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세로칸
가슴세로칸 | |
---|---|
정보 | |
식별자 | |
라틴어 | mediastinum[1] |
영어 | mediastinum |
MeSH | D008482 |
TA98 | A07.1.02.101 |
TA2 | 3333 |
FMA | 9826 |
가슴세로칸[2](mediastinum; 중세 라틴어에서 중간midway을 의미하는 mediastinus에서 유래[3]) 또는 종격 또는 세로칸 또는 종격동(縱隔洞)은 가슴안의 가운데 부분이다. 성긴결합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심장과 주변의 혈관, 식도, 기관, 가로막신경과 심장신경, 가슴림프관, 가슴샘과 가슴 가운데 부위의 림프절 등의 여러 구조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공간이다.
해부학
[편집]가슴세로칸은 가슴에 놓여 있으며 오른쪽과 왼쪽은 가슴막에 의해 닫혀 있다. 앞쪽에는 가슴벽이, 양쪽에는 폐가, 뒤쪽에는 척추가 가슴세로칸을 둘러싸고 있다. 앞으로는 복장뼈에서 뒤로는 척주까지 이른다.[4][5] 가슴세로칸은 폐를 제외한 가슴의 모든 장기를 포함하고 있다.[5][6] 목의 성긴결합조직에서 연속된다.
가슴세로칸은 위쪽(upper, superior)과 아래쪽(lower, inferior)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아래세로칸 또는 하종격동은 위세로칸이 끝나는 높이에서 시작하여 가로막에서 끝난다. 아래세로칸은 심장막을 기준으로 하여 다시 세 부위로 나누어진다. 앞세로칸 또는 전종격동(anterior mediastinum)은 심장막 앞쪽, 중간세로칸 또는 중종격동(middle mediastinum)은 심장막과 그 안 구조물, 뒤세로칸 또는 후종격동(posterior mediastinum)은 심장막 뒤쪽의 공간을 나타낸다.[7]
해부학자, 외과의사, 임상 방사선사 등은 가슴세로칸의 구획을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펠슨(Felson)의 방사선학 도식에서는 가슴세로칸을 오직 세 구획(앞, 중간, 뒤)으로만 나누며 심장은 중간세로칸의 일부로 간주한다.[8]
복장뼈각 높이
[편집]복장뼈각과 등뼈 T4, T5 척추사이원반을 잇는 가상의 평면을 transverse thoracic plane, 또는 thoracic plane, plane of Louis or plane of Ludwig이라고 한다.[9][10][11] 이 평면이 위세로칸과 아래세로칸을 나누는 가상의 기준면이 된다.[9][10][11]
다수의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가 복장뼈각 높이에 존재하며 구조의 변화도 여럿 일어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기관이 오른쪽과 왼쪽 주기관지로 갈라지는 지점인 기관갈림.
- 왼쪽 되돌이후두신경이 왼쪽 미주신경에서 갈라져 나와 아래로 주행해 위쪽에는 대동맥활, 아래쪽에는 허파동맥을 사이에 두고 동맥관인대 아래쪽을 감고 다시 위로 올라가기 시작한다.
- 홀정맥은 오른쪽 주기관지를 타고 넘어가 위대정맥으로 합류한다.
- 가슴림프관이 식도 뒤쪽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정중선을 가로지른다.
- 기관앞근막과 척주앞근막의 끝.
위세로칸
[편집]위세로칸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위쪽 경계 - 가슴의 위쪽에서 열리는 부분인 위가슴문
- 아래쪽 경계 - 복장뼈각과 T4 등뼈를 잇는 가상의 평면
- 가쪽 경계 - 가슴막
- 앞쪽 경계 - 복장뼈의 자루
- 뒤쪽 경계 - T1~T4의 척추뼈몸통
- 내용물
아래세로칸
[편집]
- 앞세로칸
경계는 다음과 같다.
- 내용물
- 중간세로칸
경계는 심장막에 의해 지어진다. 심장막에는 생명 유지에 중요한 기관들이 들어 있으며 장막심장막과 섬유심장막으로 나뉜다.[5]
- 내용물
- 심장막 안에 존재하는 심장
- 오름대동맥
- 위대정맥의 아래쪽 절반, 홀정맥이 여기로 합류한다.
- 기관용골과 두 기관지
- 허파동맥이 두 가지로 갈라진다.
- 오른쪽·왼쪽 허파정맥
- 가로막신경
- 약간의 기관지 림프절
- 심장가로막동맥·정맥
- 뒤세로칸
경계는 다음과 같다.
- 앞쪽 경계 - 기관용골, 허파동맥과 정맥, 섬유심장막, 가로막의 뒤쪽 기울어진 면
- 아래쪽 경계 - 가로막의 가슴쪽 면
- 위쪽 경계 - 복장뼈각 높이의 가상의 평면
- 뒤쪽 경계 - T5 아래쪽 경계부터 T12까지 등뼈의 몸통[5]
- 가쪽 경계 - 양쪽 세로칸가슴막
- 내용물
-
가슴의 가로 단면. 중간세로칸과 뒤세로칸의 구조물들이 보인다.
임상적 중요성
[편집]가슴세로칸에서 다양한 세로칸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
- 앞세로칸: 복장뼈밑 갑상샘종, 림프종, 가슴샘종, 기형종.
- 중간세로칸: 림프절종, 폐에서 유래한 소세포암과 같은 전이 질환.
- 뒤세로칸: 신경성 종양. 말이집에서 유래한 경우(대개 양성)와 그 외 다른 곳에서 유래한 경우(대개 악성)로 나뉜다.
세로칸염은 가슴세로칸의 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이다. 보통 세균성이며 가슴세로칸에 위치한 장기들이 파열되어 생긴다. 감염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세로칸염은 심각한 상태이다.
세로칸기종은 가슴세로칸에 공기가 들어가 있는 상태로, 치료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할 경우 기흉, 기복증, 공기심장막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항상 이런 상태들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며 종종 반대로 기흉 등의 상태가 세로칸기종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주 동반하는 질환으로 식도 파열의 한 형태인 부르하버 증후군(Boerhaave syndrome)이 있다.
확장
[편집]세로칸확장 | |
---|---|
다른 이름 | 종격동확장 |
식도이완불능증 환자에서 확장된 세로칸의 모습. |
세로칸확장(widened mediastinum, mediastinal widening) 또는 종격동확장은 가슴세로칸이 기립 PA 흉부 X선에서 너비 6cm 이상 또는 앙와위 AP 흉부 X선에서 8cm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12]
세로칸확장은 여러 병리를 나타내는 소견일 수 있다.[13][14]
- 대동맥류[15]
- 대동맥 박리[16]
- 대동맥 펴짐
- 대동맥 파열
- 림프절문의 림프절병증
- 탄저균 흡입 - 2001년 탄저균에 감염된 10명의 환자들 중 7명에서 세로칸확장이 발견되었다.[17]
- 식도 파열 - 세로칸기종과 심장막삼출에서 주로 나타나며, 주로 수용성 삼킴 조영제로 진단된다.
- 세로칸 종괴
- 세로칸염
- 심장눌림증[18]
- 심장막삼출
- 외상으로 인한 등뼈 골절
참고 문헌
[편집]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1090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 https://www.unifr.ch/ifaa/Public/EntryPage/TA98%20Tree/Alpha/All%20KWIC%20W%20LA.htm
- ↑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mediastinum&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Mediastinum dictionary definition - mediastinum defined”. 《www.yourdictionary.com》.
- ↑ Fong, K. M.; Windsor, M.; Bowman, R. V.; Duhig, E. (2006년 1월 1일), 〈TUMORS, MALIGNANT Carcinoma, Lymph Node Involvement〉, Laurent, Geoffrey J.; Shapiro, Steven D., 《Encyclopedia of Respiratory Medicine》 (영어), Oxford: Academic Press, 366–373쪽, doi:10.1016/b0-12-370879-6/00407-5, ISBN 978-0-12-370879-3,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Ng, Wai-Kuen (2008년 1월 1일), Bibbo, Marluce; Wilbur, David, 편집., “CHAPTER 26 - Mediastinum”, 《Comprehensive Cytopathology (Third Edition)》 (영어) (Edinburgh: W.B. Saunders), 773–809쪽, ISBN 978-1-4160-4208-2,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Cheng, Guang-Shing; Varghese, Thomas K.; Park, David R. (2016년 1월 1일), Broaddus, V. Courtney; Mason, Robert J.; Ernst, Joel D.; King, Talmadge E., 편집., “83 -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Murray and Nadel's Textbook of Respiratory Medicine (Sixth Edition)》 (영어) (Philadelphia: W.B. Saunders), 1478–1495.e38쪽, doi:10.1016/b978-1-4557-3383-5.00083-x, ISBN 978-1-4557-3383-5,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Breul, Rainer (2012), “The deeper fasciae of the neck and ventral torso”, 《Fascia: The Tensional Network of the Human Body》 (영어) (Elsevier), 45–52쪽, doi:10.1016/b978-0-7020-3425-1.00041-6, ISBN 978-0-7020-3425-1, 2020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 Goodman, Lawrence. 《Felson's Principles of Chest Roentgenology》.
- ↑ 가 나 Thoracic Wall, Pleura, and Pericardium – Dissector Answers 보관됨 2012-09-01 - 웨이백 머신
- ↑ 가 나 “Cell Biology and Anatomy - School of Medicine -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dba.med.sc.edu》. 2006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UAMS Department of Neurobiology and Developmental Sciences - Topographical Anatomy of the Thorax”. 《anatomy.uams.edu》. 2004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D'Souza, Donna. “Thoracic aortic injury”. 《radiopaedia.org》.
- ↑ Geusens; Pans, S.; Prinsloo, J.; Fourneau, I. (2005). “The widened mediastinum in trauma patients”.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2 (4): 179–184. doi:10.1097/00063110-200508000-00006. PMID 16034263.
- ↑ Richardson; Wilson, M. E.; Miller, F. B. (1990). “The widened mediastinum. Diagnostic and therapeutic priorities”. 《Annals of Surgery》 211 (6): 731–736; discussion 736–7. doi:10.1097/00000658-199006000-00012. PMC 1358125. PMID 2357135.
- ↑ Chandra S, Laor YG (April 1975). “Lung scan and wide mediastinum”. 《J. Nucl. Med.》 16 (4): 324–5. PMID 1113190.
- ↑ von Kodolitsch Y, Nienaber C, Dieckmann C, Schwartz A, Hofmann T, Brekenfeld C, Nicolas V, Berger J, Meinertz T (2004). “Chest radiography for the diagnosis of acute aortic syndrome”. 《Am J Med》 116 (2): 73–7. doi:10.1016/j.amjmed.2003.08.030. PMID 14715319.
- ↑ Jernigan JA, Stephens DS, Ashford DA, 외. (2001). “Bioterrorism-related inhalational anthrax: the first 10 cases reported in the United States”. 《Emerging Infect. Dis.》 7 (6): 933–44. doi:10.3201/eid0706.010604. PMC 2631903. PMID 11747719.
- ↑ Gideon P. Naudé; Fred S. Bongard; Demetrios Demetriades (2003). 《Trauma secrets》. Elsevier Health Sciences. 95–쪽. ISBN 978-1-56053-506-5. 2010년 4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thoraxlesson3 Wesley Norman의 The Anatomy lesson (조지타운 대학교) – "Subdivisions of the Thoracic Cavity" (가슴안의 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