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wspan=2 | [[1936년]]
| rowspan = 2| {{국기나라|노르웨이}}<br>[[오슬로]]
|| {{이름정렬|라르스|알포르스}} || {{국기나라|핀란드}} || [[헬싱키 대학교]] ([[핀란드]]) || "전체 및 [[유리형 함수]]의 [[역함수]]의 [[리만 곡면]]과 관련된 표면에 대해 연구함연구했음. 새로운 분석 분야를 열었음."<ref name="1936reasons">{{웹 인용|url=https://www.mathunion.org/fileadmin/IMU/Prizes/Fields/1936/index.html |title=Fields Medals 1936 |publisher=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website=mathunion.org}}</ref>
|-
|| {{이름정렬|제시|더글러스}} || {{국기나라|미국|1912}}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국]])|| "일부 고정된 경계에 의해 연결되고 결정되는 [[극소곡면]]을 찾는 것과 관련된 플라토 문제(Plateau problem)에 중요한 작업을 수행함수행했음."<ref name="1936reasons" />
|-
| rowspan=2 | [[1950년]]
| rowspan=2 | {{국기나라|미국|1912}}<br>[[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케임브리지]]
|| {{이름정렬|로랑|슈바르츠}} || {{국기나라|프랑스|1794}} || [[낭시]] 대학교 (Nancy-Université, [[프랑스]])|| "이론 물리학의 [[디랙 델타 함수]]으로부터 착안된 일반화된 함수의 새로운 개념인 [[분포 (해석학)|분포 이론]]을 개발했습니다개발했음."<ref name="1950reasons">{{웹 인용|url=https://www.mathunion.org/fileadmin/IMU/Prizes/Fields/1950/index.html |title=Fields Medals 1950 |publisher=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website=mathunion.org}}</ref>
|-
|| {{이름정렬|아틀레|셀베르그}} || {{국기나라|노르웨이}}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 Viggo"[[비고 Brun의브룬]]의 체(Brun sieve) 방법에 대한 일반화를 발전시켰음. [[리만 제타 함수]]의 0에 대해 주요 결과를 이룩했음. 임의의 산술수열에서 소수에 대한 일반화로 ([[에르되시 팔]]과 공동작업으로) [[소수 정리]]에 대한 기초적인 증거를 제공함제공했음."<ref name="1950reasons" />
|-
| rowspan=2 | [[1954년]]
| rowspan=2 | {{국기나라|네덜란드}}<br>[[암스테르담]]
| [[고다이라 구니히코]] || {{국기나라|일본|1870}} ||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br>[[도쿄 대학]] ([[일본]]), <br>[[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 "조화 적분 이론과 [[켈러 다양체]], 특히 [[대수다양체]]에 대한 수많은 응용에서 주요한 결과를 얻었음. 그러한 [[다양체]]가 [[호지 구조|호지 다양체]]라는 것을 [[층 코호몰로지]]로 증명했음."<ref name="54reasons">{{웹 인용|url=https://www.mathunion.org/fileadmin/IMU/Prizes/Fields/1954/index.html |title=Fields Medals 1954 |publisher=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 |website=mathunion.org}}</ref>
|-
| {{이름정렬|장피에르|세르}} || {{국기나라|프랑스|1794}} || [[낭시]] 대학교 (Nancy-Université, [[프랑스]]) || "구체의 [[호모토피 군]]에 대한 주요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 [[스펙트럼 열]]의 방법을 사용함사용했음. 복소 변수 이론의 주요 결과 중 일부를 [[층 (수학)|층(sheaf)]]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확장함확장했음."<ref name="54reasons" />
|-
| rowspan=2 | [[1958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