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기하학에서 군 스킴(群scheme, 영어: group scheme, 프랑스어: schéma en groupe)은 군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스킴이다. 즉, 대수군의 정의에서 대수다양체를 스킴으로 대체한 것이다.
군 스킴은 스킴 범주의 군 대상으로, 또는 특정한 함자로 정의할 수 있다.
스킴 가 주어졌다고 하자. 위의 군 스킴은 스킴의 범주의 조각 범주 속의 군 대상이다. 즉, 군 스킴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는 -스킴이다.
- 는 -스킴 사상이다. 이는 군의 곱셈에 해당한다.
- 는 -스킴 사상이다. 이는 군의 항등원에 해당한다.
- 는 -스킴 사상이다. 이는 군의 역원에 해당한다.
이들은 군 대상의 공리를 나타내는 가환 그림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스킴 위의 군 스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자
-
이다.
- 는 표현 가능 함자이다. 즉, 가 되는 -스킴 가 존재한다.
여기서
-
는 군의 구체적 범주의 망각 함자이다.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구체적으로, 속의 군 대상 가 주어졌을 때, 표현 가능 함자 는 둘째 정의에 부합한다.
스킴 위의 군 스킴 은 스킴으로서 원점을 제거한 -아핀 직선 이다. 함자로서 이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는 아벨 군 층의 단면군을 뜻하며, 는 구조층 의 가역원군층이다. 특히, 만약 가 아핀 스킴이라면, 그 군 스킴은 계수 로랑 다항식환의 스펙트럼이다.
-
이 경우, 군 이항 연산
-
은 다음과 같은 -결합 대수의 준동형에 대응한다.
-
-
마찬가지로, 항등원
-
은 다음과 같은 -결합 대수의 준동형에 대응한다.
-
-
이는 로랑 다항식환 의 호프 대수 구조에서 유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스킴 위의 일반 선형군 스킴(一般線型郡scheme, 영어: general linear group scheme) 는 함자로서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는 행렬환을 뜻한다. 이 경우 이다.
스킴 위의 군 스킴 는 스킴으로서 -아핀 직선 이다. 함자로서 이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는 아벨 군 층의 단면군을 뜻한다.
특히, 만약 가 아핀 스킴이라면, 이다. 이 경우, 군의 이항 연산
-
은 다음과 같은 환 준동형에 대응한다.
-
-
군의 항등원 사상
-
은 다음과 같은 환 준동형에 대응한다.
-
-
양의 정수 에 대하여, 1의 제곱근 군 스킴(영어: group scheme of th roots of unity) 은 제곱 사상 의 핵이다. 함자로서 이는 다음과 같다.
-
-
특히, 만약 가 아핀 스킴이라면, 이다.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스킴 위의 상수 군 스킴(영어: constant group scheme) 는 스킴으로서 분리합집합 이다 (즉, 위상 공간으로서 에 이산 위상을 준다면 이다). 그 위의 군 스킴의 구조는 의 군 구조로부터 유도된다. 함자로서 이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는 의 연결 성분의 집합이다. 즉, 이는 스킴을 그 연결 성분의 수만큼의 군 직접곱에 대응시킨다.
특히, 가 자명군인 경우, 항등 사상을 갖춘 는 위의 군 스킴을 이룬다. 함자로서, 이는 모든 위의 스킴을 자명군에 대응시킨다.
아벨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스킴 위의 대각화 가능 군 스킴(영어: diagonalizable group scheme) 는 함자로서 다음과 같다.
-
-
만약 가 아핀 스킴이라면, 는 군환 의 스펙트럼이다.
가환환 위의 가환 호프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스펙트럼 는 표준적으로 -군 스킴을 이룬다. 반대로, 위의 모든 아핀 군 스킴은 위의 가환 호프 대수의 스펙트럼과 동형이다. 이 경우, 군 스킴으로서의 연산은 호프 대수로서의 연산과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군 스킴 |
호프 대수
|
곱
|
쌍대곱
|
항등원
|
쌍대항등원
|
역원
|
앤티포드
|
-스킴의 구조 사상
|
항등원
|
대각 사상
|
곱
|
- Waterhouse, William C. (1979). 《Introduction to affine group schemes》.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66.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6217-6. ISBN 978-0-387-90421-4. ISSN 0072-5285. MR 0547117.
- Gabriel, Peter; Demazure, Michel (1980). 《Introduction to algebraic geometry and algebraic groups》 (영어). Amsterdam: North-Holland. ISBN 0-444-85443-6.
- Conrad, Brian. 〈Reductive group schemes〉. 《Autour des schémas en groupes. École d’été “Schémas en groupes”. Volume I》. Panoramas et Synthèses (영어) 42. Société Mathématique de France. ISBN 978-2-85629-794-0. Zbl 06479627. 2016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 Demazure, M.; Grothendieck, A., 편집. (1970). 《Séminaire de géométrie algébrique du Bois Marie 1962–64. Schémas en groupes (SGA 3). Tome 1》.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프랑스어) 151. Springer. doi:10.1007/BFb0058993. ISBN 978-3-540-05179-4. ISSN 0075-8434.
- Demazure, M.; Grothendieck, A., 편집. (1970). 《Séminaire de géométrie algébrique du Bois Marie 1962–64. Schémas en groupes (SGA 3). Tome 2》.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프랑스어) 152. Springer. doi:10.1007/BFb0059005. ISBN 978-3-540-05180-0. ISSN 0075-8434.
- Michel, Demazure; Grothendieck, A., 편집. (1970). 《Séminaire de géométrie algébrique du Bois Marie 1962–64. Schémas en groupes (SGA 3). Tome 3》.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프랑스어) 153. Springer. doi:10.1007/BFb0059027. ISBN 978-3-540-05181-7. ISSN 0075-8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