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2세

Louis II of Hungary
루이 2세
Hans Krell - Portrait of King Louis II of Hungary (c.1526).jpg
한스 크렐의 초상화, 1526년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통치.1516–1526
대관식1508년 6월 4일
전임자블라디슬라프 2세
후계자페르디난도 1세
존 자폴랴
보헤미아의 왕
통치.1516–1526
대관식1509년 3월 11일
전임자블라디슬라프 2세
후계자페르디난도 1세
태어난1506년 7월 1일
헝가리 부다
(현재 헝가리 부다페스트)
죽은1526년 8월 29일 (1526-08-29) (20세)
헝가리 왕국 모하치
매장
배우자.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쟁점.야노스 바스 (불법)
하우스.야기엘론
아버지.블라디슬라프 2세
어머니.푸아캉달의 앤
종교천주교
서명Louis II's signature

루이 2세(체코어: 루드빅, 크로아티아어:루도비크(Ludovik, 헝가리어: Lajos, 슬로바키아: ududovitt, 1506년 7월 1일 ~ 1526년 8월 29일)는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의 왕(재위: 1516년 ~ 1526년)이다.그는 오스만 제국과 싸우던 모하치 전투에서 전사했고,[1] 그의 승리는 헝가리의 대부분을 오스만 합병으로 이끌었다.

초기 생활

1506년 7월 1일 부다에서 조산했을 때, 궁정 의사들은 동물을 죽이고 원시적인 [2]인큐베이터로 따뜻한 사체에 싸서 그를 살려두었다.그는 블라디슬라우스 2세 야기엘론과 그의 세 번째 아내인 푸아캉달[3]의 외아들이다.

대관식

블라디슬라프 2세는 소년의 생전에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였다.; 루이의 헝가리 왕 즉위식은 1508년 6월 4일 세케스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열렸고, 보헤미아의 왕으로서 그의 대관식은 1509년 3월 11일 상트페테르바르 대성당에서 열렸다. 프라하비투스 대성당.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1515년 루이 2세는 1515년 제1차 비엔나 회의에 의해 규정된 막시밀리안 1세 황제의 손녀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와 결혼했다.그의 여동생 앤은 메리의 오빠 페르디난드와 결혼했는데, 당시 그의 오빠인 찰스 5세와 후에 페르디난드 1세 황제를 대신해 총독이 되었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거물들의 꼭두각시였고 충분한 음식과 의복을 얻기 위해 종종 보석을 전당포에 맡길 수밖에 없었다.그의 후견인인 타마스 바코츠 추기경과 조지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 백작은 그를 수치스럽게 무시했고, 왕실의 수익을 낭비하고 끝없는 불화로 온 왕국을 혼란에 빠뜨렸다.바코츠 추기경의 선종 이후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고, 그 때 거물 이스반 바토리, 존 자폴랴, 이스반 베르베치는 서로 격렬하게 싸웠고, 식단을 그들의 [4]도구로 사용했다.

보헤미아의 왕

보헤미아의 왕으로서, 루도는 "아이 루도비쿠스"[5]로 알려지게 되었다.최초의 탈레르 동전은 보헤미아에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주조되었고, 후에 다른 나라에서 사용되는 달러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LVDOVICVS·PRIM·D:GRACIA·REX·BO*'(루이 1세, 보헤미아의 신왕의 은총으로)라는 말이 맞다.

터키와의 전쟁

젊은 루이 2세, 약 1515년 베른하르트 스트리겔의 작품

1516년 그의 아버지가 죽은 후, 작은 루이 2세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좌에 올랐다.루이스는 1515년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에 의해 입양되었다.막시밀리안 1세가 1519년에 사망했을 때, 루이는 그의 법적 후견인인 사촌인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변경백 게오르크에 의해 길러졌다.

술탄은 술레이만 1세의 왕좌에 오른 후 헝가리가 받은 연례 공물을 모으기 위해 루이 2세에게 대사를 보냈다.루이는 연례 조공을 거부하고 오스만 대사가 처형되어 [6]술탄에게 머리를 보냈다.루이는 교황령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를 포함한 다른 기독교 국가들이 를 도울 것이라고 믿었다.이 사건은 헝가리의 몰락을 앞당겼다.

헝가리는 1520년 거물들의 통치하에 거의 무정부 상태에 있었다.국왕의 재정은 엉망이었다; 그는 국민 소득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계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 돈을 빌렸다.국경수비대가 무보수로 전락하고, 요새가 황폐해졌으며,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려는 계획들이 좌절되었다.1521년 술탄 술레이만 대제는 헝가리의 약점을 잘 알고 있었다.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왕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술레이만은 로도스 포위 계획을 연기하고 베오그라드로 원정을 갔다.루이스와 그의 아내 메리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 군사 원조를 요청했다.그의 삼촌인 폴란드의 지기스문트 왕과 그의 처남인 페르디난드 대공은 기꺼이 도와주었다.페르디난드는 3,000명의 보병 부대와 약간의 포병을 파견했고, 지기스문트는 [7]보병을 보내겠다고 약속했다.그러나 조정 과정은 완전히 실패했다.결연한 지도자였지만, 메리는 비헝가리 고문들에게 의지함으로써 불신을 일으켰고, 반면 루이스는 활력이 부족했고, 그의 귀족들은 이를 깨달았다.[8][9]오스트리아의 군사 원조는 외견상 국경을 강화하기는 하지만,[10] 심지어 그 당시까지 금지되었던 통일된 지도부를 해체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가져왔다.

베오그라드와 세르비아의 많은 전략적 성들이 오스만에 의해 점령되었다.이것은 루이스 왕국에 재앙이었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시인 베오그라드와 샤박 없이, 부다를 포함한 헝가리는 터키 정복에 더 많은 문을 열었다.

보헤미아 왕국의 요아힘스탈러는 최초의 판매상이었다.이것은 보헤미안 사자와 루이스/루도비쿠스라는 이름이 있는 그것의 뒷면이다.

로도스 공성전 이후, 1526년 술레이만은 헝가리 전역을 정복하기 위한 두 번째 원정을 감행했다.7월 중순경, 젊은 왕은 부다를 떠나 "침략자들과 맞서 싸우지 않으면 완전히 패배할 것"[11]이라고 결심했다.루이스는 중세 군대, 불충분한 화기, 구식 전술로 열린 야전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막으려 할 때 전술상의 실수를 저질렀다.1526년 8월 29일 루이는 모하크 전투에서 술레이만과 맞서 그의 군대를 이끌었다.헝가리군은 오스만 기병대에 포위되어 협공작전을 벌였고, 중앙에서 헝가리 중전사와 보병은 격퇴되어 많은 사상자를 냈는데, 특히 잘 배치된 오스만 대포와 잘 무장하고 훈련재니세리 머스킷총병들에 의해 그러했다.

거의 모든 헝가리 왕실 군대가 거의 2시간 만에 전장에서 파괴되었다.퇴각 중에, 20세의 왕은 Csele 강의 가파른 협곡을 올라가려다 말에서 뒤로 떨어져 죽었다.그는 개울에 빠졌고 갑옷의 무게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12]익사했다.루이스에게 합법적인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페르디난드는 보헤미아, 헝가리 왕국에서 그의 후계자로 선출되었지만, 헝가리의 왕위는 오스만 제국의 의뢰인으로 터키에 의해 정복된 왕국의 지역을 지배한 존 자폴랴에 의해 경쟁되었다.

자연계의 자기에일론

비록 루이 2세의 결혼생활은 아이가 없었지만, 그는 아마도 의 어머니의 전 시녀인 안젤리타 와스와의 사생아를 가졌을 것이다.이 아들은 존(헝가리어로 자노스)이라고 불렸다. 이름은 비엔나의 자료에서 야노스 와스 또는 야노스 란토스로 나타난다.이전 성은 그의 어머니의 처녀 성이다.후자의 성은 그의 직업을 가리킬지도 모른다."란토스"는 "lutinist" 또는 "bard"를 의미합니다.그는 정기적으로 영국 재무부로부터 수입을 받았다.그는 더 많은 자손을 낳았다.

레거시

모하크 마을 북쪽에는 라호스 2세를 추모하는 5미터 높이의 기념비가 있습니다.Csele Stream에 있는 Louis의 사망 장소 근처에 있습니다.기념비 위에는 라호스가 말에서 떨어지는 모습을 묘사한 청동 명판이 있다.비석 위에는 잠자는 사자의 형상이 있다.후사르 부관인 소마 투르산니는 1864년에 자신의 비용으로 최초의 기념 기둥을 만들었다.1897년에 재건되었습니다.그 기념비는 1986년에 지방 정부에 의해 복원되었다.

조상

레퍼런스

  1. ^ 존슨 2011, 페이지 75
  2. ^ Rady 2015, 페이지 76
  3. ^ 카자쿠 2017, 페이지 204
  4. ^ Bain, Robert Nisbet (1911). "Louis II. of Hungary"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17 (11th ed.). pp. 49–50.
  5. ^ http://www.dejepis.com/ucebnice/cesky-stat-za-jagelloncu/ 자겔론 왕조 체코
  6. ^ 그것은 오스만 특사인 베란 치아우스/사부쉬가 처형되었다는 어떠한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그러나 술레이만의 아버지 셀림 1세에 대한 복수 때문에 그는 몇 년 동안 (거의 부다에 수감될 뻔 했다) 그는 세림(1513-19) 헝가리 사절에게 그와 함께 페르시아와 이집트로 가는 샴페인에 참가하도록 강요했고, 오스만 제국에 대한 재정 지원을 요청할 시간을 가졌다.Barranny, Atila: A szulejmani ajannlat [Suleiman's oper to Hungary 1521-1526].Marriabeseny, 2014, 어트랙터 kiado https://issuu.com/dorian07/docs/b__r__ny_attila_-_szulejm__ni_aj__n
  7. ^ Pálosfalvi, Tamás (24 September 2018). From Nicopolis to Mohács: A History of Ottoman-Hungarian Warfare, 1389-1526. BRILL. p. 385. ISBN 978-90-04-37565-9. Retrieved 17 December 2021.
  8. ^ Hamann, Brigitte (1988). Die Habsburger: ein biographisches Lexikon (in German). Piper. p. 284. ISBN 978-3-492-03163-9. Retrieved 17 December 2021.
  9. ^ Kohler, Alfred (2003). Ferdinand I., 1503-1564: Fürst, König und Kaiser (in German). C.H.Beck. p. 110. ISBN 978-3-406-50278-1. Retrieved 15 December 2021.
  10. ^ Fodor, Pál; David, Geza (26 July 2021). Ottomans, Hungarians, and Habsburgs in Central Europe: The Military Confines in the Era of Ottoman Conquest. BRILL. p. 15. ISBN 978-90-04-49229-5. Retrieved 17 December 2021.
  11. ^ 팔로스팔비 2018, 페이지 385
  12. ^ 2013년 4월, 페이지 59
  13. ^ a b Priebatsch, Felix (1908), "Wladislaw II.",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ADB) (in German), vol. 54, Leipzig: Duncker & Humblot, pp. 688–696
  14. ^ a b c d e f g h Noubel, P., ed. (1877). Revue de l'Agenais [Review of the Agenais]. Vol. 4. Société académique d'Agen. p. 496–497.
  15. ^ a b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폴란드카지미르 4세
  16. ^ a b Wurzbach, Constantin, von, ed. (1860). "Habsburg, Elisabeth von Oesterreich (Königin von Polen)" . Biographisches Lexikon des Kaiserthums Oesterreich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the Austrian Empire] (in German). Vol. 6. p. 167 – via Wikisource.
  17. ^ a b Potašenko, Grigorijus (2008), Multinational Lithuania: history of ethnic minorities, Šviesa, p. 30, ISBN 9785430052508
  18. ^ a b Duczmal, Małgorzata (2012). Jogailaičiai (PDF) (in Lithuanian). Translated by Mikalonienė, Birutė; Jarutis, Vyturys. Vilnius: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centras. p. 30. ISBN 978-5-420-01703-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5. Retrieved 2018-11-14.
  19. ^ a b Quirin, Heinz (1953), "Albrecht II.", Neue Deutsche Biographie (in German), vol. 1, Berlin: Duncker & Humblot, p. 154; (온라인 풀텍스트)
  20. ^ a b Wagner, Hans (1959), "Elisabeth", Neue Deutsche Biographie (in German), vol. 4, Berlin: Duncker & Humblot, p. 441; (온라인 풀텍스트)
  21. ^ a b Thompson, Neil D.; Hansen, Charles M. (2012). The Ancestry of Charles II, King of England. pp. 58–63.
  22. ^ a b Courteault, Henri (1895). Gaston IV, comte de Foix, vicomte souverain de Béarn, prince de Navarre, 1423-1472 (in French). É. Privat. p. 23.
  23. ^ a b Ward, A. W.; Prothero, G. W.; Leathes, Stanley, eds. (1911).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Macmillan Company. p. 80.

원천

  • Agnew, Hugh (2013). The Czechs and the Lands of the Bohemian Crown.
  • Cazacu, Matei (2017). Reinert, Stephen W. (ed.). Dracula. Brill.
  • Johnson, Lonnie (2011). Central Europe: Enemies, Neighbors, Friends. Oxford University Press.
  • Rady, Martyn (2015). Customary Law in Hungary: Courts, Texts, and the Tripartitum. Oxford University Press.

참고 문헌

  • 수익, 지지자: II.라호스 킨킬리 피아트(루이스 2세 야기엘론의 아들), 살라도(정기적 세기), 페이지 183-185, 1903년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헝가리 국왕 루이 2세 관련 매체

루이 2세
출생: 1506년 7월 1일사망: 1526년 8월 29일
직함
선행 보헤미아의 왕
1516–1526
에 의해 성공자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국왕
1516–1526
에 의해 성공자동헝가리 왕으로서
에 의해 성공자헝가리 왕으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