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틀토론:한국의 역사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4년 전 (Kirschtaria님) - 주제: 역사 사이드바

여러 시대에 걸쳐 있는 경우의 서술

[편집]

All7676님이 현대에 임시정부를 후삼국시대에 발해를 추가하였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토론을 해보고자 합니다.

  • 임시정부의 경우는 1919년 설립되어, 1948년 해산하였으나, 주된 활동 기간은 일제강점기였습니다. 한국사에서의 현대를 어디부터로 비정하냐의 문제가 있긴합니다만, 보통 1945년 8월 15일을 기점으로 봅니다. 기간상으로는 3년정도가 겹치기는 하나 이를 틀에서 포함해서 서술해야하는 가는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후삼국시대는 견훤이 후백제를 건국한 900년을 기점으로 하여, 후백제가 멸망한 936년까지를 후삼국시대로 다룹니다.
    • 발해의 경우는 698년 건국하여, 926년에 멸망한 것으로 봅니다.
    • 고려는 918년에 건국하였습니다.
    • 신라는 삼국시대-남북국시대를 거쳐, 후삼국시대에 멸망한 것으로 봅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발해는 남북국시대에 넣는 것으로 충분하며, 마지막 26년간이 후삼국시대와 겹치기는 하나 삼국의 대립에 직접적으로 가담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후삼국시대에 들어가시에는 부족합니다.

시대 구분은 거시적으로 큰 구분을 하는 것이므로, 경계선에 걸친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넣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강철 (토론) 2017년 12월 24일 (일) 17:11 (KST)답변

음, 그말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제생각엔 발해나 임정이 그전시대에 포함되었고, 다음시대에 먼저 멸망했던 국가보다도 오래된 국가(발해의 경우 후고구려보다 국가가 오래유지되었고, 발해를 후삼국시대에 삭제시 통일신라와의 일관성도 문제가됨)가 중복됬다는 이유로 국가가 빠진다면 후삼국시대나 한국사시대같이 시대 자체가 왜곡되어 비춰질 수 있다는 측면이 있어서 그부분도 생각해 보아야할문제인것같습니다.--All7676 (토론) 2017년 12월 24일 (일) 19:17 (KST)답변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양자 토론으로는 결정 짓기 어려운 문제로 보아, 다른 사용자 분들의 의견을 묻기 위해 의견 요청 틀을 답니다. --이강철 (토론) 2017년 12월 24일 (일) 21:48 (KST)답변

동의합니다. 의견개진부탁드립니다.--All7676 (토론) 2017년 12월 24일 (일) 21:57 (KST)답변

All7676님께서 편집하신 이유에 대해서 공감합니다. 특히 임시정부의 경우에는 해방 후 미군정과의 교섭 과정과 분단 과정에서 빠뜨릴 수 없는 존재라고 보기에 그러합니다. 다만 틀에서만큼은 편의를 위해 출발 시점을 게재 기준으로 삼고, 다른 시대로 넘어가는 경우는 반영하지 않는 것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어느 한쪽에 기재되어 있다고 해도, 그 명칭 옆에 기재된 몰락연도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기에 크게 오해하는 경우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2017년 12월 24일 (일) 22:18 (KST)답변
발해의 경우 남북국 시대에만 추가하는 기존 방안을 지지합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경우 현대에 추가하는 방안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현대의 시작을 1945년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1919년 3.1운동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48년에 갑자기 수립된 것이 아니라 1919년 3.1운동으로 임시 정부가 수립되고 오랜 독립운동을 통해 마침내 정식 정부로 수립되었습니다. 미국도 실제 정부가 수립된 날이 아니라 그 전에 영국 식민지로부터 독립선언을 한 날을 미국 역사의 시작으로 보듯이, 대한민국도 "대한독립 만세"를 외친 1919년 3.1운동을 그 역사의 시작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1919년 4월에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정치체제를 '민주공화제'로 명시한 헌법을 제정했고, 이후 초대 대통령으로 이승만을 선출했으며, 입법/사법/행정의 3권 분립을 갖춘 민주주의 정부를 구성했습니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라는 헌법 첫 구절은 1948년이 아니라, 1919년 3.1운동 직후에 만든 헌법에 명시된 문구입니다. 비록 영토와 국민은 일제 식민지 치하에 있었으나, 오랜 독립운동과 미.소 연합군의 도움으로 광복을 하고, 정식 정부를 수립했는데, 그 시작은 "독립 선언"을 한 1919년 3.1운동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1919년 3.1운동과 임시 정부의 수립이고, 현대의 시작 시점도 1919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개인적 의견이었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7년 12월 28일 (목) 04:12 (KST)답변
아사달님께서 그렇게 생각하신다해도 어찌됐든 통상적으로는 현대를 광복 이후라 합니다. 이는 임시정부대한민국의 전신이냐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1월 7일 (일) 09:37 (KST)답변
이강철님께서 잘 써주셨습니다. 현행 유지를 해도 딱히 왜곡해서 인식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8년 1월 7일 (일) 09:37 (KST)답변

보호 안내

[편집]

틀 본문에서 편집 분쟁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3주간 보호하였습니다. — regards, Revi 2019년 9월 6일 (금) 10:27 (KST)답변

위만조선의 추가 제외에 관하여

[편집]

위만이 조선인 혹은 조선계통 사람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한국사에서 위만조선을 빼버러야한다는 논거는 되지 않습니다. 위만의 국적 문제가 위만조선 정권의 민족 정체성 문제와 직결되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위만 조선도 조선이라는 국호나 그 전부터 존재하던 정치 체제, 지배층을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이죠. 수도도 왕검성에 그대로 뒀고요. 더 나아가면 애초에 이 시기에 근대 들어서 확립된 민족 정체성 운운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죠 대표적인 경우 중 하나가 청나라입니다. 당시의 만주족 지배계층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족에게 변발을 강요하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그 자신들의 언어인 만주어도 잊어버릴 만큼 한족에게 완전히 동화됬습니다. 현재 청나라는 중국의 역사로 취급되잖아요. 위만조선도 위만이 중국계건 조선계건간에 자기 스스로가 조선인들의 복식을 하고 입국해서 조선인들의 왕이 됐으니, 그 정체성이야 어찌되었건 상관할 필요 없죠. 어차피 왕이 중국인이였다손쳐도 고조선의 정체성을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다른 의견 있으시면 기탄없이 게재 바랍니다. - Sjun9725 (토론) 2019년 9월 6일 (금) 17:40 (KST)답변

한국사 틀에서 위만조선을 삭제해서는 안 되고, 원래대로 복구해야 합니다. 고조선은 기원전 108년에 한나라의 침공을 받아 멸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요. 그 당시의 고조선이 바로 위만조선입니다. 위만조선에 대한 역사기록은 중국 측 사서에 매우 자세하고 정확하게 나옵니다. 기원전 195년 중국 연나라에 거주하고 있던 위만은 약 1,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였는데, 세력을 기른 후 고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으로 들어와 준왕을 내쫓고 기원전 194년 왕이 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후 위만조선은 진번과 임둔 등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합병하여 영토를 수천리로 확장하였고, 변한(경남 김해시) 지역의 철을 한나라에 파는 중계무역을 통해 크게 번성했습니다. 위만조선의 세력이 강성해지자 한나라는 마침내 위만의 손자인 우거왕 때, 위만조선의 수도인 왕검성을 공격하여 약 1년간 치열한 전투를 벌인 끝에 마침내 기원전 108년 왕검성을 함락시키고, 그 자리에 낙랑군 등 이른바 '한사군'을 설치했습니다. 이런 역사적 사실을 볼 때, 위만조선은 고조선의 후기 역사에 해당하며, 한국사의 일부분으로 보아야 합니다.
위만이 중국 연나라 지역에 살았던 사람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그게 곧 위만이 한족이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당시 연나라는 한족만 살았던 것이 아니라 고조선 유민들이 상당히 많이 살고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역사학계는 위만이 조선으로 망명할 당시에 "상투를 틀고 조선인 옷을 입었다"(魋結蠻夷服)는 기록을 토대로 위만이 조선 유민 출신이라 추측하고 있습니다. 상투는 조선인들의 고유한 머리 모양이며, 한족은 상투를 틀지 않습니다. 결국 위만은 고조선이 연나라 진개의 침입으로 요동 일대 2천리의 넓은 땅을 상실했을 때 그 지역에 남아 연나라 국적으로 살았던 조선인이라고 본 것입니다. 실제로 위만이 고조선의 왕이 된 이후에도 국호를 고치거나 수도를 옮기지 않고 왕검성에 계속 머물러 있었으며, 조선 사람처럼 상투를 틀고 조선의 복식을 입었습니다. 이러한 사항을 종합해 볼 때, 위만조선은 고조선의 연속으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결론적으로 위만조선은 한국사의 일부이며, 한국사 연표에서 삭제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으므로, 예전 틀로 복구하는 것이 맞습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9년 9월 7일 (토) 04:06 (KST)답변
넣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9년 9월 17일 (화) 00:25 (KST)답변
당 토론의 총의에 따라 위만조선이 포함되는 버전으로 되돌렸습니다. — regards, Revi 2019년 9월 17일 (화) 09:15 (KST)답변

틀 형식에 대해

[편집]

@Asadal, 쿠모야: 원래 이 틀은 특수:차이/22513639와 같았으나 2018년 9월 23일에 특수:차이/22513639 편집을 통해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습니다. 해당 편집에 대해 어떤 총의가 있었나요?--Namoroka (토론) 2019년 10월 30일 (수) 00:56 (KST)답변

역사 사이드바

[편집]

한국의 역사 틀을 타 국가의 역사 틀과 같은 양식으로 맞출 것을 제안합니다.Kirschtaria (토론) 2020년 7월 8일 (수) 16:01 (KST)답변

Kirschtaria님이 제안하신 양식은 단순히 묶여 있는 표로서 내용이 많거나 시간적 흐름과 상관 없이 나열할 경우에 효과적일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사처럼 내용이 적으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 과정을 나타내야 할 경우에는, 지금과 같이 열려있는 테이블에 색을 입히는 양식이 시각적인 면에서도 훨씬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굳이 양식을 통일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라별로 더 효율적인 양식이 있다면, 나라별로 따로 채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양식을 유지할 것을 요청합니다. 역으로 타 국가의 역사 틀에서도 한국사 틀과 같은 양식의 적용을 검토해볼 것을 제안합니다. Lazedoth (토론) 2020년 7월 12일 (일) 00:32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