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12°15'30 ″S 123°02'30 ″E/12.25833°S 123.04167°E/ -12.25833; 123.04167

애슈모어 카르티에 제도

Ashmore and Cartier Islands
애슈모어카티에 제도의 준주
애쉬모어 카르티에 제도의 위치
지리학
위치인도양
좌표12°15'30 ″S 123°02'30 ″E/12.25833°S 123.04167°E/ -12.25833; 123.04167
주요 섬4
행정부.
인구통계학
인구.0 (2021년 7월)

애슈모어와 까르띠에 준주(Territory of Ashmore and Cartier Islands[1])는 두 의 개별 암초(애슈모어와 까르띠에)에 있는 네 개의 저지대 열대 섬과 이 섬들에 의해 생성된 12해리(22km; 14mi)의 영해로 구성된 무인도호주[2] 외부 영토입니다.[3]이 영토는 대륙붕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인도양에 위치해 있으며, 호주의 북서 해안에서 약 320km (199마일) 떨어져 있고, 인도네시아의 Rote섬에서 남쪽으로 144km (89마일) 떨어져 있습니다.[3]

애슈모어 리프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에 의해 풀라우 파시르(Pulau Pasir)라고 불리며, 누사 솔로맥(Nusa Solokaek)은 로텐어로 불립니다.두 이름 모두 "모래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4]

지리학

애쉬모어와 까르띠에 제도 지도

이 지역은 두 개의 석호 외에 웨스트, 미들, 이스트 아일랜드를 포함하는 애쉬모어 리프와 까르띠에 섬을 포함하는 까르띠에 리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애쉬모어 리프는 약 583km2 (225.1 평방 마일)와 까르띠에 리프 167km2 (64 평방 마일)에 걸쳐 있으며, 둘 다 암초의 한계까지 확장됩니다.[5]

웨스트, 미들, 이스트 아일랜드는 54헥타르(130에이커),[6] 93헥타르(230에이커),[7] 112헥타르(280에이커)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습니다.[8]카르티에 섬의 면적은 0.4 헥타르(0.99 에이커)로 보고되었습니다.[7]

역사

호주 문헌에 따르면,[9] 까르띠에 섬은 1800년에 선장 내쉬가 방문했고, 그의 배인 까르띠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애슈모어 섬은 1811년 선장 새뮤얼 애슈모어가 그의 배 하이버니아에서 발견했고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애슈모어 섬은 1909년 까르띠에 섬과 마찬가지로 1878년 영국에 합병되었습니다.[10]

그들의 합병 이후, 영국 정부는 때때로 어업이나 구아노 채취를 위해 그 섬들에 대한 면허를 부여했습니다.[11]1920년대에 이 섬들은 서호주 진주 산업을 겨냥한 밀렵꾼들의 기지로 사용되었습니다.효과적인 치안 유지의 부족은 호주인들이 통제권 이양을 위한 로비를 하도록 이끌었습니다.[12]

1931년 7월 23일자 영국 명령위원회는 호주가 이를 받아들이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2년 후 공식적인 행정을 시작할 때 애쉬모어와 카르티에 제도가 호주 연방의 권한 하에 놓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13]1933년에 제정된 영연방의 애슈모어 카르티에 제도 수용법은 1934년 5월 10일에 시행되었으며, 이 때 섬은 공식적으로 영토가 되었습니다.이 법은 서호주 주지사가 그 영토에 대한 조례를 제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습니다.1938년 7월에 북부 준주에 편입되었고, 그 후에 북부 준주에 법률, 조례, 규정이 적용된 연방에 의해서도 관리되었습니다.1978년 7월 1일 북부 준주에 자치권이 주어졌을 때, 애슈모어 제도와 카르티에 제도는 영연방에 의해 유지되었습니다.[3][14]

1983년, 이 지역은 1975년 국립공원 야생동물 보호법에 의해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3] 현재는 1999년 환경보호생물다양성 보호법으로 대체되었습니다.[15]과거 폭격거리였던 까르띠에 섬은 2000년 해양보호구역이 됐습니다.

이 섬들이 호주 이주 지역과의 첫 접촉점이 된 후, 2001년 9월, 호주 정부는 애쉬모어 제도와 까르띠에 제도를 호주 이주 지역에서 제외했습니다.[3]

인도네시아의 유산과 비망록

애쉬모어는 18세기 초부터 인도네시아 어부들이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낚시를 해왔습니다.1974년 호주와 인도네시아 간의 양해각서(MOU)는 전통적인 어업인들이 그 지역의 호주 영해에 있는 자원들에 접근할 수 있는 협정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전통적인 인도네시아 어부들은 대피소, 담수, 무덤 현장 방문을 위해 애쉬모어의 일부 지역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MOU 박스로 알려진 이 지역은 애쉬모어(Ashmore)와 까르띠에(Cartier) 제도 지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16]

거버넌스

오늘날 이 지역은 크리스마스 , 코코스(킬링) 섬, 코랄해 섬, 저비스 베이 준주, 노퍽 섬의 영토를 관리하는 인프라, 지역 개발도시 부서에 의해 캔버라에서 관리됩니다.[17]

법무부2010년 연방 선거까지 호주 영토의 관리를 담당했습니다.그 해 호주 영토에 대한 책임이 당시 호주 지방정부, 지방정부, 예술, 스포츠부로 이관되었으며 2013년 9월 18일부터 사회기반시설 및 지역개발부가 호주 영토를 관리했습니다.[3]

애슈모어와 까르띠에 제도의 방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책임이며, 오스트레일리아 해군,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오스트레일리아 국경군이 정기적으로 방문합니다.

애쉬모어 리프에서 북동쪽으로 42km 떨어진 하이버니아 리프 근처는 준주의 일부가 아니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에 속합니다.[18]썰물 때 암초의 많은 부분이 노출되지만 영구적으로 건조한 육지 지역은 없습니다.

북방영토 병합 제안

노던 준주 정부는 여러 차례(1989년, 1996년) 애쉬모어와 까르띠에 제도를 분리된 준주로 유지하는 대신 관할권으로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19]호주 하원 법률 및 헌법 문제 상임위원회는 1991년 보고서에서 노던 준주가 이 섬들을 합병할 것을 권고했습니다.[20]1998년 존 하워드 연합1998년 노던 준주 주민투표에 앞서 이 문제를 논의했으며, 선거운동 자료에서 "애쉬모어 & 까르띠에 제도를 주 정부 이전 또는 시기에 노던 준주로 편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21][22]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어떠한 변화로도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환경 및 보호

카르티에 섬과 주변 암초 (NASA 위성사진)

애슈모어 리프 해양공원까르띠에 해양공원은 모두 엄격한 자연보호구역(IUCN Ia)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문화유산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생물다양성 지역을 보호하고 있습니다.[23]

까르띠에 섬은 불발탄의 위험성 때문에 접근이 금지된 미발산 모래섬입니다.[7]항구나 항구는 없고 단지 해안에 정박해 있을 뿐입니다.오늘날 이 지역의 모든 우물콜레라에 감염되었거나 오염되어 마실 수 없습니다.[24]호주 국경군 함정 ABFC 타이야크호는 1년에 최대 300일 동안 이 암초에 정박해 있습니다.[25]이 섬들에는 계절 관리인들과 가끔 과학 연구원들도 방문합니다.[citation needed]

경제.

애쉬모어 제도와 까르띠에 제도 주변 지역은 수세기 동안 인도네시아 어부들의 전통적인 어장이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1850년대에 미국 포경선들이 그 지역에서 조업을 했습니다.[3]어업 이외의 섬들은 역사적으로 구아노, 베체드메르, 트로쿠스, 토르토이조개의 원천으로 사용되었습니다.[11]인산염 퇴적물의 채굴은 19세기 후반에 애쉬모어 섬에서 이루어졌습니다.[3]

석유 추출 활동은 영연방을 대표하여 북부 준주의 광산 에너지부가 관리하는 준주와 인접한 자비루와 챌리스 유전에서 이루어집니다.[3]

이주

애쉬모어 리프는 호주 영토에서 인도네시아와 가장 가까운 지점이기 때문에 호주로 가는 도중 망명 신청자들을 수송하는 밀입국자들에게 인기 있는 표적이었습니다.[26]일단 애쉬모어 섬에 착륙한 후, 망명 신청자들은 호주 이주 지역에 들어갔다고 주장하고 난민으로 처리해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목적을 위해 애쉬모어 섬을 사용하는 것은 호주에서 난민 입국이 주요한 정치적 문제가 되었던 2001년 말에 큰 악명을 만들었습니다.호주 정부는 호주가 이들 '보트 피플'의 첫 번째 망명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들을 수용할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citation needed]

이런 목적으로 영토를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일들이 이루어졌습니다.인도네시아에서 밀입국자들을 체포하려고 시도하는 것과 같은 것들, 소위 제3국에서 그들을 처리하는 태평양 해결책, 호주군에 의한 보트의 탑승과 강제 회항, 그리고 마침내 준주와 다른 많은 작은 섬들을 호주 이주 지역에서 추방하는 것.[27]

2001년 10월 호주 해군이 인도네시아로 돌려보내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두 척의 망명 신청자들이 애쉬모어 섬의 석호에 며칠 동안 각각 억류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shmore and Cartier Islands". The World Factbook (2023 ed.).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 ^ "10: External territories". Legal Risk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ALRC Report 80). Australian Law Reform Commission (ALRC), Australian Government. 2006. ISBN 064225487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4. Retrieved 14 April 2014.
  3. ^ a b c d e f g h i "Ashmore and Cartier Islands". Territories of Australia. Department of the Infrastructure and Regional Development, Australian Government. 29 January 2014. Retrieved 14 April 2014.
  4. ^ "A STUDY OF SOCIO-ECONOMIC ISSUES FACING TRADITIONAL INDONESIAN FISHERS WHO ACCESS THE MOU BOX"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August 2006.
  5. ^ Australia, Geoscience (15 May 2014). "Ashmore and Cariter Islands". Australian Government Geoscience Australia. Australian Government. Retrieved 21 February 2019.
  6. ^ Carter, Mike; Clarke, Rohan; Pierce, Frank; Dooley, Sean; Swann, George; Grant, Murray (2010). "Lesser Coucal 'Centropus bengalensis' on Ashmore Reef: First Record for Australia". Australian Field Ornithology. 27 (3). ISSN 1448-0107. Within the reef are three small islands: West, Middle and east Islands (total land area 54 ha). The largest and most heavily vegetated is West Island...
  7. ^ a b c Taylor & Francis Group (2004). The Europa World Year Book 2004 (45th ed.). Europa Publications, Taylor & Francis Group. p. 611. ISBN 978-1-85743-254-1.
  8. ^ "Ashmore Reef National Nature Reserve and Cartier Island Marine Reserve". Marine Protected Areas.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Australian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July 2011.
  9. ^ "Pulau Pasir (Ashmore Reef) belongs to Indonesia". Retrieved 13 August 2019.
  10. ^ "Hibernia". 21 January 2016.
  11. ^ a b "Our charge: history of new islands". The Sun. Sydney. 30 November 1933.
  12. ^ "Our new islands". The Weekly Times. 9 December 1933.
  13. ^ "Ashmore and Cartier Islands". The World Factbook (2023 ed.). Central Intelligence Agency. Retrieved 29 March 2021. (2021년판 아카이브)
  14. ^ Statistics, A.B. (1997). Year Book Australia No. 67, 1983.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p. 2. ISBN 978-99946-0-289-6.
  15. ^ 1999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
  16. ^ "Ashmore Reef and Cartier Island Commonwealth Marine Reserves: Information for visitors" (PDF). Commonwealth of Australia 201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2. Retrieved 17 August 2018.
  17. ^ Assistant Director, Territories and Disaster Reconstruction Division (16 June 2012). "Territories of Australia". Department of Regional Australia, Local Government, Arts and S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February 2011. Retrieved 7 February 2008.
  18. ^ "States of Australia". p. Administrative Divisions of Countries. Retrieved 23 June 2011.
  19. ^ "The Long Road to Statehood: Report of the inquiry into the federal implications of statehood for the Northern Territory House of Representatives Standing Committee on Legal and Constitutional Affairs". May 2007. p. 17. hdl:10070/284014. Retrieved 22 May 2023.
  20. ^ 국가로 가는 긴 길 2007, 페이지 96.
  21. ^ Garrick, Matt (1 January 2020). "Ghan land acquisition contingency had green light from Howard government, documents show - ABC News". ABC. Retrieved 22 May 2023.
  22. ^ "Coalition Foreign Affairs Statement: Our Indian Ocean Territories". ASPI. 26 July 2018. Retrieved 22 May 2023. 웹사이트는 2007년에 성명서를 잘못 제출했지만, 성명서 자체에는 1998년 9월 30일에 발표되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23. ^ "Ashmore Reef and Cartier Island Reserves". parksaustralia.gov.au. Retrieved 15 April 2021.
  24. ^ "Bizarre Happenings at Reef". Navy News. Royal Australian Navy. 28 June 19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May 2013. Retrieved 27 August 2018.
  25. ^ "Australian Customs Vessel Ashmore Guardian" (PDF). Australian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Service.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2.
  26. ^ 아니타 로버츠 "그들을 익사시키지 않게 하라" 인도네시아 내부 2001년 4월-6월, vol. 64
  27. ^ "Migration Amendment (Excision from Migration Zone) Act 2001". Federal Register of Legislation.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