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보신각 동종
보이기
(서울보신각종에서 넘어옴)
대한민국의 보물 | |
종목 | 보물 (구)제2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
---|---|
수량 | 1구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국유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
정보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
옛 보신각 동종(舊普信閣 銅鍾, 영어: Bosin-gak)은 조선시대 만들어진 종으로, 1985년까지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칠 때 사용되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편집]1985년까지 섣달그믐 자정에 종을 울리는 행사를 하였으나 종의 보호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오늘날 새해맞이 타종을 위해 보신각에 걸어둔 종은 성덕대왕신종의 복제품으로, 보신각 동종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기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1]
겉모습
[편집]높이 3.18미터, 지름 2.28미터, 무게는 19.66톤이며, 양식은 쌍두(雙頭) 용뉴(龍紐)로 되어 있고, 종신복(鍾身腹)에는 3조의 굵은 띠를 돌리고 있다. 또한 종구(鍾口)에는 위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2조의 띠를 돌리고 있어 이것이 하대(下帶) 역할을 하는 문양대로 되어 있다.[2]
역사
[편집]보신각 동종은 1468년(세조 14년)에 주조되어 정릉사[3]에 걸려 있었다. 이후 원각사로 옮겨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 종루로 옮겨졌다. 고종 때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되어 보신각종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4]
문화
[편집]조선시대에는 서울의 성문을 열고 닫는 시각을 알리는 기능을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보신각종을 타종하는 행사를 갖는다. 1985년부터는 새로 만든 종으로 타종하고 있다.
사진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옛 보신각 동종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옛 보신각 동종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 보신각 (bosingak)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