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 에너지
ADM 질량(영어: ADM質量) 또는 ADM 에너지(영어: ADM energy)는 ADM 형식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일종의 해밀토니언의 값이다.[1][2]
정의
편집위의, 로런츠 부호수의 계량 가 주어졌다고 하고, 또한 계량 텐서가 공간의 무한에서 점근적으로 평탄하다고 가정하자.
이에 따라,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그 ADM 질량은 다음과 같다.[2]:(5.1)[3]:252–253[4]:595, (5.13), §5.2.1
여기서
- 은 원점에서 반지름이 인 구면에 대하여 계산되는 적분이다.
- 는 구면에 대한 수직 단위 벡터이다.
- 는 구면의 넓이 원소이다.
- 계수 는 슈바르츠실트 계량의 질량과 비교하여 고정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ADM 운동량(ADM運動量, 영어: ADM momentum)을 정의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2]:(5.2)
고차원 시공간에서도 마찬가지 정의가 가능하다.
성질
편집ADM 에너지-운동량 는 점근적 로런츠 변환에 대하여 4차원 벡터로 변환한다.[2]:§5.2[1]
존재 조건
편집만약 계량이 공간의 무한에서 점근적으로 평탄하지 않다면 (예를 들어, 우주 상수가 존재한다면), 위 적분들은 수렴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원 리만 다양체 가 주어졌으며, 는 유클리드 공간의 부분 집합
와 미분 동형이라고 하자 ( 는 속의 단위 초구). 즉, 이 경우 위 미분 동형 사상에 의하여 좌표계 및 함수 를 정의할 수 있다. 의 ADM 질량이 유한하게 존재할 충분 조건은, 다음 부등식들을 만족시키는 상수 가 존재하는 것이다.[4]:595, (5.14), §5.2.1
여기서 는 인 임의의 상수이며, 는 스칼라 곡률 함수이며, 는 위의 절댓값 적분 가능 실함수들의 집합(즉, Lp 공간의 특수한 경우)이다.
양 에너지 정리
편집양 에너지 정리(陽energy定理, 영어: positive-energy theorem)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5][6]
- ① 우세 에너지 조건을 만족시키고, ② 점근적으로 평탄한 4차원 시공간의 ADM 에너지는 음이 아닌 실수이며,
- ①과 ②를 만족시키며, ③ ADM 에너지가 0인 4차원 시공간은 민코프스키 공간 밖에 없다.
리만-펜로즈 부등식
편집점근적으로 평탄한 3차원 리만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고, (시간 불변 시공간으로 간주하였을 때) 그 ADM 질량이 이라고 하자. 또한, 의 극소 곡면 가운데 제일 바깥에 있는 것의 넓이가 라고 하자. (이러한 극소 곡면은 연결 공간이 아닐 수 있다.) 그렇다면, 리만-펜로즈 부등식(Riemann-Penrose不等式, 영어: Riemann–Penrose inequality)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는 양 에너지 정리의 일반화이다.
역사
편집리처드 루이스 아노윗(영어: Richard Lewis Arnowitt, 1928~2014) · 스탠리 데세르(폴란드어: Stanley Deser, 1931~) · 찰스 미스너(영어: Charles W. Misner, 1932~)가 1959년~1961년에 도입하였다.[7][8][9][10][11][12][13][14][15][16]
양 ADM 에너지 정리는 1979년에 리처드 멜빈 셰인(영어: Richard Melvin Schoen)과 야우싱퉁이 최초로 증명하였다.[17] 이후 1981년에 에드워드 위튼이 순간자를 통한 새 증명을 제시하였고,[18] 이듬해에 토머스 파커(영어: Thomas Parker)와 클리퍼드 헨리 토브스(영어: Clifford Henry Taubes)가 위튼의 증명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보완하였다.[19]
리만-펜로즈 부등식은 1973년에 로저 펜로즈가 물리학을 사용하여 추측하였으며,[20] 2001년에 휴버트 루이스 브레이(영어: Hubert Lewis Bray) · 게르하르트 후이스켄(독일어: Gerhard Huisken, 1958~) · 톰 일매넌(영어: Tom Ilmanen, 1961~)이 수학적으로 엄밀히 증명하였다.[21][22]
각주
편집- ↑ 가 나 Deser, Stanley (2008). “Arnowitt–Deser–Misner energy”. 《Scholarpedia》 (영어) 3 (10): 7596. doi:10.4249/scholarpedia.7596. ISSN 1941-6016.
- ↑ 가 나 다 라 Arnowitt, Richard; Stanley Deser, Charles W. Misner (2008년 9월). “Republication of: The dynamics of general relativity”.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영어) 40 (9): 1997–2027. arXiv:gr-qc/0405109. Bibcode:2008GReGr..40.1997A. doi:10.1007/s10714-008-0661-1. ISSN 0001-7701.
- ↑ Carroll, Sean M. (2003). 《Spacetime and geometry: an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영어). Addison-Wesley. ISBN 0805387323. 2014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Chruściel, Piotr T.; Galloway, Gregory J.; Pollack, Daniel (2010년 10월). “Mathematical general relativity: a sampler”.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7 (4): 567–638. arXiv:1004.1016. Bibcode:2010arXiv1004.1016C. doi:10.1090/S0273-0979-2010-01304-5. ISSN 0273-0979. MR 2721040. Zbl 1205.83002.
- ↑ Dain, Sergio (2014). 〈Positive energy theorems in general relativity〉. Ashtekar, Abhay; Petkov, Vesselin. 《The Springer handbook of spacetime》 (영어). Springer-Verlag. 363–380쪽. arXiv:1302.3405. Bibcode:2014shst.book..363D. doi:10.1007/978-3-642-41992-8_18. ISBN 978-3-642-41991-1.
- ↑ Kazdan, Jerry L. (1982년 6월). “Positive energy in general relativity”. 《Séminaire N. Bourbaki》 (영어) 24 (593): 315–330. MR 689537. Zbl 0496.53043.
- ↑ Pullin, Jorge (2008년 9월). “Editorial note to R. Arnowitt, S. Deser, C. W. Misner, “The dynamics of general relativity””. 《General Relativity and Gravitation》 (영어) 40 (9): 1989–1995. Bibcode:2008GReGr..40.1989P. doi:10.1007/s10714-008-0649-x. ISSN 0001-7701.
- ↑ Arnowitt, R.; Deser, Stanley (1959). “Quantum theory of gravitation: general formulation and linearized theory”. 《Physical Review》 113 (2): 745–750. Bibcode:1959PhRv..113..745A. doi:10.1103/PhysRev.113.745.
- ↑ Arnowitt, R. L.; Deser, Stanley; Misner, C. (1959). “Dynamical structure and definition of energy in general relativity”. 《Physical Review》 (영어) 116 (5): 1322–1330.
- ↑ Arnowitt, R.;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0). “Canonical variables for general relativity”. 《Physical Review》 (영어) 117 (6): 1595–1602. Bibcode:1960PhRv..117.1595A. doi:10.1103/PhysRev.117.1595.
- ↑ Arnowitt, R.;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0). “Finite self-energy of classical point particles”. 《Physical Review Letters》 (영어) 4 (7): 375–377. Bibcode:1960PhRvL...4..375A. doi:10.1103/PhysRevLett.4.375.
- ↑ Arnowitt, R.;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0). “Energy and the criteria for radiation in general relativity”. 《Physical Review》 (영어) 118 (4): 1100–1104. Bibcode:1960PhRv..118.1100A. doi:10.1103/PhysRev.118.1100.
- ↑ Arnowitt, R.;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0). “Gravitational–electromagnetic coupling and the classical self-energy problem”. 《Physical Review》 (영어) 120: 313–320. Bibcode:1960PhRv..120..313A. doi:10.1103/PhysRev.120.313.
- ↑ Arnowitt, R.;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0). “Interior Schwarzschild solutions and interpretation of Source Terms”. 《Physical Review》 (영어) 120: 321–324. Bibcode:1960PhRv..120..321A. doi:10.1103/PhysRev.120.321.
- ↑ Arnowitt, R. L.;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1). “Wave zone in general relativity”. 《Physical Review》 (영어) 121 (5): 1556–1566. Bibcode:1961PhRv..121.1556A. doi:10.1103/PhysRev.121.1556.
- ↑ Arnowitt, R. L.; Deser, Stanley; Misner, Charles (1961). “Coordinate invariance and energy expressions in general relativity”. 《Physical Review》 (영어) 122 (3): 997–1006. Bibcode:1961PhRv..122..997A. doi:10.1103/PhysRev.122.997.
- ↑ Schoen, Richard; Yau, Shing-Tung (1979년 2월). “On the proof of the positive mass conjecture in general relativity” (PDF).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65 (1): 45–76. doi:10.1007/BF01940959. ISSN 0010-3616. 2017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3일에 확인함.
- ↑ Witten, Edward (1981년 9월). “A new proof of the positive energy theorem”.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80 (3): 381–402. doi:10.1007/BF01208277. ISSN 0010-3616. MR 0626707. Zbl 0149.2980.
- ↑ Parker, Thomas; Taubes, Clifford Henry (1982년 6월). “On Witten’s proof of the positive energy theorem”.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84 (2): 223–238. doi:10.1007/BF01208569. ISSN 0010-3616. MR 0661134. Zbl 0528.58040.
- ↑ Penrose, Roger (1973년 12월). “Naked singularitie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영어) 224: 125–134. doi:10.1111/j.1749-6632.1973.tb41447.x. ISSN 0077-8923.
- ↑ Bray, H. (2001). “Proof of the Riemannian Penrose inequality using the positive mass theorem”.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59 (2): 177–267. Bibcode:2001JDGeo..59..177B. MR 1908823. Zbl 01782703.
- ↑ Huisken, G.; Ilmanen, T. (2001). “The inverse mean curvature flow and the Riemannian Penrose inequality”.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59 (3): 353–437. MR 1916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