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어 보조정리
슈어 보조정리(Schur's lemma)는 군 표현론에서 기약 표현 사이의 군의 작용과 가환하는 선형사상은 가역 사상이거나 0이라는 보조정리다.
정의
편집가 환이고, 과 이 에 대한 단순 가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군 준동형 은 가역 사상이거나 상수 함수 0(영 사상)이다. 이 사실을 슈어 보조정리라고 한다.
군에 대한 슈어 보조정리
편집가 군이고, 가 벡터 공간이고, 가 군의 표현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로 인하여 군환 에 대한 가군을 이룬다. 이 때, 가 단순 가군임과 가 기약 표현임은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이 경우 슈어 보조정리에 따르면 두 기약 표현 사이, 군 작용과 가환하는 선형 변환 (가군 준동형 사상)은 가역 사상이거나 영 사상이다. 물론, 두 기약 표현의 차원이 같을 경우에만 가역 사상일 수 있다.
응용
편집슈어 보조정리는 군 표현론에서 다음과 같이 쓰인다. 체 위의 단위 결합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고, -벡터 공간 가 위의 단순 가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자기 사상환
을 생각할 수 있다. 슈어 보조정리에 따라서 는 위의 나눗셈환이다. 이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며, 가 비가산 대수적으로 닫힌 체 (예를 들어, 복소수체 )라면, 그 위의 나눗셈환은 자체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다. 다시 말해, 의 모든 원소와 가환인 위의 선형 변환은 항등 함수의 스칼라배 밖에 없다.
특히, 가 복소수 리 대수 위의 보편 포락 대수라고 하고, 의 복소수 기약 표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슈어 보조정리에 따라 의 카시미르 불변량 (보편 포락 대수의 중심) 는 위에 항등 함수의 스칼라배이다. 따라서, 복소수체 위의 리 대수의 기약 표현은 카시미르 불변량의 값으로 분류된다.
역사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chur, Issai (1905). “Neue Begründung der Theorie der Gruppencharaktere”. 《Sitzungsberichte der Königlich Preuß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905: 406-432.
외부 링크
편집- “Schur lemma”.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Irreducible modul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Schur's representation lemma”.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