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팔라치아 (육지)

Appalachia (landmass)
캄파니아기 북아메리카의 지도

백악기 후기(1억50만~6600만년 전) 대부분의 기간 동안 북아메리카의 동쪽 절반은 서부내륙양도로에 의해 라라미디아에서 서쪽으로 분리되어 있는 섬 땅덩어리인 아팔라치아(아팔라치아 산맥의 이름)를 형성하였다. 이 바닷길은 거의 4천만 년 동안 지각변동과 해수면 변동과 같은 많은 요인들로 인해 북아메리카를 두 개의 거대한 육지로 분할해 왔다.[1][2] 해로는 결국 확장되어 다코타스를 가로질러 갈라졌고, 백악기가 끝날 무렵에는 멕시코 만허드슨 만을 향해 후퇴했다.[3] 이로 인해 로키 산맥이 솟아오르면서 북아메리카 대륙에 섬 대중들이 합류하게 되었다.[4] 세노마니아에서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 시대 말기까지 아팔라치아는 북아메리카의 나머지 지역과 분리되었다. 서부 내륙 시웨이마스트리히스탄에서 후퇴하면서 라라미디아와 아팔라치아도 결국 연결됐다.[5] 이 때문에, 그것의 동물원은 고립되었고, 티라노사우루스, 세라토프시안, 해드로사우루스, 파키세팔로사우루스, 그리고 "라라미디아"[6]로 알려진 북아메리카 서부의 동물들을 지배하는 동물들과 매우 다르게 발달되었다.

높은 해수면과 그에 따른 침식,[7]그리고 라라미디아 동해안과 달리 서부 내륙 해도로 침전물의 유전자 입력이 부족해 대부분의 공룡 유적은 해양 환경으로 옮겨진 바닷가 사체에서 발원한 상태로 보존된 적이 없다. 이와 같은 지상 퇴적물의 부족은 라라미디아 서쪽 해안에도 존재한다. 레인지 북부의 일부 퇴적물은 2차 빙하로랑티드 빙상빙하 침식으로 제거되었지만 얼마나 많은 퇴적물이 제거되었는지, 아니면 이들 퇴적물이 남아 있는 것보다 더 생산적이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8] 따라서 라라미디아에 비해 아팔라치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식물 생물, 해양 생물, 뉴저지 주 호박에 갇힌 곤충은 예외로 한다. 게다가 애팔래치아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인해 애팔래치아에서 발견된 많은 화석들이 무감각하게 놓여 있고 E.D. 시절에 배정한 부정확한 세대에 남아 있다. CopeO. C. Marsh. 이 지역에서 발견된 몇몇 지상 생물들의 화석만이 우리에게 백악기 동안 이곳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간략하게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난 몇 년간 여러 차례의 발견으로 인해 관심이 약간 되살아났다.[9][10][11][12][13] 앞서 언급했듯이, 많지 않애팔래치아에 대해, 하지만 Woodbine 형성, Navesink Formation,[14]Ellisdale 화석 Site,[15]무어의 백악층, 데모의 백악층, 블랙 크릭 그룹과 나이 Formation,[16]함께 area,[17]의 계속되는 연구와 같은 화석 사이트, 우리 자신이 좀 더 주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잊혀지 고생물학의 세계

지리

아팔라치아는 퀘벡뉴펀들랜드, 래브라도에서 미국 동부와 서부, 미국 중서부까지 쭉 뻗어 있었다. 이들 지역에서 발견된 화석은 백악기 동안 이 지역이 해안 평야해안 저지대에 덮여 있었음을 보여준다.[18] 일부 과학자들은 서부 내륙 바다웨이가 백악기 말기까지 라라미디아와 아팔라치아 사이를 갈라놓았던 시기에 섬 군도가 형성되었다는 생각을 제안했다. 이것은 공룡들이 걸프만 연안으로 이주할 수 있게 하고, 왜 아팔라치아의 두 집단에 동물과의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해줄 것이다. For instance, the southeastern assemblage (which consists of the Carolinas and the Gulf Coast sites) has some tyrannosauroids such as Appalachiosaurus, some hadrosauroids such as Eotrachodon and Lophorhothon, nodosaurs, dromaeosaurs, and new leptoceratopsian while the northern assemblage (which consists of New Jersey, Delaware, and Maryland) has s드라이프토사우루스와 같은 오메 티라노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스 같은 해드로사우루스, 작은 테로포드, 그리고 이 지역에서 가능한 람보사우루스 같은 해드로사우루스.[19]

범위

척추동물 화석은 앨라배마,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미시시피, 미주리, 켄터키, 테네시, 캔자스, 네브라스카, 아이오와, 미네소타 같은 다른 주뿐만 아니라 대서양 연안에서도 발견되었다. 백악기 동안 애팔래치아에 속했던 캐나다의 일부 지역은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 누나부트, 뉴브런즈윅, 뉴펀들랜드와 래브라도, 노바스코샤 등이다.[20][21][22]

파우나

공룡들

세노마니아에서 마스트리히트까지, 아팔라치아에는 해도로사우루스, 해도로사우루스, 노도룡, 렙토케라토프산, 미결정 오르니토포이드, 티라노사우루스, 드로마이오스, 오르니토미무스, 미결정 마니랍토미스 등 다양한 공룡군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 지역에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는 차스모룡, 람보룡, 용각류, 알로룡, 새나그나티스, 트로오돈티드의 화석 증거도 있다.[23][24][6][25][26]

티라노사우루스

북아메리카 후기 백악기에서는 맹수들이 주로 티라노사우로이데아(Tyrannosauroidea)로, 그들의 먹잇감에서 살을 뜯기 위해 만들어진 거대한 포식동물이다. 아팔라치아에서는 이 쇄골에서 건식공룡이 최고의 포식자였다. 고르고사우루스, 알베르토사우루스, 라이트로낙스 같은 서양의 친척들의 거대한 머리와 거대한 몸을 개발하기보다는,[27] 건식공룡은 딜롱이나 아이티란누스 같은 기저 티라노사우루스들과 더 공통점이 있었다. 건식공룡은 손가락이 세 개 달린 긴 팔로 특징지어진다;[28] 그들은 가장 큰 티라노사우루스만큼 크지는 않았지만, 뉴저지에 있는 포토맥 형성의 화석은 그들 중 몇몇은 다른 티라노사우루스에게서 발견될 수 있는 큰 몸집의 특징들 중 일부를 진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29] 유효한 애팔래치아 티라노사우루스, 드라이프토사우루스, 애팔래치오사우루스, 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테히베네이터의 세 종류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미확정 화석은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와 같은 미국 남부 대부분 지역에 흩어져 있다. 애팔래치아 퇴적물에서 나온 화석 발의 뼈는 9m(30ft)에 달하는 또 다른 익명의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oid)를 나타내는데, 이는 백악기 후기에도 이러한 기저 티라노사우루스(tyrankenosauroid)의 다양성이 높게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30] 이 화석화된 치아는 애팔라치오사우루스 종이나 원하지 않는 새로운 티라노사우르스의 종에 속할 수 있다.[31][32] 디플롯토모돈으로 알려진 Applatachia로부터 알려진 네 번째 티라노사우르스의 가능성도 있지만, 속은 의심스러운 것으로 여겨진다. 뉴저지와 델라웨어 주에서는 로렐 형성과 Merchantville Formations 중 가장 두드러진 것에 화석은, 원시적인 tyrannosauroids보다 훨씬 더 것으로 예상되었고, 그들 중 일부 8-9m에 길이 일부는 보다 향상된 tyrannosaurs Laramidia에서 발견된 같은 크기를 만드는 것은 그들 성장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30][33] 세노마니아 퇴적물의 화석은 또한 티라노사우로이드가 백악기 중반 이후 아팔라치아에 지속적으로 존재해왔다는 것을 보여준다.[34]

드로마이오룡

건식공룡은 애팔래치아에서 유일한 포식 공룡이 아니었다. 벨로시렙토리나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미확정 드로매공룡 화석과 소로르니톨레스티네스에 속할 가능성이 있는 이빨도 아팔라치아에서 발굴되었다.[35] 주로 미주리,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앨라배마, 미시시피, 조지아 같은 남부 주에서도 대부분 발견되었다.[36] 노스캐롤라이나에 있는 캄파니아 타르 힐 포메이션에서 발견된 것은 상당한 크기의 드로마공룡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우로니톨레스다코타랍토르와 같은 제네랄 사이에 중간 크기인 것이다. 이빨로만 알려져 있지만, 이 발견은 큰 드로마공룡이 아팔라치아 동물군의 일부였음을 보여준다.[37]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와 함께 미주리에서도 티라노사우루스상과 오리토미미드유적이 출토됐다.[38] 또한 드로마공룡 유적은 북부 지역에 비해 아팔라치아 남부 지역에서 더 흔하게 발견되며 크기가 작은 형태부터 거대한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9] 최근 뉴저지에서 발굴된 화석은 매니랍토르들이 아팔라치아에도 존재했음을 보여준다.[40]

오르니토미스속

미주리, 미시시피, 앨라배마, 조지아, 그리고 메릴랜드, 뉴저지, 델라웨어 등의 주에서 아팔라치아로부터 코엘로사우루스와 같은 다양한 오르니토미드 뼈들도 보고되었지만, 지금은 이들 중 일부는 청소년 건식공룡의 뼈인 반면 다른 것들은 원치 않는 다양한 오르니토미드 종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2019년 현재 뚜렷한 오니토미모룡 종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대부분 아직 완전한 유골이 발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갈리미무스베이산롱과 비슷한 큰 크기에 이를 수 있었던 표본이 하나 있기는 하지만, 그들 대부분은 라라미디아 친척들과 비슷한 크기였다고 추측할 수 있다.[41][42][38][43]

기타 테로포드

아팔라치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화석 중 하나인 텍사스의 우드바인 형성의 화석들은 서부 내륙 해로가 처음 형성되었을 무렵 다른 테로포드가 아팔라치아에 서식했을 가능성이 있는 알로사우루스, 트로오돈트, 새나그나티스, 드로미오룡, 티라 등의 표본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익룡의[23][24]

하드로사우르스

애팔래치아 공룡의 area,[44]에 또 다른 흔한 그룹, 거의 틀림없이 가장 많은 종들이 hadrosaurs는 Hadrosauromorpha, Hadrosauroidea고, Hadrosauridae[45]는 지금 그들의"조상의 조국인"으로 간주된다 등 세 그룹에 의해;결국 Laramidia, Asia,[46][47][48]는 경우에는 4으로 진출 대표되는 있었다.9][50]Europe,[51][52]은 America[53] 그리고 남극[54] 대륙에서는 람보사우린사우롤로핀 공룡으로 다양화되었지만, 원시 하드로사우르[55] 중 일부는 중생대가 끝날 때까지 존재했다.[56][57][58][59] 화석 기록은 라라미디아에 있는 엄청나게 다양한 하드로사우루스 형태를 보여주고 있지만, 아팔라치아에 있는 하드로사우루스 유적은 비교적 흔치 않은 숫자의 화석 침대로 인해 덜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팔라치아로부터 프로토하드로모프로스, 클라오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스, 하드로사우루스과를 대표하는 로포호톤, 하드로사우루아과를 대표하는 하이프시베마 크라시카우다, 하이프시베마 미주리엔시스, 하드로사우루스, 에오트라코돈 등이 상당한 수의 하드로사우르스가 알려져 있다. 아팔라치아 출신의 이 해드로사우르들은 소롤로핀으로 여겨지지 않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리포사우루스에드몬토사우루스 같은 라라미디아의 볏 없는 해드로사우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클라오사우루스는 내륙해도로에 떠 있는 표본에서 알려져 있으며 캔자스에서 발견되었으며, 바닷길의 아팔라치아 쪽에서 더 가까이 발견되었고 서북아메리카에서는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아팔라치아에서 발견되었을 수도 있다. 하드로사우르스의 유해는 아이오와에서 발견되기도 했지만 테네시주에서는 [60]코온 크릭 형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61][62] 하이프시베마 크라시카우다[63]길이가 50피트가 넘는 가장 큰 동부 해드로사우루스사우롤로푸스 같은 서부 해드로사우루스보다 더 많이 자랐다. 이 속은 다른 지역의 큰 용각류가 차지하고 있는 환경적 틈새를 차지했을 것으로 보이며, 마그나풀리아[64] 샨퉁고사우루스의 크기만큼 큰 크기로 자랄 가능성이 있다.[65] 하이프시베마 미주리엔시스는 또 다른 큰 종의 해드로사우루스였지만, 45~49피트까지 자랐다. 이는 하이프시베마 크라시카우다만큼 크지는 않았다. 1945년 처음 발견되었을 때 용각류의 한 종으로 오인되었다.[66] 아마 아팔라치아에 살고 있는 다른 모든 해드로사우르들 조차도 이 지역의 초목을 씹기 위해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67] 캐나다 누나부트의 악셀 헤이버그 섬에 있는 강국 형성의 하드로사우르 화석은 하드로사우르스 화석이 아팔라흐 전역에 다소 널리 퍼졌음을 보여준다. 강국형성에서 발견된 화석은 해드로사우르스의 식생활 선호도도 밝혀냈는데, 해드로사우르스는 침엽수, 줄기, 잔가지, 그리고 다양한 낙엽성 식물의 식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8] 2020년 뉴저지 뉴이집트 포메이션에서 작은 몸집의 하드로사우루스 1점과 작은 몸집의 하드로사우르 2점의 유해가 출토되었다. 이 화석들은 공룡의 멸종으로 끝난 백악기 시대의 마지막 단계였던 마스트리히트의 연대가 되었다. 이 정보는 아팔라치아가 아마도 생명의 다양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암시하지만, 이 잃어버린 세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69]

람보룡

캐나다 뉴저지 나베싱크 포메이션, 바이로트 섬, 노바스코샤에서 코리토사우루스와 대부분 유사한 미확정 람보사우루스 유해가 보고됐다. 캄파니안 기간 중 육교가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일부 이론이 있었지만, 람보사우루스들이 어떻게 아팔라치아에 도달했는지는 아직 설명할 수 없다.[70] 2020년 뉴저지에서 온 뉴이집트 형성에 람보사우르에 속하는 포림포가 상어들이 잔해를 뒤지고 있다는 증거와 함께 출토되었다.[71]

노도룡

아르마딜로를 닮은 거대 초식성 장갑공룡의 무리인 노도사우루스(Nodosaurids)는 아팔라치아(Apalachia)가 라라미디아(Laramidia)와 다르다는 또 다른 증거다. 백악기 초기에, 노도사우루스들은 번성했고 북아메리카에 가장 널리 퍼져있는 공룡들 중 하나였다. 그러나, 최근의 백악기에 의해, 노도사우루스들은 에드몬토니아, 덴버사우루스, 파노포사우루스 같은 형태에 [72]한정되어 서북 아메리카에서 드물게 존재했다; 아마도 앙킬로사우루스과의 경쟁 때문이었을 것이다; 비록 그들이 앞서 언급했듯이, 그리고 유럽 [73]스트루티오사우루스의 경우에도, 가장 두드러지게, 아팔라치아에서 고립되어 번성했다. 노도사우루스균은 북미 동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반면 화석 표본은 매우 희귀하다. 종종 그 발견들이 그 종들을 식별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진단되지 않지만, 그 잔해는 아팔라치아에 있는 더 많은 수의 장갑 공룡들을 증명한다. 니오브라[74] 형성의 캔자스 주, 리플리 형성의 앨라배마 [75]주, 미시시피 주, 델라웨어 주, 메릴랜드 주, 뉴저지 주에서 다수의 표본이 발굴되었는데, 아마도 다수의 다른 종에 속했을 것이다.[76] 백악기 초기와 후기의 애팔래치아 노도사우르스의 다섯 가지 가능한 가장 잘 알려진 예는 프리코노돈, 프로파노포사우루스, 니오브라사우루스,[77][78] 실비사우루스[79] 그리고 아마도 히에로사우루스일 것이다.[80] 클라오사우루스 표본과 마찬가지로 니오브라사우루스, 실비사우루스, 히에로사우루스의 표본이 동쪽에서 내륙해도로 떠내려왔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 두 종의 노도사우루스 종은 캔자스의 유명한 분필형식에서[81] 발견되어 서북 아메리카의 어느 곳에서도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캔자스 주 역시 다른 부분이 바다로 덮여 있을 때 아팔라치아 주(州)의 일부였는데, 이 지역은 웨스턴 인테리어 시웨이의 일부였다.

렙토케라토프시아인

선진 세라토프산들의 잔해, 특히 이 시기 동안 라라미디아에서 매우 흔했던 센트로사우린차스모사우루스[82], 아팔라치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렙토케라토프사이드들은 어떻게든 그 지역에서 서식할 수 있었다.[83] 타르 포메이션에서 캄파니아 시대렙토케라톱시드 세라톱시드가 발견되어 애팔래치아 지역에서 세라톱시드 공룡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이 표본은 독특하게 길고 가늘며 아래로 처진 위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이 표본이 특수한 먹이 전략을 가진 동물이라는 것을 암시하지만, 섬 환경에 대한 또 다른 특정의 예시라는 것을 보여준다.[84] 최근, 6700만 년 된 으로 알려진 미시시피의 올빼미 크리크 형성에서 세라토프 치아가 발견되었다.[85][86] 이 특정한 하나의 치아의 주인은 아마도 백악기 말에 이르러서는 시노케라톱스의 경우와 같이 아시아에서 번성하고 있었지만, 센트로사우린은 북아메리카에서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차스모사우린이었을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발견된 몇 안 되는 렙토케라톱시드 유적이 아팔라치아 남부에서 발굴된 반면, 그들은 뉴저지 주, 델라웨어 주, 메릴랜드 주와 같은 아팔라치아 북부에서 완전히 빠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R이 제안한 아이디어 제안. 슈바이머, 백악기 말기에 프로비던스가 있었을지도 모른다고.[87] 렙토케라톱스인들이 어떻게 아팔라키아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서부내륙양로들이 북아메리카 대륙을 두 개의 다른 땅덩어리로 갈라놓은 시기에 섬들이 깡충깡충 뛰었다는 것이다. 가장 특히 아약카케라톱스, 유럽에 도달할 수 있었다.[88][89] 또한 아팔라치아나 라라미다에서 렙토케라토프인들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큰 개의 크기로 자란 타르힐 형질에서 출토된 애팔래치아 렙토케라토피안은 부리로 아래 바깥쪽으로 굽은 이빨이 더 가늘게 생긴 턱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캄파니아기 동안 아팔라치아에서 자생한 잎을 먹이기 위한 특화된 먹이주기 전략을 의미할 것이다.[90]

새들

애팔래치아 유적지에서는 몇몇 조류 유적이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은 헤스페로니테스, 이크티오르니스, 이아세오르니스와 같은 해조류, 오르니투라스와 같은 해조류, 그리고 아팔라치아에는 이 지역에 서식하는 다양한 새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뉴저지에 있는 석회암 유적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백악기 후기의 미개척지들[93] 일부 표본이 보존되었기 때문에 백악기 조류에[92] 대한 가장 좋은[91] 기록 중 하나일 것이다.[94][95] 그러나 이 문제는 여전히 논의 중이다. 아팔라치아에 풍토였던 새의 예로는 그라술라부스텔마토리스로 구성된 샤라드리폼, 아나톨라비스로 대표되는 안세르티폼, 프로첼라리폼스, 티토스토닉스가 그러한 예로서 현재 알려지지 않은 새들의 그룹에 속하는 팔래오트링가, 라오르니스 등의 몇몇 집단이 있다.[91] 헤스페로니트 화석은 아칸소에서도 출토되었다.[96] 캐나다에서 발견된 팅미아토르니스캐나다가 같은 몇몇 새들은 아팔라치아의 일부 지역들에서 발견되었다.[97][98] 에난티오르니틴 새들은 또한 아팔라키아로부터도 알려져 있는데, 텍사스에서 온 우드바인 형성의 플렉소모르니스의 경우처럼 말이다.[99]

비공룡 헤르페토파우나

양서류

엘리스데일 화석지를 통해 아팔라치아 비공룡 동물원의 좋은 그림이 등장한다. Amidst lissamphibians, there is evidence for sirenids (including the large Habrosaurus), the batrachosauroidid salamander Parrisia, hylids, possible representatives of Eopelobates and Discoglossus, showing close similarities to European faunas, but aside from Habrosaurus (which is also found on Laramidia) there is a high degree of endemism, sugges백악기 후반에 걸쳐 다른 대륙과 교류하지 않는다.[100]

도마뱀

또한 파충류 동물에 관하여 높은 수준의 엔데미즘이 있다: 스쿼마이트 중에서 티이드 프로토티우스는 땅덩어리에 배타적이며, 이구아니아과, 헬로데르마티아과, 네크로사우루스과의 원주민 대표자들이다.

백악기 동안 아팔라치아에서 의 화석화된 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라라미디아에서만 발견되었다.[101]

거북이

아팔라치아, 아도쿠스, 아파날, 그리고 투레미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북이들 가운데 특히 후자는 라라미디아보다 아팔라치아 유적지에서 더 흔하다.

악어

악어들은 아팔라치아에 다소 풍부했으며, 몇몇 확인된 가족에 속하는 9마리의 지역 악어들이 살고 있었으며, 훨씬 더 많은 미발견 악어들이 출토되기를 기다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었다. Goniopholididae Woodbinesuchus,[102]앨리게이터과에 의해 표현된다 Bottosaurus,[103]Neosuchia에 의해 Scolomastax과 Deltasuchus,[104]Alligatoroidea에 의해 Deinosuchus과 Leidyosuchus, Gavialoidea Thoracosaurus,[105]Eothoracosaurus,[106]과 악어 Borealosuchus,[107]에 의해 제시된다로 표시됩니다 제시되어 있지만 표시된다. 잘 Laram에 설립되나.이디아 역시, 아마도 바다를 건너는 능력을 나타낼 것이다. 다이노수쿠스는 화석 기록에서 가장 큰 악어 중 하나로,[108][109] 이 지역에서 공룡을[110] 잡아먹었던 정점 포식자였는데, 대부분의 식단이 거북이와[113] 바다 거북으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111][112] 라라미디아에게도 같은 경우가 해당된다.[114] 그러나 악어들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여전히 풍토 공룡들을 잡아먹는다; 토종 악어의 포식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큰 오리토미모사우르스의 대퇴골에 악어 물린 자국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115]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뉴저지에서 발굴된 화석은 아팔라치아에 서식하는 악어들 중 일부가 공룡의 멸종에서 살아남았고 심지어 신생대까지 버텼다는 것을 보여준다.[116][117]

다이로사우루스과

특히 뉴저지, 앨라배마, 사우스캐롤라이나 등지에서 다이로사우루스하이포사우루스 화석인 디로사우루스(Dyrosaurus)는 애팔라치아(Apalachia)의 형태로도 알려져 있다.[118]

포리도사우루스과

텍사스와 캔자스에서 유골이 출토된 터미네카리스인 아팔라치아에는 포리도사우루스과 1종만이 서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19][120]

익룡

주로 프테라노돈이나 닉토사우루스와 유사한 익룡화석이 조지아,[121] 앨라배마[122], 델라웨어에서 발굴되었다.[123] 비슷한 맥락에서, 아람부르조니아에 속하는 아즈드라치드 유적이 테네시에서 발굴되었다.[124][125] 서안내해로가 북아메리카를 두 개의 땅덩어리로 갈라놓았던 당시 아팔라치아 일부 지역에서 익룡의 표본이 다수 출토됐다. 아팔라치아 익룡의 화석은 캔자스텍사스에서도 발견되었다.[126][127][128][129] 익룡과(Pteranodontae)는 아팔라치아에서 익룡의 가장 흔한 집단으로 보이며, 다섯 가지 종으로 대표된다. 프테라노돈, 닉토사우루스, 지오스테른베르기아, 돈드라코, 알라모닥틸루스.[130] 오르니토체리과안한구게리과는 각각 아에토닥틸루스시몰리오페루스로 대표된다.[131]

초리스토데라

샹사우루스의 유해가 나베싱크 포메이션에서 발견되었다.[132] 전체 애팔래치아 초리스토데르 화석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비슷한 위도의 라라미디아에서 볼 수 있는 적절한 차가운 담수환경이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동물들은 더 높은 위도와 고도에서 더 흔했을 것으로 추측된다.[133]

포유류

엘리스데일카롤리나스 양쪽에 여러 종류[134] 포유류도 존재한다.[135] 가장 흔한 것은 메소드마, 시몰로돈, 그리고 대규모의 종과 같은 ptilodontoidean 다육종이다. 다른 백악기 후기 지역들에 비해 일찍 나타난 것뿐만 아니라 땅덩어리에 있는 종들의 순수한 다양성은 아팔라치아에서 쌍동물이 진화했음을 시사한다.[136][137] 또한 알파돈트,[137] 스태조돈트,[138] 헤르페토테리드를 포함한 메타테리아인들도 알려져 있다.[139] 페틸로돈토아인들과 달리 메타테리아인들은 라라미디아와 유럽과의 교류의 정도를 암시하면서 엔데미즘의 정도가 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지역에 대한 연구는 태니올라비도아 포유류들이 이곳에서 그들의 기원을 추적할 수 있고, 아팔라치아에 고유한 여러 종의 다육종들이 있었다는 것을 밝혀냈다.[140] 어금니 화석, 특히 어금니 화석도 미시시피에서 발굴되었다. 그들은 오히려 프로툰굴라툼을 연상시키는 생물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141] 알파돈속알로테리아과의 다른 일원들은 뉴저지에서 그들의 유골을 발굴했다.[142]

해양생물

최근까지 아팔라치아의 육지에 기반을 둔 동물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 지역에서 서식하는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인근 서부 내륙 해도에 살았던 생물들도 고생물학자들에게 수년간 잘 연구되어 왔다. 화석 사이트의 그 시대의 해양 생물의 잔해가 보존되어 있는 그런 사례는 길이 694km. 형성, 데모의 백악층, 무어의 백악층을 성공적으로 계획 골격 백악기의 다양한 해양 생물들을 여전히 보존되어 있는 화석 사이트들이 몇가지 예를 포함한다.[143][144][145][146][147][148][149][150] 아팔라치아 근처에 살았던 해양 동물들의 예로는 콘드리히테예스, 오스테리치테스, 첼로니오아이데아, 플레시오사우르스, 모사사우르스가 있는데, 이는 당시 그들 환경의 정점 포식자였다.[151][152]

모사사우르스의 유해는 미주리 주에서 발굴되기도 했다.[153]

어류 화석은 아팔라치아 전역, 특히 마를, 셰일, 석회암이 풍부한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154][155] 물고기 화석들뿐만 아니라 많은 백악기 시대의 해양 동물들도 셰일, 사암,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캔자스의 니오브라라 형성과 같은 지역과 뉴저지 주의 우드베리 형성과 같은 지역에서 다소 풍부하다.[156][157]

절지동물

많은 종류의 절지동물들은 아팔라치아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뉴저지 황색 투로니아에서 유래되었다. 절지동물들은 캐나다 래브라도의 레드몬드 형성에 나이가 든 세노마니아인으로부터도 알려져 있다.

플로라

알라바마나 캐롤리나스 같은 곳인 아팔라치아 남부의 화석지는 그루지야를 제외하고는 백악기식물의 화석이 매우 적은 반면, 뉴저지, 메릴랜드, 델라웨어와 같은 아팔라치아 북부 지역은 식물 종들이 그곳에서 발굴된다는 점에서 특히 위트가 훨씬 뛰어난 기록을 가지고 있다.엘리스데일 화석 유적지와 같은 화석 유적지들, 그리고 우리에게 잊혀진 세상을 더 잘 볼 수 있게 해주었다. 엘리스대 화석지에서는 백악기 말기에 피체아, 메타세쿼이아, 리리오덴드론, 리조포라 등의 식물들이 이 지역에 서식했다는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져 당시 환경이 에스타린, 석호, 해양 등 몇 가지 종류의 해양환경을 가진 해안림이었음을 시사했다.육지. 델라웨어 주와 메릴랜드 주와 같은 인근 주에서 발견된 식물 화석은 양치류, 체육관, 혈관종이 실제로 이 지역에 서식했다는 것을 밝혀냈다.[158] Angiosperm 화석은 네브라스카에 있는 다코타 형성에서 발굴되었다.[159] 앞서 언급했듯이, 조지아는 백악관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풍부한 식물 생물의 화석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 지역에 존재했던 식물군의 예로는 살리쿠아과, 로라루아과, 세쿼이오아과, 모라과, 피노피타, 말피기알레스과, 모노코티알레스과, 에리쿠아과, 시나몬고무과, 라눈쿨레아과, 살리쿠아과, 토레야과, 카프레스과, 마그놀리아과, 라므나과 등이 있다.[160] 미네소타 주의 식물 화석은 크레아티피지 기간 동안 이 지역에 사이카드, 상록수, 양치류, 버드나무, 삼나무, 포플러, 튤립나무, 석류 등이 존재했음을 밝혀냈다.[161] 미국 남동부에서도 노마폴레(Normapolles)가 엄청나게 많이 출토되어 있어 백악기 동안 이 지역을 통해 뚜렷한 식물지질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162]

래브라도의 레드몬드 형성 근처에서 발굴된 화석은 오늘날 많은 혈관종들이 아팔라치아에서 처음 나타났다는 것을 밝혀냈다.[163] 조지아주 크로포드 카운티에서 발견된 식물 화석은 산발식물, 생식식물, 데트루산드라, 하마멜리디아과, 액티니디과 등 다양한 식물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63종의 식물이 다수 출토되었다.[164] 안지오스펙트럼 식물은 우드바인 형성에서 발견되었다.[165] 미시시피주와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각각 피나과와와와와와와 화석이 출토되었다.[166][167]

매사추세츠주와 로드아일랜드에서 발견된 식물 화석은 이곳의 기후가 아습기후와 대열대였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아팔라치아 서식지의 일부는 주로 해안 평야낙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었음을 보여준다.[168] 조지아와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는 피나과, 타조디오아과, 아라우카리아과, 타조류 등의 식물들이 발견되었다.[169]

참고 항목

참조

  1. ^ Nielsen, Karsten Schjødt; Schröder-Adams, Claudia J.; Leckie, Dale A.; Haggart, James W.; Elberdak, Khalifa (December 2008). "Turonian to Santonian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Cretaceous Western Interior Sea: The Carlile and Niobrara formations in southern Alberta and southwestern Saskatchewan, Canad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70 (1–2): 64–91. Bibcode:2008PPP...270...64N. doi:10.1016/j.palaeo.2008.08.018.
  2. ^ Bertog, Janet (2010). "Stratigraphy of the Lower Pierre Shale (Campanian): Implications for the Tectonic and Eustatic Controls on Facies Distributions". Journal of Geological Research. 2010: 1–15. doi:10.1155/2010/910243.
  3. ^ Erickson, J. Mark (December 1999). "The Dakota Isthmus – Closing the Late Cretaceous Western Interior Seaway". North Dakota Academy of Science Proceedings. 53: 124–129. Retrieved 15 June 2019.
  4. ^ Weishampel, David B.; Young, Luther (1996). Dinosaurs of the East Coast.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852169.
  5. ^ Stanley, Steven M. (1999). Earth System History.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pp. 487–489. ISBN 978-0-7167-2882-5.
  6. ^ a b Brownstein, Chase D. (February 2018). "The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s of Appalachia". Palaeontologia Electronica. 21 (1.5A): 1–56. doi:10.26879/801.
  7. ^ Liu, Lijun (15 June 2014). "Rejuvenation of Appalachian topography caused by subsidence-induced differential erosion". Nature Geoscience. 7 (7): 518–523. Bibcode:2014NatGe...7..518L. doi:10.1038/ngeo2187. ISSN 1752-0894.
  8. ^ Braun, Duane D. (September 1989). "Glacial and periglacial erosion of the Appalachians". Geomorphology. 2 (1–3): 233–256. Bibcode:1989Geomo...2..233B. doi:10.1016/0169-555X(89)90014-7.
  9. ^ Uren, Adam. "Dinosaurs in Minnesota: Fossil claw found in Iron Range has scientists excited". Retrieved 10 October 2015.
  10. ^ Sawyer, Liz. "Fossil adds to evidence of dinosaurs in Minnesota". Star Tribune. Retrieved 8 October 2015.
  11. ^ "Fossil finds behind N.J. strip mall causing excitement". CBS Evening News. Retrieved 16 November 2014.
  12. ^ Anonymous. "Rare fossil of a horned dinosaur found from 'lost continent'". University of Bath News. University of Bath. Retrieved 30 November 2015.
  13. ^ Anderson, Natali. "Eotrachodon orientalis: New Duck-Billed Dinosaur Species Discovered". Science News.com. Science News. Retrieved 26 January 2016.
  14. ^ Kennedy, William J.; Landman, Neil H.; Cobban, William Aubrey; Johnson, R.O. (13 December 2000). "Additions to the ammonite fauna of the Upper Cretaceous Navesink Formation of New Jersey". American Museum Novitates: 31. hdl:2246/2008.
  15. ^ Gallagher, W.B. (1997). When Dinosaurs Roamed New Jersey. New Brunswick, NJ: Rutgers University Press. ISBN 9780813523484.
  16. ^ "Oceans of Kansas".
  17. ^ Brownstein, Chase (17 January 2018). "The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s of Appalachia". Palaeontologia Electronica. 21 (1.5a): 1–56. doi:10.26879/801.
  18. ^ Brownstein, Chase D. (February 2018). "The biogeography and ecology of the Cretaceous non-avian dinosaurs of Appalachia". Palaeontologia Electronica. 21 (1): 1–56. doi:10.26879/801.
  19. ^ Schwimmer, David R. (1 April 2016). "Was There a Southeastern Dinosaur Province in the Late Cretaceou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8 (3): 22–3. doi:10.1130/abs/2016SE-271634.
  20. ^ King Jr., David T. "Late Cretaceous Dinosaur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uburn.edu. Auburn University. Retrieved 9 January 2019.
  21. ^ http://webhome.auburn.edu/~kingdat/dino_fig_1.jpg.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22. ^ http://webhome.auburn.edu/~kingdat/dino_fig_2.jpg.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23. ^ a b Adams, Thomas (13 March 2017). "New Data on Mid- Cretaceous Ecosystems and Faunal Diversity in Appalachia: Insights from the Woodbine Formation (Cenomanian) of North Texa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9 (1). doi:10.1130/abs/2017SC-289203.
  24. ^ a b Drumheller, Stephanie K. (13 April 2018). "Fleshing Out a Lost World: Mid-Cretaceous Diversity in Appalachia with Insights from the Arlington Archosaur Sit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50 (3). doi:10.1130/abs/2018SE-312397.
  25. ^ Brownstein, Chase D. (November 2017). "A Tyrannosauroid Metatarsus from the Merchantville Formation of New Jersey increases the diversity of nonTyrannosaurid Tyrannosauroids on Appalachia". PeerJ. 5 (e4123): e4123. doi:10.7717/peerj.4123. PMC 5712462. PMID 29204326.
  26. ^ King, James L. (18 October 2009). "DINOSAURIAN FAUNA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1 (7): 1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20. Retrieved 16 June 2019.
  27. ^ Loewen, Mark A.; Irmis, Randall B.; Setrich, Joseph J. W.; J. Currie, Philip; D. Sampson, Scott (6 November 2013). "Tyrant Dinosaur Evolution Tracks the Rise and Fall of Late Cretaceous Oceans". PLOS ONE. 8 (11): 14. Bibcode:2013PLoSO...879420L. doi:10.1371/journal.pone.0079420. PMC 3819173. PMID 24223179.
  28. ^ Switek, Brian (2011). "Dryptosaurus' Surprising Hands". American Museum Novitates (3717): 1–53. doi:10.1206/3717.2. hdl:20.500.11820/6aec2625-02e3-4c0f-bb39-6159c51f97b6. S2CID 53318615. Retrieved 11 July 2011.
  29. ^ Brownstein, Chase D. (17 April 2018). "A Tyrannosauroid from the Lower Cenomanian of New Jersey and Its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Bulletin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59 (1): 95–106. doi:10.3374/014.058.0210. S2CID 90633156.
  30. ^ a b Brownstein, Chase (December 2018). "LARGE BASAL TYRANNOSAUROIDS FROM THE MAASTRICHTIAN AND TERRESTRIAL VERTEBRATE DIVERSITY IN THE SHADOW OF THE K-PG EXTINCTION". The Mosasaur. X: 105–110. Retrieved 7 January 2019.
  31. ^ Chan-gyu, Yun (2017). "Teihivenator gen. nov., a new generic name for the Tyrannosauroid Dinosaur "Laelaps" macropus (Cope, 1868; preoccupied by Koch, 1836)". Journal of Zoological and Bioscience Research. 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7. Retrieved 23 July 2017.
  32. ^ Carr, Thomas D; Williamson, Thomas E; Schwimmer, David R (2005). "A new genus and species of tyrannosauroid from the Late Cretaceous (Middle Campanian) Demopolis Formation of Alabam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5: 119–43. doi:10.1671/0272-4634(2005)025[0119:ANGASO]2.0.CO;2.
  33. ^ Brownstein, Chase (30 November 2017). "A tyrannosauroid metatarsus from the Merchantville Formation of Delaware increases the diversity of non-tyrannosaurid tyrannosauroids on Appalachia". PeerJ. 5 (e4123): e4123. doi:10.7717/peerj.4123. PMC 5712462. PMID 29204326.
  34. ^ Brownstein, Chase Doran (2018). "A Tyrannosauroid from the Lower Cenomanian of New Jersey and Its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Bulletin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59: 95–105. doi:10.3374/014.058.0210. S2CID 90633156.
  35. ^ Kiernan, Caitlin R.; Schwimmeri, David R. (January 2004). "First Record of a Velociraptorine Theropod (Tetanurae, Dromaeosauridae) from the Eastern Gulf Coastal United States". The Mosasaur. 7: 89–93. Retrieved 7 May 2004.
  36. ^ Westfall, Aundrea. "Dromaeosaurs". Encyclopedia of Alabama. Encyclopedia of Alabama. Retrieved 18 May 2016.
  37. ^ Brownstein, Chase (2018). "A giant dromaeosaurid from North Carolina". Cretaceous Research. 92: 1–7. doi:10.1016/j.cretres.2018.07.006.
  38. ^ a b Fix, Michael F. "Dinosauria and Associated Vertebrate Fauna of the Late Cretaceous Chronister Site of Southeast Missouri".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1 April 2004.
  39. ^ Brownstein, Chase D. (5 April 2018). "Diversity of raptor dinosaurs in southeastern North America revealed by the first definite record from North Carolina". PeerJ Preprints: 1–19. doi:10.7287/peerj.preprints.26829v1. Retrieved 14 June 2019.
  40. ^ Brownstein, Chase Doran (1 November 2019). "New records of theropods from the latest Cretaceous of New Jersey and the Maastrichtian Appalachian fauna". Royal Society Open Science. 6 (11): 191206. Bibcode:2019RSOS....691206B. doi:10.1098/rsos.191206. PMC 6894593. PMID 31827856.
  41. ^ Baird, D.; Horner, J. (1979). "Cretaceous dinosaurs of North Carolina". Brimleyana. 2: 1–28.
  42. ^ Brownstein, C.D. (24 July 2017). "Theropod specimens from the Navesink Form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Diversity and Biogeography of Ornithomimosaurs and Tyrannosauroids on Appalachia". PeerJ Preprints. 5: e3105v1. doi:10.7287/peerj.preprints.3105v1.
  43. ^ Brownstein, Chase Doran (24 July 2017). "Theropod specimens from the Navesink Form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Diversity and Biogeography of Ornithomimosaurs and Tyrannosauroids on Appalachia". PeerJ Preprints. e3105v1. Retrieved 23 December 2019.
  44. ^ King Jr., David T. "Late Cretaceous Dinosaurs of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aubrun.edu. Auburn University Press. Retrieved 14 September 2016.
  45. ^ Colbert, Edwin H. (1948). "A Hadrosaurian Dinosaur from New Jersey".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100: 23–37. JSTOR 4064414.
  46. ^ Godefroit, P.; Bolotsky, Y. L.; Lauters, P. (2012). Joger, Ulrich (ed.). "A New Saurolophine Dinosaur from the Latest Cretaceous of Far Eastern Russia". PLOS ONE. 7 (5): e36849. Bibcode:2012PLoSO...736849G. doi:10.1371/journal.pone.0036849. PMC 3364265. PMID 22666331.
  47. ^ Godefroit, Pascal; Bolotsky, Yuri; Alifanov, Vladimir (2003). "A remarkable hollow-crested hadrosaur from Russia: an Asian origin for lambeosaurines". Comptes Rendus Palevol. 2 (2): 143–151. doi:10.1016/S1631-0683(03)00017-4.
  48. ^ Godefroit, Pascal; Shuqin Zan; Liyong Jin (2000). "Charonosaurus jiayinensis n. g., n. sp., a lambeosaurine dinosaur from the Late Maastrichtian of northeastern China". Comptes Rendus de l'Académie des Sciences, Série IIA. 330 (12): 875–882. Bibcode:2000CRASE.330..875G. doi:10.1016/S1251-8050(00)00214-7.
  49. ^ 볼로츠키, Y.L. & 쿠르자노프, S.K. 1991. [아무르 지방의 하도로사우르족들.] 인: [태평양 경계지질] 블라고베셴스크: 아무르 KNII 94-103. [러시아어로]
  50. ^ Godefroit, P.; Bolotsky, Y. L.; Van Itterbeeck, J. (2004). "The lambeosaurine dinosaur Amurosaurus riabinini, from the Maastrichtian of Far Eastern Russia".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49 (4): 585–618.
  51. ^ Casanovas, M.L; Pereda-Suberbiola, X.; Santafé, J.V.; Weishampel, D.B. (1999). "First lambeosaurine hadrosaurid from Europe: palaeobiogeographical implications". Geological Magazine. 136 (2): 205–211. Bibcode:1999GeoM..136..205C. doi:10.1017/s0016756899002319.
  52. ^ Pereda-Suberbiola, Xabier; José Ignacio Canudo; Penélope Cruzado-Caballero; José Luis Barco; Nieves López-Martínez; Oriol Oms; José Ignacio Ruiz-Omeñaca (2009). "The last hadrosaurid dinosaurs of Europe: A new lambeosaurine from the Uppermost Cretaceous of Aren (Huesca, Spain)" (PDF). Comptes Rendus Palevol. 8 (6): 559–572. doi:10.1016/j.crpv.2009.05.002.
  53. ^ Rubén D. Juárez Valieri; José A. Haro; Lucas E. Fiorelli; Jorge O. Calvo (2010). "A new hadrosauroid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Allen Formation (Late Cretaceous) of Patagonia, Argentina" (PDF). Revista del Museo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New Series. 11 (2): 217–23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 September 2011. Retrieved 13 September 2016.
  54. ^ Case, Judd A.; Martin, James E.; Chaney, Dan S.; Regurero, Marcelo; Marenssi, Sergio A.; Santillana, Sergio M.; Woodburne, Michael O. (25 September 2000). "The First Duck-Billed Dinosaur (Family Hadrosauridae) from Antarctic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0 (3): 612–614. doi:10.1671/0272-4634(2000)020[0612:tfdbdf]2.0.co;2. JSTOR 4524132.
  55. ^ Dalla Vecchia, F. M. (2009). "Tethyshadros insularis, a new hadrosauroid dinosaur (Ornithisch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Italy".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4): 1100–1116. doi:10.1671/039.029.0428.
  56. ^ Lund, Eric K.; Gates, Terry A. (January 2006). "A Historical and Biogeographical Examination of Hadrosaurian Dinosaurs".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57. ^ Kaye, John M.; Russell, Dale. (1973). "The oldest record of hadrosaurian dinosaurs in North America". Journal of Paleontology: 91–93.
  58. ^ "Research team identifies rare dinosaur from Appalachia". 21 January 2016. Retrieved 11 September 2016.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59. ^ Lull, Richard S.; Wright, Nelda E. (1942). "Hadrosaurian dinosaurs of North Americ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40.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pp. 1–272. doi:10.1130/SPE40-p1. ISBN 9780813720401.
  60. ^ Witzke, Brian J. (12 August 2014). "Dinosaurs in Iowa". Iowa Geological Society. Iow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University of Iowa. Retrieved 12 August 2014.[데드링크]
  61. ^ Byran, Jonathan R.; Frederick, Daniel L.; Schwimmer, David R.; Siesser, William G. (July 1991). "First dinosaur record from Tennessee: a Campanian hadrosaur". Journal of Paleontology. 65 (4): 696–697. doi:10.1017/S0022336000030808. Retrieved 11 September 2016.
  62. ^ Markin, Walter L.; Gibson, Michael A. (3 November 2010). "Discovery of a Second Hadr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Coon Creek Formation, West Tennesse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2 (5): 631.
  63. ^ Cope, E.D. (1869). "Remarks on Eschrichtius polyporus, Hypsibema crassicauda, Hadrosaurus tripos, and Polydectes biturgidus".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21: 191–192.
  64. ^ Albert, Prieto-Marquez; Luis, M. Chiappe; Shantanu, H. Joshi (12 June 2012). "The Lambeosaurine Dinosaur Magnapaulia laticaudus from the Late Cretaceous of Baja California, Northwestern Mexico". PLOS ONE. 7 (6): 29. Bibcode:2012PLoSO...738207P. doi:10.1371/journal.pone.0038207. PMC 3373519. PMID 22719869.
  65. ^ Chase (22 June 2015). "Antediluvian Beasts of the East: Hypsibema crassicauda". thetetanuraeguy.wordpress.com. Retrieved 22 June 2015.
  66. ^ Gilmore, Charles W.; Stewart, Dan R. (January 1945). "A New Sauropo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Missouri". Journal of Paleontology. 19 (1): 23–29. JSTOR 1299165.
  67. ^ "Welcome to the Fossil Prep Lab!". Bollinger County Museum of Natural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ne 2016. Retrieved 13 September 2016.
  68. ^ VAVREK, MATTHEW J.; HILLS, LEN V.; CURRIE, PHILIP J. (2014). "A Hadrosaurid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Late Cretaceous (Campanian) Kanguk Formation of Axel Heiberg Island, Nunavut, Canada, and Its Ecological and Geographical Implications". Arctic. 67 (1): 1–9. doi:10.14430/arctic4362. JSTOR 24363716. S2CID 55810951.
  69. ^ Brownstein, Chase D. (1 January 2021). "Osteology and phylogeny of small-bodied hadrosauromorphs from an end-Cretaceous marine assemblage".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91 (1): 180–200. doi:10.1093/zoolinnean/zlaa085. Retrieved 7 April 2021.
  70. ^ Chase (30 July 2015). "A response to The Tetrapod Zoology Podcast #45: Why Lambeosaurines did, in fact, persist into the Maastrichtian". An Odyssey of Time. Anonymous. Retrieved 30 July 2015.
  71. ^ Brownstein, Chase D.; Bissell, Immanuel (2020). "An elongate hadrosaurid forelimb with biological traces informs the biogeography of the Lambeosaurinae" (PDF). Journal of Paleontology. 95 (2): 367–375. doi:10.1017/jpa.2020.83. Retrieved 5 April 2021.
  72. ^ Bakker, Robert T. (1988). "Review of the Late Cretaceous nodosauroid Dinosauria: Denversaurus schlessmani, a new armor-plated dinosaur from the Latest Cretaceous of South Dakota, the last survivor of the nodosaurians, with comments on Stegosaur-Nodosaur relationships". Hunteria. 1 (3): 1–23.
  73. ^ Garcia, G.; Pereda-Suberbiola, X. (2003). "A new species of Struthiosaurus (Dinosauria: Ankylosauri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Villeveyrac (southern Franc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3 (1): 156–165. doi:10.1671/0272-4634(2003)23[156:ansosd]2.0.co;2.
  74. ^ "Approximate location of Smoky Hill Chalk nodosaur remains". Retrieved 13 September 2016.
  75. ^ Bruns, Michael E. "New Appalachian Armored Dinosaur Material (Nodosauridae, Ankylosauria) From the Maastrichtian Ripley Formation of Alabama".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1 April 2016.
  76. ^ Ebersole, Jun. "Nodosaur". Encyclopedia of Alabama. Encyclopedia of Alabama. Retrieved 18 May 2016.
  77. ^ Everhart, Michael J.; Hamm, Shawn A. (January 2005). "A new nodosaur specimen (Dinosauria: Nodosauridae) from the Smoky Hill Chalk (Upper Cretaceous) of western Kansas". Transactions of the Kansas Academy of Science. 108 (1&2): 15–21. doi:10.1660/0022-8443(2005)108[0015:ANNSDN]2.0.CO;2.
  78. ^ Carpenter, Kenneth; Everhart, Michael J. (April 2007). "Skull of the ankylosaur Niobrarasaurus coleu (Ankylosauria: Nodosauridae) from the Smoky Hill Chalk (Coniacian) of western Kansas". Transactions of the Kansas Academy of Science. 110 (1 & 2): 1–9. doi:10.1660/0022-8443(2007)110[1:SOTANC]2.0.CO;2.
  79. ^ Eaton, T.H.; Jr (1960). "A new armored dinosaur from the Cretaceous of Kansas". The University of Kansas Paleontological Contributions: Vertebrata. 8: 1–24. hdl:1808/3799.
  80. ^ Wieland, G. R (1909). "A new armored saurian from the Niobrara". American Journal of Science. 27 (159): 250–2. Bibcode:1909AmJS...27..250W. doi:10.2475/ajs.s4-27.159.250.
  81. ^ Carpenter, Kenneth; Dilkes, David; Weishampel, Dave (June 1995). "The Dinosaurs of the Niobrara Chalk Formation (Upper Cretaceous, Kans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5 (2): 275–297. doi:10.1080/02724634.1995.10011230.
  82. ^ "Amazing horned dinosaurs unearthed on 'lost continent'; New discoveries include bizarre beast with 15 horns". ScienceDaily. University of Utah. Retrieved 22 September 2010.
  83. ^ Anonymous (14 September 2015). "A new Leptoceratopsid Ceratopsian From Campanian Cretaceous Appalachia". The Dragon's Tales. Retrieved 14 September 2015.
  84. ^ Longrich, Nicholas R. (2016).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eastern North America, and implications for dinosaur biogeography". Cretaceous Research. 57: 199–207. doi:10.1016/j.cretres.2015.08.004.
  85. ^ Brantley, Mary Grace. "Paleontologists make big dinosaur discovery in Mississippi". MSNewsNow.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6. Retrieved 14 September 2016.
  86. ^ Fleet, Micah (29 July 2016). "Rare dinosaur tooth found in Mississippi". wapt.com. 16 WAPT News. Retrieved 14 September 2016.
  87. ^ David R., Schwimmer. "Was There a Southeastern Dinosaur Province in the Late Cretaceous?". 1 April 2016.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12 September 2016.
  88. ^ Osi, Attila; Butler, Richard J.; Weishampel, David B. (27 May 2010). "A Late Cretaceous ceratopsian dinosaur from Europe with Asian affinities". Nature. 465 (7297): 466–468. Bibcode:2010Natur.465..466O. doi:10.1038/nature09019. PMID 20505726. S2CID 205220451.
  89. ^ LINDGREN, JOHAN; CURRIE, PHILIP J.; SIVERSON, MIKAEL; REESS, JAN; LINDGREN, FILIP (2007). "The First Neoceratopsian Dinosaur Remains from Europe". Palaeontology. 50 (4): 929–937. doi:10.1111/j.1475-4983.2007.00690.x.
  90. ^ Longrich, Nicholas (January 2016). "A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eastern North America, and implications for dinosaur biogeography". Cretaceous Research. 57: 199–207. doi:10.1016/j.cretres.2015.08.004.
  91. ^ a b Olson, Storrs L.; Parris, David C. (1987). "The Cretaceous Birds of New Jersey" (PDF). Smithsonian Contributions to Paleobiology. 63 (63): 1–25. doi:10.5479/si.00810266.63.1.
  92. ^ Wetmore, Alexander (April 1930). "The Age of the Supposed Cretaceous Birds from New Jersey". The Auk. 47 (2): 186–188. doi:10.2307/4075921. JSTOR 4075921. S2CID 87807904.
  93. ^ Baird, Donald (April 1967). "Age of Fossil Birds from the Greensands of New Jersey". The Auk. 84 (2): 260–262. doi:10.2307/4083191. JSTOR 4083191.
  94. ^ 팔래오젠화석조류
  95. ^ 남부 캘리포니아의 팔레오세(티파니아인)에서 온 리토르니티드(Aves: Palaeognathae)
  96. ^ Bell, Alyssa; Irwin, Kelly J.; Davis, Leo Carson (September 2015). "Hesperornithiform Birds from the Late Cretaceous (Campanian) of Arkansas, USA". Transactions of the Kansas Academy of Science. 118 (3 & 4): 219–229. doi:10.1660/062.118.0305. S2CID 83921936. Retrieved 13 June 2019.
  97. ^ Bono, R.K.; Clarke, J.; Tarduno, J.A.; Brinkman, Donald (2016). "A Large Ornithurine Bird (Tingmiatornis arctica) from the Turonian High Arctic: Climatic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Scientific Reports. 6: 38876. Bibcode:2016NatSR...638876B. doi:10.1038/srep38876. PMC 5171645. PMID 27991515.
  98. ^ Hou (1999). "New hesperornithid (Aves) from the Canadian Arctic". Vertebrata PalAsiatica. 37 (7): 228–233.
  99. ^ TYKOSKI, RONALD S.; FIORILLO, ANTHONY R. (January 2010). "An enantiornithine bird from the lower middle Cenomanian of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0: 288–292. doi:10.1080/02724630903416068. S2CID 84037461. Retrieved 16 November 2020.
  100. ^ Le Loeuff, J (1991). "The Campano-Maastrichtian vertebrate faunas of southern Euro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faunas in the world; paleobiogeographic implications". Cretaceous Res. 12 (2): 93–114. doi:10.1016/s0195-6671(05)80019-9.
  101. ^ Holman, J. Alan (22 May 2000). Fossil Snakes of North America: Origin, Evolution, Distribution, Paleoecology. Bloomington,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p. 376.
  102. ^ Lee, Yuong–Nam (1997). "The Archosauria from the Woodbine Formation (Cenomanian) in Texas". Journal of Paleontology. 71 (6): 1147–1156. doi:10.1017/S0022336000036088.
  103. ^ Cossette, Adam P.; Brochu, Christopher A. (2018). "A new specimen of the alligatoroid Bottosaurus harlani and the early history of character evolution in alligatori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8 (4): (1)-(22). doi:10.1080/02724634.2018.1486321. S2CID 92801257.
  104. ^ Adams, T.L.; Noto, C.R.; Drumheller, S. (2017). "A large neosuchian crocodyliform from the Upper Cretaceous (Cenomanian) Woodbine Formation of North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7 (4): e1349776. doi:10.1080/02724634.2017.1349776. S2CID 133647239.
  105. ^ Troxell, Edward L. (September 1925). "Thoracosaurus, A Cretaceous Crocodil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5 (10): 219–233. Bibcode:1925AmJS...10..219T. doi:10.2475/ajs.s5-10.57.219.
  106. ^ Brochu, Christopher A. (5 January 2004). "A new Late Cretaceous gavialoid crocodylian from eastern North America and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orac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4 (3): 610–633. doi:10.1671/0272-4634(2004)024[0610:ANLCGC]2.0.CO;2.
  107. ^ Brochu, Christopher A.; Parris, David C.; Grandstaff, Barbara Smith; Denton Jr., Robert K.; Gallagher, William B. (12 January 2012). "A new species of Borealosuchus (Crocodyliformes, Eusuchia) from the Late Cretaceous–early Paleogene of New Jersey".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2 (1): 105–116. doi:10.1080/02724634.2012.633585. S2CID 83931184.
  108. ^ Schwimmer, David R. (12 June 2002). King of the Crocodylians: The Paleobiology of Deinosuchus.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p. 240.
  109. ^ Erickson, Gregory M.; Brochu, Christopher A. (18 June 1999). "How the 'terror crocodile' grew so big". Nature. 398 (6724): 205–206. Bibcode:1999Natur.398..205E. doi:10.1038/18343. S2CID 4402210.
  110. ^ Handwerk, Brian (25 March 2010). "Feces, Bite Marks Flesh Out Giant Dino-Eating Crocs". National Geographic News. Retrieved 25 March 2010.
  111. ^ RIVERA-SYLVA, Héctor E.; FREY, Eberhard; GUZMÁN-GUTIÉRREZ, José Rubén (2009). "Evidence of predation on the vertebra of a hadrosaurid din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Campanian) of Coahuila, Mexico". Carnets de Géologie: 1–7.
  112. ^ Rivera-Sylva, Hector E.; W.E. Hone, David; Dodson, Peter (2012). "Bite marks of a large theropod on an hadrosaur limb bone from Coahuila, Mexico" (PDF). 64 (1): 157–161.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113. ^ Milan, J; Lucas, Spencer G.; Lockley, M G; Schwimmer, David R. (January 2010). "Bite Marks of the Giant Crocodylian Deinosuchus on Late Cretaceous (Campanian) Bones". New Mexico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Science Bulletin. 51: 183–190.
  114. ^ Harrell, Samantha D.; Schwimmer, David R. (2010). "Coprolites of Deinosuchus and other crocodylian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western Georgia, USA": 1–7.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115. ^ Brownstein, Chase D. (11 June 2018). "Trace fossils on dinosaur bones reveal ecosystem dynamics along the coast of eastern North America during the latest Cretaceous". PeerJ. 6: 23. doi:10.7717/peerj.4973. PMC 6001717. PMID 29910985.
  116. ^ Erickson, Bruce (1998). "Crocodilians of the Black Mingo Group (Paleocene) of the South Carolina Coastal Plai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88 (4): 196–214. doi:10.2307/1006674. JSTOR 1006674.
  117. ^ Cossette, Adam; Christopher, Christopher (3 April 2019). "A new specimen of the alligatoroid Bottosaurus harlani and the early history of character evolution in alligatori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8 (4): (1)-(22). doi:10.1080/02724634.2018.1486321. S2CID 92801257.
  118. ^ Callahan, Wayne; Pellegrini, Rodrigo; Schein, Jason; Parris, David C. (January 2015). "A Nearly Complete Specimen of Hyposaurus Rogersii (Crocodylomorpha, Dyrosauridae) from the Late Cretaceous-Early Paleogene of New Jersey".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doi:10.13140/RG.2.1.2253.2724. Retrieved 4 January 2019.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119. ^ Adams, Thomas L.; Polcyn, Michael J.; Mateus, Octavio; Winkler, Dale A.; Jacobs, Louis L. (May 2011). "First occurrence of the long-snouted crocodyliform Terminonaris (Pholidosauridae) from the Woodbine Formation (Cenomanian) of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1 (3): 712–716. doi:10.1080/02724634.2011.572938. S2CID 86061260.
  120. ^ Shimada, Kenshu; Parris, David C. (Spring 2007). "A Long-Snouted Late Cretaceous Crocodyliform, Terminonaris cf. T. browni, from the Carlile Shale (Turonian) of Kansas". Transactions of the Kansas Academy of Science. 110 (1/2): 107–115. doi:10.1660/0022-8443(2007)110[107:ALLCCT]2.0.CO;2. JSTOR 20476300.
  121. ^ Schwimmer, David R.; Padian, Kevin; Woodhead, Alfred B. (1985). "First Pterosaur Records from Georgia: Open Marine Facies, Eutaw Formation (Santonian)". Journal of Paleontology. 59 (3): 674–676. JSTOR 1304987.
  122. ^ Westfall, Aundrea. "Pterosaurs". Encyclopedia of Alabama. Retrieved 26 August 2016.
  123. ^ Bairid, Donald; Galton, Peter M. (1981). "Pterosaur Bone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Delawar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 (1): 67–71. doi:10.1080/02724634.1981.10011880. JSTOR 4522837.
  124. ^ Harrell Jr., T. Lynn; Gibson, Michael A.; Langston Jr., Wann (1 December 2016). "A cervical vertebra of Arambourgiania philadelphiae (Pterosauria, Azhdarchidae) from the late Campanian micaceous facies of the Coon Creek Formation in McNairy County, Tennessee, USA". Bull. Alabama Mus. Nat. Hist. 33: 94–103.
  125. ^ Gibson, Michael A. "Review of Vertebrate Diversity n the Coon Creek Formation Lagerstätte (Late Cretaceous) of Western Tennesse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31 March 2008.
  126. ^ S. Bennett, Christopher (February 1992). "Sexual dimorphism of Pteranodon and other pterosaurs, with comments on cranial crest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2 (4): 422–434. doi:10.1080/02724634.1992.10011472.
  127. ^ Carpenter, Kenneth (2008). "Vertebrate Biostratigraphy of the Smoky Hill Chalk (Niobrara Formation) and the Sharon Springs Member (Pierre Shale)". High-Resolution Approaches in Stratigraphic Paleontology. Topics in Geobiology. 21. pp. 421–437. doi:10.1007/978-1-4020-9053-0_11. ISBN 978-1-4020-1443-7.
  128. ^ Andres, Brian; Myers, Timothy S. (23 September 2013). "Lone Star Pterosaur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03 (3–4): 383–398. doi:10.1017/S1755691013000303. S2CID 84617119.
  129. ^ S. Meyers, Timothy (November 2010). "Earliest occurrence of the Pteranodontidae (Archosauria: Pterosauria) in North America: new material from the Austin Group of Texas". Journal of Paleontology. 84 (6): 1071–1081. doi:10.1666/09-082.1. S2CID 129049242.
  130. ^ Myers, T.S. (2010). "Earliest occurrence of the Pteranodontidae (Archosauria: Pterosauria) in North America: New material from the Austin Group of Texas". Journal of Paleontology. 84 (6): 1071–1081. doi:10.1666/09-082.1. S2CID 129049242.
  131. ^ Myers, Timothy S. (2010). "A new ornithocheirid pter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Cenomanian–Turonian) Eagle Ford Group of Texas" (PDF).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0 (1): 280–287. doi:10.1080/02724630903413099. S2CID 130367018.
  132. ^ Dudgeon, Thomas W.; Landry, Zoe; Callahan, Wayne R.; Mehling, Carl M.; Ballwanz, Steven (2021). "An Appalachian population of neochoristoderes (Diapsida, Choristodera) elucidated using fossil evidence and ecological niche modelling". Palaeontology. 64 (5): 629–643. doi:10.1111/pala.12545.
  133. ^ Dudgeon, Thomas W.; Landry, Zoe; Callahan, Wayne R.; Mehling, Carl M.; Ballwanz, Steven (2021). "An Appalachian population of neochoristoderes (Diapsida, Choristodera) elucidated using fossil evidence and ecological niche modelling". Palaeontology. 64 (5): 629–643. doi:10.1111/pala.12545.
  134. ^ Baird, D.; Krause, D.W. (1 May 1979). "Late Cretaceous mammals east of the North American Western Interior Seaway". Journal of Paleontology. 53 (3). Retrieved 13 September 2016.
  135. ^ Denton Jr., Robert K. "Late Cretaceous Mammals of the Carolinas". gsa.confex.com.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Retrieved 1 April 2016.
  136. ^ 캐롤리나스의 후기 백악기 멀티튜버클립스터: 내...얼마나 큰 이빨을 가졌는가!
  137. ^ a b Grandstaff, B. S.; Parris, D. C.; Denton Jr, R. K.; Gallagher, W. B. (1992). "Alphadon (Marsupialia) and Multituberculata (Allotheria) in the Cretaceous of eastern North Americ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2 (2): 217–222. doi:10.1080/02724634.1992.10011450.
  138. ^ Denton, R. K. Jr. & O'Neill, R. C., 2010년, New Stagodontid Metatherian의 뉴저지주 캄파니안 출신과 북미 후기 백악기 동서 분산 노선 부족에 대한 시사점. 주르. Vert. 팔로. 30(3) 유연.
  139. ^ Martin, JE; Case, JA; Jagt, JWM; Schulp, AS; Mulder, EWA (2005). "A new European marsupial indicates a Late Cretaceous high latitude dispersal route". Mammal. Evol. 12 (3–4): 495–511. doi:10.1007/s10914-005-7330-x. S2CID 39202343.
  140. ^ Krause, David W.; Baird, Donald (May 1979). "Late Cretaceous Mammals East of the North American Western Interior Seaway". Journal of Paleontology. 53 (3): 562–565. JSTOR 1303997.
  141. ^ Emry, Robert J.; Archibald, J. David; Smith, Charles C. (September 1982). "A Mammalian Molar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ern Mississippi". Journal of Paleontology. 55 (5): 953–956. JSTOR 1304518.
  142. ^ Grandstaff, Barbara S.; Parris, David C.; Denton Jr., Robert K.; Gallagher, William B. (10 June 1992). "Alphadon (Marsupialia) and Multituberculata (Allotheria) in the Cretaceous of Eastern North Americ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2 (2): 217–222. doi:10.1080/02724634.1992.10011450. JSTOR 4523441.
  143. ^ "OCEANS OF KANSAS PALEONTOLOGY Fossils from the Late Cretaceous Western Interior Sea". Retrieved 12 June 2019.
  144. ^ Everhart, Mike. "A Field Guide to Fossils of the Smoky Hill Chalk Part 2: Sharks and Bony Fish".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45. ^ Everhart, Mike. "A Field Guide to the Smoky Hill Chalk Part 1: Invertebrates".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46. ^ Everhart, Mike. "A Field Guide to Fossils of the Smoky Hill Chalk Part 3: Marine Reptiles".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47. ^ Everhart, Mike. "A Field Guide to Fossils of the Smoky Hill Chalk Part 4: Pteranodons, Birds, and Dinosaurs".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48. ^ Everhart, Mike. "A Field Guide to Fossils of the Smoky Hill Chalk Part 5: Coprolites, pearls, fossilized wood and other remains".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49. ^ Everhart, Mike. "M. J. EVERHART'S MARINE REPTILE REFERENCES: MOSASAURS, PLESIOSAURS, TURTLES AND OTHER VERTEBRATE FAUNA".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50. ^ Everhart, Mike. "Other references about fossils from the Late Cretaceous Western Interior Sea, including: Invertebrates, sharks and fish". Oceans of Kansas. Retrieved 12 June 2019.
  151. ^ Kiernan, Caitlin R. Kiernan (2002). "Stratigraphic distribution and habitat segregation of mosasaurs in the Upper Cretaceous of western and central Alabama, with an historical review of alabama mosasaur discoverie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2 (1): 91–103. doi:10.1671/0272-4634(2002)022[0091:SDAHSO]2.0.CO;2. ISSN 0272-4634.
  152. ^ KIERNAN, CAITLIN R. (2002). "Stratigraphic distribution and habitat segregation of mosasaurs in the Upper Cretaceous of western and central Alabama, with an historical review of alabama mosasaur discoverie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2 (1): 91–103. doi:10.1671/0272-4634(2002)022[0091:SDAHSO]2.0.CO;2.
  153. ^ Gallagher, William B.; Campbell, Carl E.; Jagt, John W. M.; Mulder, Eric W. A. (2005). "Mosasaur (Reptilia, Squamata) Material from the Cretaceous-Tertiary Boundary Interval in Missouri".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5 (2): 473–475. doi:10.1671/0272-4634(2005)025[0473:MRSMFT]2.0.CO;2. JSTOR 4524462.
  154. ^ Rapp, William F. (1946). "Check List of the Fossil Fishes of New Jersey". Journal of Paleontology. 20 (5): 510–513. JSTOR 1299280.
  155. ^ Case, Gerald R.; Schwimmer, David R. (March 1988). "Late Cretaceous fish from the Blufftown Formation (Campanian) in western Georgia". Journal of Paleontology. 62 (2): 290–301. doi:10.1017/S0022336000029942. S2CID 131268461.
  156. ^ Cockerell, T. D. A.; Stanton, T. W. (1915). "SOME AMERICAN CRETACEOUS FISH SCALES, WITH NOTES ON THE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CRETACEOUS FISHES" (PDF).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Bulletin. 603: 34–57. Retrieved 20 December 2019.
  157. ^ Stringer, Gary L.; Oman, Luke D.; Badger, Robert F. (28 November 2016). "Woodbury Formation (Campanian) in New Jersey yields largest known Cretaceous otolith assemblage of teleostean fishes in North America".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165 (1): 15–36. doi:10.1635/053.165.0101. S2CID 132425261.
  158. ^ Lauginiger, Edward M. (September 1988). "Cretaceous Fossils from the Chesapeake and Delaware Canal" (PDF). Delaware Geological Survey: 61.
  159. ^ Lidgard, Scott; Crane, Peter R. (Winter 1990). "Angiosperm Diversification and Cretaceous Floristic Trends: A Comparison of Palynofloras and Leaf Macrofloras". Paleobiology. 16 (1): 77–93. doi:10.1017/S009483730000974X. JSTOR 2400934.
  160. ^ "22A; Veatch & Stephenson 1911 Cretaceous Material". Georgias Fossils. Retrieved 11 June 2019.
  161. ^ Murray (1974). Minnesota. pp. 162–163.
  162. ^ Sims, Hallie J.; Herendeen, Patrick S.; Lupia, Richard; Christopher, Raymond A.; Crane, Peter R. (August 1999). "Fossil flowers with Normapolles pollen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southeastern North America".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106 (3–4): 131–151. doi:10.1016/s0034-6667(99)00008-1.
  163. ^ V. Demers‐Potvin, Alexandre; C. E. Larsson, Hans (2 August 2019). "Palaeoclimatic reconstruction for a Cenomanian‐aged angiosperm flora near Schefferville, Labrador". Palaeontology. 62 (6): 1027–1048. doi:10.1111/pala.12444.
  164. ^ Herendeen, Patrick S.; Magallon-Puebla, Susana; Lupia, Richard; R. Crane, Peter; Kobylinska, Jolanta (1999). "A Preliminary Conspectus of the Allon Flora from the Late Cretaceous (Late Santonian) of Central Georgia, U.S.A."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86 (2): 407–471. doi:10.2307/2666182. JSTOR 2666182.
  165. ^ Crane, Peter R.; Dilcher, David L. (1984). "Lesqueria: An Early Angiosperm Fruiting Axis From the Mid-Cretaceou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71 (2): 384–402. doi:10.2307/2399031. JSTOR 2399031.
  166. ^ Blackwell, W. H. (January 1984). "Fossil Ponderosa-like Pine Wood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North-east Mississippi". Annals of Botany. 53 (1): 133–136. doi:10.1093/oxfordjournals.aob.a086664. JSTOR 42756870.
  167. ^ Mickell, James E. (Spring 1996). "Grexlupus carolinensis, A NEW PROBABLE LAURACEOUS FRUIT FROM THE LATE CRETACEOUS OF NORTH CAROLINA". Journal of the Elisha Mitchell Scientific Society. 112 (1): 1–6. JSTOR 24335383.
  168. ^ Frederiksen, Norman O. (January 1989). "Late Cretaceous and Tertiary Floras, Vegetation, and Paleoclimates of New England". Rhodora. 91 (865): 25–48. JSTOR 23312460.
  169. ^ Berry, Edward Wilbur (1914). "The Upper Cretaceous and Eocene floras of South Carolina and Georgia".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