
- ^ a b Piper, Ross (2007). Extraordinary Animals: An Encyclopedia of Curious and Unusual Animals. Greenwood Press. ISBN 978-0-313-33922-6.
- ^ Haeckel (1895). Systematische Phylogenie der Wirbelthiere (Vertebrata). Entwurf einer systematischen Stammesgeschichte (in German). Vol. 3 (1 ed.). Berlin: Georg Reimer. pp. 142–14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21. Retrieved 16 July 2021.
- ^ Ungar, Peter S. (2010). "Monotremata and Marsupialia". Mammal Teeth: Origin, Evolution, and Diversit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 130. ISBN 978-0-801-89668-2.
- ^ "Australian Fauna". Australian Fau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2. Retrieved 14 May 2010.
- ^ "Platypus venom linked to pain relief". University of Sydney. 8 May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ugust 2011. Retrieved 14 May 2010.
- ^ "Platypus poison". Rainforest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May 2010. Retrieved 14 May 2010.
- ^ a b c d Gerritsen, Vivienne Baillie (December 2002). "Platypus poison". Protein Spotlight (2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October 2008. Retrieved 14 September 2006.
- ^ Weimann, Anya (2007년 7월 4일) 오리너구리 독의 진화가 밝혀졌습니다.코스모스.
- ^ de Plater, G.M.; Milburn, P.J.; Martin, R.L. (2001). "Venom From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Induces a Calcium-Dependent Current in Cultured Dorsal Root Ganglion Cells". Journal of Neurophysiology. 85 (3): 1340–5. doi:10.1152/jn.2001.85.3.1340. PMID 11248005. S2CID 24527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21. Retrieved 1 December 2019.
- ^ "The venom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2. Retrieved 13 September 2006.
- ^ Jørn H. Hurum, Ze-Xi Luo, Zofia Kielan-Jaworowska, 포유류는 원래 독이 있었나요?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1 (1), 2006: 1-11
- ^ a b c d Pettigrew, John D. (1999). "Electroreception in Monotremes" (PDF).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2 (Part 10): 1447–54. doi:10.1242/jeb.202.10.1447. PMID 10210685.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6. Retrieved 19 September 2006.
- ^ Czech-Damal, Nicole U.; Liebschner, Alexander; Miersch, Lars; Klauer, Gertrud; Hanke, Frederike D.; Marshall, Christopher; Dehnhardt, Guido; Hanke, Wolf (22 February 2012). "Electroreception in the Guiana dolphin (Sotalia guianensi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9 (1729): 663–668. doi:10.1098/rspb.2011.1127. PMC 3248726. PMID 21795271.
- ^ Proske, Uwe; Gregory, J. E.; Iggo, A. (1998). "Sensory receptors in monotrem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353 (1372): 1187–1198. doi:10.1098/rstb.1998.0275. PMC 1692308. PMID 9720114.
- ^ a b c Warren, Wesley C.; et al. (8 May 2008). "Genome analysis of the platypus reveals unique signatures of evolution". Nature. 453 (7192): 175–183. Bibcode:2008Natur.453..175W. doi:10.1038/nature06936. PMC 2803040. PMID 18464734.
- ^ Gregory, J.E.; Iggo, A.; McIntyre, A.K.; Proske, U. (June 1988). "Receptors in the Bill of the Platypus". Journal of Physiology. 400 (1): 349–366. doi:10.1113/jphysiol.1988.sp017124. PMC 1191811. PMID 3418529.
- ^ Manning, A.; Dawkins, M.S. (1998). An Introduction to Animal Behaviour (5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a b Pettigrew, John D.; Manger, P. R.; Fine, S. L. (1998). "The sensory world of the platypu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353 (1372): 1199–1210. doi:10.1098/rstb.1998.0276. PMC 1692312. PMID 9720115.
- ^ Dawkins, Richard (2004). "The Duckbill's Tale". The Ancestor's Tale, A Pilgrimage to the Dawn of Life. Boston, Massachusetts: Houghton Mifflin. ISBN 978-0-618-00583-3.
- ^ a b 아사하라 마사카즈, 고이즈미 마사히로,토마스 E.마크리니; 수잔 J. 핸드; 마이클 아처 (2016)."살아있는 오리너구리와 멸종된 오리너구리의 두개골 형태 비교:먹이를 주는 행동, 전기 수신, 치아 상실"Science Advances. 2(10): e1601329. Doi: 10.1126/sciadv.1601329.
- ^ Zeiss, Caroline; Schwab, Ivan R.; Murphy, Christopher J.; Dubielzig, Richard W. (2011). "Comparative retinal morphology of the platypus". Journal of Morphology. 272 (8): 949–57. doi:10.1002/jmor.10959. PMID 21567446. S2CID 28546474.
- ^ November 2020, Mindy Weisberger-Senior Writer 02 (2 November 2020). "Platypuses glow an eerie blue-green under UV light". livesci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20. Retrieved 7 November 2020.
- ^ "Platypus".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Tasmania. 31 August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06. Retrieved 12 October 2006.
- ^ a b Sutton, Malcolm (3 May 2017). "Platypus 'sighting' in the Adelaide Hills sparks camera set-up to capture extinct species - ABC News". ABC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Keogh, Melissa (3 October 2018). "Life reinstated to much-loved Warrawong Wildlife Sanctuary". The Lead S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Adams, Prue (27 March 2005). "Wamsley walks away from Earth Sanctuaries". Landline.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Sutton, Malcolm (1 October 2020). "V6 Commodore water pump gets the tick from nesting platypus at Warrawong". ABC News.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October 2020. Retrieved 7 October 2020.
- ^ "Research on Kangaroo Island". University of Adelaide. 4 July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04. Retrieved 23 October 2006.
- ^ "Find out how platypuses are faring on Kangaroo Island following the bushfires". Department for Environment and Water. 7 April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21. Retrieved 12 October 2020.
- ^ a b Scott, Anthony; Grant, Tom (November 1997). "Impacts of water management in the Murray-Darling Basin o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and the water rat (Hydromus chrysogaster)" (PDF). CSIRO Australia.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6. Retrieved 23 October 2006.
- ^ "Platypus in Country Areas".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September 2016. Retrieved 23 October 2006.
- ^ a b c d "Platyp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Queensland Parks and Wildlife Service.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October 2009. Retrieved 24 July 2009.
- ^ a b c Cromer, Erica (14 April 2004). "Monotreme Reproductive Biology and Behavior". Iowa State Univers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rch 2009. Retrieved 18 June 2009.
- ^ a b c Grant, T.G.; Temple-Smith, P.D. (1998). "Field biology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historical and current perspectiv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081–91. doi:10.1098/rstb.1998.0267. PMC 1692311. PMID 9720106.
- ^ Gardner, J. L.; Serena, M. (1995). "Spatial-Organization and Movement Patterns of Adult Male Platypus, Ornithorhynchus-Anatinus (Monotremata, Ornithorhynchidae)".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43 (1): 91–103. doi:10.1071/ZO9950091.
- ^ a b c "Platypus in Tasmania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Tasmania". dpipwe.tas.gov.a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20. Retrieved 10 April 2020.
- ^ Fish, F.E.; Baudinette, R.V.; Frappell, P.B.; Sarre, M.P. (1997). "Energetics of Swimming by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etabolic Effort Associated with Rowing" (PDF).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0 (20): 2647–52. doi:10.1242/jeb.200.20.2647. PMID 935937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09. Retrieved 23 October 2006.
- ^ a b Philip Bethge (April 2002). Energetics and foraging behaviour of the platypus (thesis). University of Tasmania. doi:10.25959/23210588.v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October 2018. Retrieved 21 June 2009.
- ^ Kruuk, H. (1993). "The Diving Behaviour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in Waters with Different Trophic Status".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30 (4): 592–8. doi:10.2307/2404239. JSTOR 2404239.
- ^ Holland, Jennifer S. (July 2011). "40 Winks?". National Geographic. 220 (1).
- ^ a b Grant, T. R.; Griffiths, M.; Leckie, R.M.C. (1983). "Aspects of Lactation i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onotremata), in Waters of Eastern New South Wales". Australian Journal of Zoology. 31 (6): 881–9. doi:10.1071/ZO9830881.
- ^ Anna Bess Sorin & Phil Myers (2001). "Family Ornithorhynchidae (platypus)".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pril 2011. Retrieved 24 October 2006.
- ^ Hughes, R. L.; Hall, L. S. (28 July 1998). "Early development and embryology of the platypu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101–14. doi:10.1098/rstb.1998.0269. PMC 1692305. PMID 9720108.
- ^ a b Manger, Paul R.; Hall, Leslie S.; Pettigrew, John D. (29 July 1998). "The development of the external features of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115–25. doi:10.1098/rstb.1998.0270. PMC 1692310. PMID 9720109.
- ^ "Ockhams Razor". The Puzzling Platypus. 20 July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17. Retrieved 2 December 2006.
- ^ Myers, P. Z. (2008). "Interpreting Shared Characteristics: The Platypus Genome". Nature Education. 1 (1): 46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8. Retrieved 26 March 2015.
- ^ Carmody, Judy (2011). Wet Tropics of Queensland World Heritage Area: Tour Guide Handbook (PDF). James Cook University, Marine and Tropical Science Research Facility.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20. Retrieved 8 February 2021.
- ^ Australian National Dictionary Centre (November 2017). "Oxford Word of the Month - November: platypup" (PDF).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20 April 2022.
- ^ "Egg-laying mammals" (PDF). Queensland Museum. November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ly 2008. Retrieved 19 June 2009.
- ^ Lecointre, Guillaume; Le Guyader, Hervé (2006).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183-9. Retrieved 28 March 2015.
- ^ a b c Kirsch, John A. W.; Mayer, Gregory C. (29 July 1998). "The platypus is not a rodent: DNA hybridization, amniote phylogeny and the palimpsest theory".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353 (1372): 1221–37. doi:10.1098/rstb.1998.0278. PMC 1692306. PMID 9720117.
- ^ a b Rauhut, O.W.M.; Martin, T.; Ortiz-Jaureguizar, E.; Puerta, P. (2002). "The first Jurassic mammal from South America". Nature. 416 (6877): 165–8. Bibcode:2002Natur.416..165R. doi:10.1038/416165a. hdl:11336/99461. PMID 11894091. S2CID 4346804.
- ^ Messer, M.; Weiss, A.S.; Shaw, D.C.; Westerman, M. (March 1998). "Evolution of the Monotremes: Phylogenetic Relationship to Marsupials and Eutherians, and Estimation of Divergence Dates Based on α-Lactalbumin Amino Acid Sequences". Journal of Mammalian Evolution. 5 (1): 95–105. doi:10.1023/A:1020523120739. S2CID 39638466.
- ^ Phillips MJ; Bennett TH; Lee MS (2009). "Molecules, morphology, and ecology indicate a recent, amphibious ancestry for echidnas". Proc. Natl. Acad. Sci. U.S.A. 106 (40): 17089–94. Bibcode:2009PNAS..10617089P. doi:10.1073/pnas.0904649106. PMC 2761324. PMID 19805098.
- ^ a b Rich, Thomas H.; Hopson, James A.; Gill, Pamela G.; Trusler, Peter; Rogers-Davidson, Sally; Morton, Steve; Cifelli, Richard L.; Pickering, David; Kool, Lesley (2016). "The mandible and dentition of the Early Cretaceous monotreme Teinolophos trusleri". Alcheringa: An Australasian Journal of Palaeontology. 40 (4): 475–501. Bibcode:2016Alch...40..475R. doi:10.1080/03115518.2016.1180034. hdl:1885/112071. ISSN 0311-5518. S2CID 89034974.
- ^ a b Pascual, R.; Goin, F.J.; Balarino, L.; Udrizar Sauthier, D.E. (2002). "New data on the Paleocene monotreme Monotrematum sudamericanum, and the convergent evolution of triangulate molars" (PDF).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47 (3): 487–492.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17. Retrieved 18 March 2009.
- ^ Folger, Tim (1993). "A platypus in Patagonia (Ancient life – 1992)". Discover. 14 (1): 66.
- ^ Mihai, Andrei (2013). "'Platypus-zilla' fossil unearthed in Australia". ZME Scien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21. Retrieved 5 November 2013.
- ^ Selim, Jocelyn (25 April 2005). "Sex, Ys, and Platypuses". Discov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08. Retrieved 7 May 2008.
- ^ Frank Grützner; Willem Rens; Enkhjargal Tsend-Ayush; Nisrine El-Mogharbel; Patricia C. M. O'Brien; Russell C. Jones; Malcolm A. Ferguson-Smith; Jennifer A. Marshall Graves (16 December 2004). "In the platypus a meiotic chain of ten sex chromosomes shares genes with the bird Z and mammal X chromosomes". Nature. 432 (7019): 913–917. Bibcode:2004Natur.432..913G. doi:10.1038/nature03021. PMID 15502814. S2CID 4379897.
- ^ "Beyond the Platypus Genome – 2008 Boden Research Conference". Reprod Fertil Dev. 21 (8): i–ix, 935–1027.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15. Retrieved 3 March 2012.
- ^ Cortez, Diego; Marin, Ray; Toledo-Flores, Deborah; Froidevaux, Laure; Liechti, Angélica; Waters, Paul D.; Grützner, Frank; Kaessmann, Henrik (2014). "Origins and functional evolution of Y chromosomes across mammals". Nature. 508 (7497): 488–493. Bibcode:2014Natur.508..488C. doi:10.1038/nature13151. PMID 24759410. S2CID 4462870.
- ^ Salleh, Anna (5 May 2014). "Platypus Sex 'Master Switch' Identified".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6. Retrieved 5 June 2014.
- ^ Zhou, Yang; Shearwin-Whyatt, Linda; Li, Jing; Song, Zhenzhen; Hayakawa, Takashi; Stevens, David; Fenelon, Jane C.; Peel, Emma; Cheng, Yuanyuan; Pajpach, Filip; Bradley, Natasha (6 January 2021). "Platypus and echidna genomes reveal mammalian biology and evolution". Nature. 592 (7856): 756–762. Bibcode:2021Natur.592..756Z. doi:10.1038/s41586-020-03039-0. ISSN 1476-4687. PMC 8081666. PMID 33408411.
- ^ "Game Act 1890". Australasia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10 July 189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23. Retrieved 9 August 2023.
- ^ John Woinarski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 and The Arts; Group), Andrew Burbidge (IUCN SSC Australasian Marsupial and Monotreme Specialist (22 April 201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Ornithorhynchus anatin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20. Retrieved 3 December 2020.
- ^ "Platypus Risk Assessment" (PDF). Department of Energy, Environment and Climate Action.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7 March 2023. Retrieved 9 August 2023.
- ^ a b c Wilcox, Christie (29 August 2019). "The silent decline of the platypus, Australia's beloved oddity". National Geograph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Octo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EPBC Act List of Threatened Fauna". Species Profile and Threats Databas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Agriculture, Water and the Enviro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1 January 2020). "Platypus on brink of extinction". EurekAle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20. Retrieved 22 January 2020.
- ^ "Platypus on brink of extinction". ScienceDaily. 12 October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Octo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 Bino, Gilad; Kingsford, Richard T.; Wintleb, Brendan A. (1 February 2020). "A stitch in time – Synergistic impacts to platypus metapopulation extinction risk". Biological Conservation. 242: 108399. doi:10.1016/j.biocon.2019.108399. ISSN 0006-3207. S2CID 2138337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October 2020. Retrieved 12 October 2020 – via ScienceDirect (Elsevier).
- ^ Cox, Lisa (23 November 2020). "Australia's platypus habitat has shrunk 22% in 30 years, report say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November 2020. Retrieved 28 November 2020.
- ^ "Platypus should be listed as a threatened species: new report". UNSW Newsroom.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3 November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20. Retrieved 28 November 2020.
- ^ "Platypus Fungal Diseas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Tasmania. 29 August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08. Retrieved 29 February 2008.
- ^ "Fantastic Fleay turns 20!". Zoos Victoria. 31 Octo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November 2018. Retrieved 4 February 2014.
- ^ "David Fleay's achievements". Queensland Government. 23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06. Retrieved 13 September 2006.
- ^ a b "Platypus". Catalyst. 13 November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1. Retrieved 13 September 2006.
- ^ "Pitter patter – Platypus twins!". Zoo Victoria. 4 March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ugust 2018. Retrieved 17 August 2017.
- ^ "Zoos". Australian Platypus Conservancy. 22 Novem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9. Retrieved 17 August 2017.
- ^ Anderson, Erik (22 November 2019). "Rare Platypus On Display At San Diego Zoo Safari Park". KPBS Public M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May 2020. Retrieved 29 December 2019.
The animals are the only platypuses on display outside of their native country.
- ^ "Platypus San Diego Zoo Animals & Plants". animals.sandiegozoo.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uly 2020. Retrieved 29 December 2019.
- ^ "Animals: End of the Affair". Time. 19 August 195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ne 2007.
- ^ Lee S. Crandall (1964). The Management of Wild Mammals in Cap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 "Protecting Wild Animals". The Advertiser (Adelaide). 27 September 19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ugust 2023. Retrieved 9 August 2023.
- ^ a b McKay, Helen F.; McLeod, Pauline E.; Jones, Francis F.; Barber, June E. (2001). Gadi Mirrabooka: Australian Aboriginal Tales from the Dreaming. Libraries Unlimited. ISBN 978-1563089237.
- ^ "A Brief History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Mascots". Beijing2008. 5 August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08. Retrieved 25 October 2006.
- ^ "About World Expo '88". Foundation Expo '88. 198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December 2013. Retrieved 17 December 2007.
- ^ "The Home of Hexley the Platyp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February 2011. Retrieved 25 October 2006.
- ^ "Circulating coins: Twenty Cents". Royal Australian Mint. 8 January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March 2021. Retrieved 12 September 2020.
- ^ "Native Animals - Issue Date 13 January 2015". Australia Post Collectab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January 2021. Retrieved 12 September 2020.
- ^ "Australian Animals Monotremes – Issue Date 26 September 2016". Australia Post Collectab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January 2021. Retrieved 12 September 2020.
- ^ "Disney gives 'Ferb' pickup, major push – Q&A: Dan Povenmire". The Hollywood Reporter. 7 June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8. Retrieved 5 March 2017.
- ^ "Perry the Platypus" Live at Musi-C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21, retrieved 23 March 2021
- ^ Littleton, Cynthia (20 November 2009). "'Phineas' star Perry makes mark on auds". Var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December 2009. Retrieved 26 November 2009.
- ^ Jackson, John (31 March 2009). "Five Reasons Why Phineas and Ferb is the Best Kids Show on TV". Pas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9. Retrieved 25 November 2009.
- ^ Anich, Paula Spaeth; Anthony, Sharon; Carlson, Michaela; Gunnelson, Adam; Kohler, Allison M.; Martin, Jonathan G.; Olson, Erik R. (1 March 2021). "Biofluorescence i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ammalia. 85 (2): 179–181. doi:10.1515/mammalia-2020-0027. ISSN 1864-1547. S2CID 226324381.
참고문헌
책들
- Augee, Michael L. (2001). "Platypus". World Book Encyclopedia.
- Burrell, Harry (1974). The Platypus. Adelaide SA: Rigby. ISBN 978-0-85179-521-8.
- Fleay, David H. (1980). Paradoxical Platypus: Hobnobbing with Duckbills. Jacaranda Press. ISBN 978-0-7016-1364-8.
- Grant, Tom (1995). The platypus: a unique mammal. Sydney: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ress. ISBN 978-0-86840-143-0.
- Griffiths, Mervyn (1978). The Biology of the Monotremes. Academic Press. ISBN 978-0-12-303850-0.
- Hutch, Michael; McDade, Melissa C., eds. (2004).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Lower metazoans and lesser deuterosomes". Grzi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Vol. 12: Mammals III. Gale. ISBN 9780787657772. OCLC 1089554968.
- Moyal, Ann Mozley (2004). Platypus: The Extraordinary Story of How a Curious Creature Baffled the World.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8-8052-0.
- Strahan, Ronald; Van Dyck, Steve (April 2006). Mammals of Australia (3rd ed.). New Holland. ISBN 978-1-877069-25-3.
다큐멘터리
- "Southern Exposure". Eye of the Storm. 2000.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May 2013. DVD EAN 9398710245592
- "El Niño". Eye of the Storm. 20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February 2013.
외부 링크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thumb/4/4a/Commons-logo.svg/30px-Commons-logo.svg.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d/df/Wikispecies-logo.svg/34px-Wikispecies-logo.svg.png)
- Ornithorhynchus anatinus의 생물다양성 유산 도서관 참고문헌
- 오리너구리 사실 (2019년 9월 10일 기록)
- 앙상블에서 오리너구리 게놈 보기
- PBS 네이처 "오리너구리 정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