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0년 11월) |
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여러 동물의 총칭이다. 개과의 동물 중 작은 편에 속하는 동물로, 보통의 개보다 작으며, 좁은 주둥이와 털이 많은 귀가 특징이다.
여우 | ||
---|---|---|
눈위에 누운 붉은여우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개과 | |
속 | ||
|
약 37 종의 동물이 여우로 불리며, 그 중에서 여우속(Vulpes)에 속하는 것은 12 종이다. 가장 흔하고 널리 퍼진 종은 붉은여우(Vulpes vulpes)이지만, 다른 종들도 모든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여우가 농부를 도와서 행복하게 살았다는 중국 동화가 있을 정도로 친숙한 동물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교활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여우 같은 놈'이라고 하는 말이나, 루가의 복음서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로마 제국의 헤로데를 비판한 것처럼 약아빠진 사람을 여우에 빗대기도 한다.
하위 분류
다음 속에 속하는 동물이 여우라고 불린다.
먹이
여우는 잡식성 동물이다.[1][2] 여우의 주식은 주로 물고기와 같은 어류와 무척추동물부터 쥐와 같은 설치류, 도마뱀과 같은 파충류,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 두더지, 풀, 블루베리, 산딸기, 월귤, 물고기, 메추라기, 거위, 꿩, 비둘기, 가재, 게 등 그 밖의 작은 동물들이다. 많은 종은 여러 종을 먹이로 하는 범식 포식자이지만, 게잡이여우와 같은 몇 종은 한 종만을 주로 먹이로 삼기도 한다. 여우의 대부분 종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1kg 정도의 먹이를 섭취한다. 여우는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먹이를 나중에 먹기 위해 나뭇잎, 눈, 흙 아래에 묻는 습관이 있다.
천적
여우는 적응력이 뛰어나서 생존력이 활발하지만 서식지가 꽤 넓어서 천적도 있는 편이다. 여우의 생명을 위협하는 천적으로는 사람과 사냥개, 검독수리와 모기, 벼룩과 작은 진드기, 체체파리와 빈대, 광견병과 파상풍, 울버린과 하이에나, 벌 등이 여우의 천적이다. 영국에서는 여우를 사냥할 때 사냥개를 이용하지만 몽골에서는 여우를 사냥할 때 검독수리를 이용하곤 한다. 여우사냥이 대표적인 게 여우의 천적이다. 가끔은 오소리의 굴을 빼앗아 쓰기도 하고 고양이의 먹이를 빼앗아 먹기도 한다. 그래서 여우는 고양이의 천적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여우
한국의 여우(V. v. peculiosa)는 1970년대를 전후하여 모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다가 2004년 강원도 양구에서 여우 사체가 발견됐다.
2011년 경기도의 개 사육농장 주인이 2006년에 몰래 들여온 여우를 축사에서 교배시킨 여우를 기증했다. 이 여우의 유전자가 1970년 대에 멸종된 토종 여우의 유전자와 일치해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3]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13년 9월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산국립공원에 토종여우 6마리를 방사했다.[4] 2016년에는 자연번식에 성공했다. 2023년 2월에는 90여마리가 활동해, 성공적으로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17마리는 자연에서 번식해 태어난 개체였다.[5]
북한에는 아직 서식하고 있다.
문화 속의 여우
계통 분류
개과 |
| |||||||||||||||||||||||||||||||||||||||||||||||||||||||||||||||||||||||||||||||||||||||||||||||||||||||||||||||||||||||||||||||||||||||||||||||||||||||||||||||||||||||||||||||||||||||||||||||||||||||||||||||||||||||||||
같이 보기
각주
- ↑ Fedriani, J.M.; T. K. Fuller, R. M. Sauvajot, E. C. York (2000년 7월 5일). “Competition and intraguild predation among three sympatric carnivores” (PDF). 《Oecologia》 125 (2): 258–270. doi:10.1007/s004420000448. 2011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Fox, David L. (2007). “Vulpes vulpes (red fox)”.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 ↑ 김형주 (2011년 8월 20일). “돌아온 '토종 여우'…정부, 기증받아 복원 작업”. SBS. 2023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이슬기 (2013년 9월 27일). “멸종위기 토종여우 6마리, 소백산에 방사”. 연합뉴스. 2023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지용수 (2023년 2월 17일). “백두대간에 90여 마리 자연 정착…토종 여우 복원 순항”. KBS. 2023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Lindblad-Toh, Kerstin; Wade, Claire M; Mikkelsen, Tarjei S.; Karlsson, Elinor K.; Jaffe, David B.; Kamal, Michael; Clamp, Michele; Chang, Jean L.; Kulbokas, Edward J.; Zody, Michael C.; Mauceli, Evan; Xie, Xiaohui; Breen, Matthew; Wayne, Robert K.; Ostrander, Elaine A.; Ponting, Chris P.; Galibert, Francis; Smith, Douglas R.; Dejong, Pieter J.; Kirkness, Ewen; Alvarez, Pablo; Biagi, Tara; Brockman, William; Butler, Jonathan; Chin, Chee-Wye; Cook, April; Cuff, James; Daly, Mark J.; Decaprio, David; 외.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7069): 803 in 803–19. doi:10.1038/nature04338. PMID 16341006.
- ↑ Nyakatura, K.; 외. (2012).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BMC Biology》 10 (12). doi:10.1186/1741-7007-10-12.
- ↑ Koepfli, Klaus-Peter; Pollinger, John; Godinho, Raquel; Robinson, Jacqueline; Lea, Amanda; Hendricks, Sarah; Schweizer, Rena M.; Thalmann, Olaf; Silva, Pedro; Fan, Zhenxin; Yurchenko, Andrey A.; Dobrynin, Pavel; Makunin, Alexey; Cahill, James A.; Shapiro, Beth; Álvares, Francisco; Brito, José C.; Geffen, Eli; Leonard, Jennifer A.; Helgen, Kristofer M.; Johnson, Warren E.; o'Brien, Stephen J.; Van Valkenburgh, Blaire; Wayne, Robert K. (2015).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Current Biology》 25 (16): 2158–65. doi:10.1016/j.cub.2015.06.060. PMID 26234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