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포스 12신
그리스 신화 |
---|
신 |
영웅 |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12신, 또는 도데카테온(그리스어: Δωδεκάθεον < δώδεκα, dōdeka, "열둘" + θεοί, theoi, "신들")은 올림포스 산 정상에서 살고 있는 그리스 판테온의 주역 열두 신을 말한다. 숫자 12는 고대 바빌론에서 통용되던 12천문성좌도와 관계된 것으로 추정된다. 올림포스 12신은 기원전 6세기경부터 그리스 신화에 정착되었으며, 아테네에서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최초로 이 열두 신을 신전에 봉정하였다. 이들에 대한 종교 의식이 처음으로 언급된 고대 문헌은 헤르메스가 등장하는 호메로스 찬가이다. 예술과 시에 표현된 고전적인 구성에 따르면, 올림포스 12신은 제우스, 헤라, 포세이돈, 데메테르, 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아레스, 아프로디테, 헤르메스, 헤파이스토스, 디오니소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는 별개로 로마 신화의 구성은 유피테르, 유노, 넵투누스, 케레스, 미네르바, 아폴로, 디아나, 마르스, 베누스, 메르쿠리우스, 불카누스, 베스타로 이루어져 있다.[1]
그러나 고대에는 이 숫자에 누가 포함되느냐에 따라서 그 구성이 쉽게 바뀌는 유동성을 띄었다.[2] 기원전 400년 경 헤로도토스는 도데카테온을 제우스, 포세이돈, 헤라, 아테나, 헤르메스, 아폴론, 알페이오스, 크로노스, 레아, 카리테스로 구성하였다.[3] 근대 문헌학자 빌라모비츠는 헤로도로스의 열두 신을 따랐다.[4]
헤로도토스는 열두 신 중 한 명으로 헤라클레스를 포함시켰다.[5] 루키아노스 또한 헤라클레스, 아스클레피오스를 열두 신에 포함시켰는데, 이들에게 자리를 양보한 두 신은 설명하지 않았다. 코스 섬에서는 헤라클레스와 디오니소스를 열두 신에 포함시켰으며, 아레스와 헤파이스토스는 제외하였다.[6] 그러나 핀다로스, 아폴로도로스,[7] 헤로도로스는 이것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헤라클레스를 열두 신이 아닌 숭배의 대상 중 한 명으로 보았기 때문이다.[3]
플라톤은 올림포스 열두 신을 일 년의 열두 달과 연관지으며, 마지막 달에는 하데스와 죽음의 영혼의 영광을 기리는 의식을 치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것은 그가 하데스를 열두 신 중 한 명으로 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8] 그러나 하데스는 지하 세계의 신이었기 때문에 이후의 구성에는 점차 제외되었다.[9] 플라톤은 《파이드로스》에서 열두 신을 황도 12궁과 함께 나열하였으며, 이 구성에서 헤스티아는 제외하였다.[10]
헤스티아를 대신하여 디오니소스가 열두 신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며,[9] 헤베, 헬리오스, 페르세포네를 비롯한 다른 신들이 열두 신에 포함되기도 한다. 에로스는 다른 열두 신, 특히 그의 어머니인 아프로디테와 나란히 묘사되어 있기도 하는데, 올림포스 열두 신 중 하나로 보지는 않는다.
올림포스 12신은 제우스가 형제들과 함께 티탄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신들의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갖게 되었다. 제우스, 헤라, 포세이돈, 데메테르, 헤스티아는 모두 한 형제이며, 아테나, 아폴론, 아르테미스, 아레스, 헤르메스, 헤파이스토스는 제우스의 자녀이다. 일부 신화에서는 헤파이스토스를 헤라 혼자서 낳은 것으로 설명한다. 이밖에 제우스로부터 태어났지만 다른 신을 수행하거나 보좌하는 역할을 하는 신들은 올림포스 12신에 포함되지 않았다.[11]
올림포스 12신 구성
고전 올림피안
그리스 이름 | 로마 이름 | 동상 | 주관 | 세대 | 출생 및 정체 |
---|---|---|---|---|---|
제우스 | 유피테르 | 신들의 왕이자 올림포스 산의 지배자, 하늘과 천둥, 정의의 신. | 1세대 | 올림포스 12신의 리더 | |
헤라 | 유노 | 신들과 하늘의 여왕, 여성과 결혼, 양육의 신. | 1세대 | 제우스의 본처이자 누나
모친:레아 | |
포세이돈 | 넵투누스 | 바다의 지배자, 말을 창조한 바다와 지진의 신. | 1세대 | 제우스의 형
모친:레아 | |
데메테르 | 케레스 | 풍요와 농업, 자연, 계절의 신. | 1세대 | 제우스의 내연녀이자 누나 모친:레아 부친:크로노스 | |
아테나 | 미네르바 | 지혜와 기술, 전략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메티스 | |
아폴론 | 아폴로 | 태양신, 광명과 의술, 음악, 시, 예언, 궁술, 진리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레토 | |
아르테미스 | 디아나 | 사냥과 처녀, 달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레토 | |
아레스 | 마르스 | 전쟁과 격분, 증오, 유혈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헤라 | |
아프로디테 | 베누스 | 사랑과 아름다움, 욕망, 다산의 신. | 2세대 | 부친 : 우라노스 모친 : 없음 | |
헤르메스 | 메르쿠리우스 | 신들의 사자, 상업과 체육, 도둑, 목동, 나그네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마이아 | |
헤파이스토스 | 불카누스 | 신들의 대장장이, 불과 대장간의 신. | 2세대 | 부친 : 제우스 모친 : 헤라 혹은 헤라의 단성생식 | |
디오니소스 | 바쿠스 | 포도주포도,풍요의신 | 2세대 | 부친:제우스
모친:세멜레 |
다른 정의
다음은 고전 올림포스 12신 목록에 포함되지 않지만 위에서 설명한 다른 목록에 포함될 수 있는 신들이다.
- 알페이오스 - 강의 신.
- 아스클레피오스 - 의술의 신.
- 카리테스 - 아름다움과 우아함의 신들.
- 크로노스 - 티탄이자, 제우스의 아버지.
- 헤스티아 - 화로의신이자, 제우스의누나
- 하데스 - 죽은 자의 지배자. 저승과 지하 풍요(보석과 귀금속)의 신. 제우스의 맏형.
- 헤베 - 청춘의 신, 술 따르는 자.
- 헬리오스 - 티탄이자, 태양의 화신.
- 헤라클레스 - 그리스 신화의 영웅.
- 페르세포네 - 봄과 죽음의 신, 데메테르의 딸.
- 레아 - 티탄이자, 제우스의 어머니.
올림피안과 가까운 신
- 비아 - 폭력의 화신.
- 크라토스 - 권력의 화신.
- 에일레이티이아 - 출산의 신이자, 헤라와 제우스의 딸.
- 에오스 - 새벽의 신.
- 에리스 - 불화의 신.
- 에로스 - 정욕과 욕망의 신. 아프로디테의 아들
- 호라이 - 올림포스의 관리인.
- 이리스 - 무지개의 화신, 헤르메스와 함께 올림포스의 사자.
- 레토 - 티탄이자,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어머니.
- 모르페우스 - 꿈의 신.
- 무사 - 과학과 예술을 주관하는 9명의 신들.
- 네메시스 - 보복과 징벌의 신.
- 니케 - 승리의 신.
- 판 - 야생, 양치기, 자연, 동물의 신.
- 파이안 - 만물의 치유자.
- 셀레네 - 티탄이자, 달의 신.
- 젤로스 - 경쟁의 신.
- 프로메테우스 - 티탄이자, 앞을 보는 자. 남자 인간을 만들고 불을 나눠 줌
같이 보기
각주
- ↑ 〈Greek mythology〉. 《Encyclopedia Americana》 13. 1993. 431쪽. 〈Dodekatheon〉. 《Papyros-Larousse-Britanicca》 (그리스어). 2007.
- ↑ 스톨, 하인리히 빌헬름 (R. B. Paul 역) (1852). 《Handbook of the religion and mythology of the Greeks》. Francis and John Rivington. 8쪽.
The limitation of their number [of the Olympians] to twelve seems to have been a comparatively modern idea
- ↑ 가 나 〈Dodekatheon〉. 《Papyros-Larousse-Britanicca》 (그리스어). 2007.
- ↑ 빌라모비츠묄렌도르프, 울리히 폰 (1931-1932). 《Der Glaube der Hellenen (Volume 1)》 (독일어). Berlin: Weidmansche Buchhandlung. 329쪽.
- ↑ 헤로도토스, 《역사》, 2.43-44
- ↑ Berger-Doer, Gratia (1986). 〈Dodekatheoi〉. 《Lexicon Iconographicum Mythologiae Classicae》 3. 646-658쪽.
- ↑ 핀다로스, 《올림피안 오데스》, 10.49
- ↑ 플라톤, 《법률》, 828 d-e
- ↑ 가 나 〈Greek mythology〉. 《Encyclopedia Americana》 13. 1993. 431쪽.
- ↑ , 플라톤, 《파이드로스》, 246 e-f
- ↑ 이진성, 그리스 신화의 이해,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