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즈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수상자 명단: 표 서식을 변경. |
Sangjinhw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이러한 규정(40세 이하, 4명)에도 불구하고, [[앤드루 와일스]]는 업적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1998년 45세에 예외적으로 필즈상 특별상을 수상했다.
1990년에는 필즈상 최초로 [[물리학자]]인 [[에드워드 위튼]]이 필즈상을 수상하였다.<ref>{{웹 인용|title=Edward Witten |url=https://www.worldsciencefestival.com/participants/dr-edward-witten/ |publisher=World Science Festival |access-date=14 September 2020}}</ref>
2014년 [[마리암 미르자하니]]가 최초 여성 수상자가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탄생… 이란 출신 마리암 미르자하니|url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813500068|출판사=서울신문|저자=|날짜=2014-08-13|확인날짜=2014년 9월 17일}}</ref>
== 수상자 명단 ==
1936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노르웨이, 오슬로
|[[라르스 알포르스]]
|{{FIN}}
|헬싱키 대학교, 핀란드
|하버드 대학교, 미국
|전체 및 유리형 함수의 역함수의 리만 곡면과 관련된 표면에 대해 연구. 새로운 분석 분야를 연 공로.
|-
|[[제시 더글러스]]
|{{USA}}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국
|시티 칼리지 오브 뉴욕, 미국
|고정된 경계에 의해 연결되고 결정되는 최소 표면을 찾는 것과 관련된 플라토 문제에 대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공로
|}
1950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미국, 케임브리지
|[[로랑 슈바르츠]]
|{{FRA}}
|낭시 대학교, 프랑스
|파리 제 7대학, 프랑스
|이론물리학의 디랙 델타 함수에 동기를 부여한 일반화된 함수의 새로운 개념인 분포 이론을 개발한 공로
|-
|[[아틀레 셀베르그]]
|{{NOR}}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비고 브룬의 체 방법의 일반화를 개발. 리만 제타 함수의 0에 대한 주요 결과를 달성. 임의의 산술 수열에서 소수에 대한 일반화와 함께 소수 정리(에르되시 팔과 함께)의 기본 증명을 제공한 공로
|}
1954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고다이라 구니히코]]
|{{JPN}}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도쿄 대학교, 일본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도쿄 대학교, 일본
|조화 적분 이론과 켈러 다양체, 특히 대수다양체에 대한 수많은 응용에서 주요한 결과를 얻었음. 그러한 다양체가 호지 다양체라는 것을 층 코호몰로지로 증명한 공로
|-
|[[장피에르 세르]]
|{{FRA}}
|낭시 대학교, 프랑스
|콜라주 드 프랑스, 프랑스
|구체의 호모토피 군에 대한 주요 결과를 얻었으며, 특히 스펙트럼 열의 방법을 사용했음. 복소 변수 이론의 주요 결과 중 일부를 층(sheaf)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확장한 공로
|}
1958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영국, 에든버러
|[[클라우스 로스]]
|{{GBR}}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영국
|수론의 유명한 문제, 즉 투에-시겔 부등식에서 정확한 지수의 결정을 해결한 공로
|-
|[[르네 톰]]
|{{FRA}}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프랑스
|IHÉS, 프랑스
|'코보르디즘 (Cobordisme)' 이론 창조. 해당 이론은 창조된 지 몇 년 만에 미분 가능한 다양체의 위상에 대한 가장 날카로운 통찰을 이끌어낸 공로
|}
1962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스웨덴, 스톡홀름
|[[라르스 회르만데르]]
|{{SWE}}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 스웨덴
|룬드 대학교, 스웨덴
|편미분 방정식 연구. 특히 선형 미분 연산자의 일반 이론에 기여. 그 문제는 1900년 회의에서 힐베르트 문제 중 하나로 거슬러 올라감.
|-
|[[존 밀너]]
|{{USA}}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스토니브룩 대학교, 미국
|7차원 구체가 여러 가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증명. 이로 인해 차등 토폴로지 분야가 탄생.
|}
1966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소련, 모스크바
|[[마이클 아티야]]
|{{GBR}}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영국
|K-이론에서 히르제부르흐와 공동으로 연구. 복합 다양체에 대한 타원 연산자의 지수 정리를 싱어와 공동으로 증명. 보트와 공동으로 '레프셰츠 공식'과 관련된 고정 소수점 정리를 증명한 공로.
|-
|[[폴 코언]]
|{{USA}}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선택 공리와 일반화된 연속체 가설의 집합 이론에서 독립성을 증명하기 위해 "강제"라는 기법을 사용. 후자의 문제는 1900년 의회의 힐베르트 문제 중 첫 번째 문제.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무국적
|IHÉS, 프랑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프랑스
|웨일과 자리스키의 연구를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대수 기하학의 근본적인 발전에 영향을 미침. K-이론의 아이디어를 도입. (그로텐디크 그룹 및 고리)의 아 ‘도호쿠 종이’이서 상동 대수학에 큰 혁명을 일으킴.
|-
|[[스티븐 스메일]]
|{{USA}}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홍콩 성시 대학, 홍콩
|"차원 n≥5에서 일반화된 푸앵카레 추측을 증명한 미분 토폴로지 연구. n차원 구에 해당하는 모든 닫힌 n차원 다양체 호모토피는 동형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핸들 바디 방법을 도입한 공로.
|}
1970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프랑스, 니스
|[[엘렌 베이커]]
|{{USA}}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트리니티 칼리지, 영국
|겔폰드-슈나이더 정리(힐베르트의 일곱 번째 문제에 대한 해결책)를 일반화했습니다. 이 작업에서 그는 이전에 확인되지 않은 초월적 숫자를 생성했습니다.
|-
|[[히로나카 헤이스케]]
|{{JPN}}
|하버드 대학교, 미국
|교토 대학교, 일본
|차원 ≤ 3에 대해 대수적 다양성에 대한 특이점의 해결에 관한 정리를 증명한 자리스키의 일반화 연구. 모든 차원에서 결과를 증명
|-
|[[세르게이 노비코프]]
|소련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소련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소,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러시아
메릴랜드 대학교, 미국
|위상학에서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미분 가능 다양체의 폰트랴긴 클래스의 위상 불변성에 대해 증명. 톰 공간의 코호몰로지 및 호모토피에 대한 연구
|-
|[[존 그리그스 톰프슨]]
|{{USA}}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플로리다 대학교, 미국
|"W. Feit와 공동으로 모든 비주기적 유한 단순 그룹의 순서가 짝수임을 증명. 톰슨이 이 작업을 확장하여 최소 단순 유한 그룹, 즉 적절한 하위 그룹을 풀 수 있는 단순 유한 그룹을 결정한 공로.
|}
1974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캐나다, 밴쿠버
|[[엔리코 봄비에리]]
|{{ITA}}
|피사 대학교, 이탈리아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소수, 1가 함수 및 지역 비버바흐 추측,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 이론, 편미분 방정식 및 최소 곡면 이론, 특히 고차원에서 번스타인의 문제 해결에 대한 주요 공헌.
|-
|[[데이비드 멈퍼드]]
|{{USA}}
|하버드 대학교, 미국
|브라운 대학교, 미국
|포인트가 일부 유형의 기하학적 개체의 동형 클래스를 매개변수화하는 다양한 모듈러스의 존재 및 구조 문제에 기여. 또한 대수 표면 이론에 몇 가지 중요한 공헌.
|}
1978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핀란드, 헬싱키
|[[피에르 들리뉴]]
|{{BEL}}
|IHÉS, 프랑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유한 필드에 대한 리만 가설의 일반화에 관한 세 가지 웨일 추측의 해를 제공. 대수 기하학과 대수 정수론을 통합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한 공로.
|-
|[[찰스 페퍼먼]]
|{{USA}}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고전적(저차원) 결과의 올바른 일반화를 찾아 다차원 복합 분석 연구를 수정한 몇 가지 혁신에 기여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소련
|모스크바 주립 대학교, 소련
|예일 대학교, 미국
|라이 그룹의 구조에 대한 혁신적인 분석을 제공. 조합론, 미분 기하학, 에르고딕 이론, 역학 시스템 및 라이 그룹에 속함.
|-
|[[대니얼 퀼런]]
|{{USA}}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국
|옥스퍼드 대학교, 영국
|대수학의 주요 문제, 특히 링 이론과 모듈 이론을 공식화하고 해결하기 위해 기하학적 및 위상학적 방법과 아이디어를 성공적으로 채택한 새로운 도구인 고등 대수 K-이론 설계
|}
1982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3" |폴란드, 바르샤바
|[[알랭 콘]]
|{{FRA}}
|IHÉS, 프랑스
|IHÉS, 프랑스
콜레주 드 프랑스, 프랑스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미국
|연산자 대수 이론, 특히 유형 III 요인의 일반 분류 및 구조 정리, 초유한 요인의 자기동형 분류, 단사 요인의 분류, C*-대수학 이론을 엽리 및 미분 기하학에 적용하는 데 기여
|-
|[[윌리엄 서스턴]]
|{{USA}}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코넬 대학교, 미국
|2차원과 3차원에서 토폴로지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분석, 토폴로지 및 기하학 사이의 상호 작용을 보여줍니다. 폐쇄형 3-다양체의 매우 큰 부류가 쌍곡선 구조를 갖는다는 아이디어에 기여
|-
|[[야우싱퉁]]
|{{USA}}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하버드 대학교, 미국
|미분 방정식, 대수 기하학의 칼라비 추측, 일반 상대성 이론의 양의 질량 추측, 실수 및 복소수 몽주-암페어 방정식에 기여
|}
1986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3" |미국, 버클리
|[[사이먼 도널드슨]]
|{{GBR}}
|옥스퍼드 대학교,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영국
스토니브룩 대학교, 미국
|"4-다양체의 토폴로지에 대한 그의 연구, 특히 일반적인 구조와 다른 유클리드 4-공간에 미분 구조가 있음을 보여준 공로
|-
|[[게르트 팔팅스]]
|{{DEU}}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막스 플랑크 수학 연구소, 독일
|산술 대수 기하학의 방법을 사용하여 모르델 추측을 증명
|-
|[[마이클 프리드먼]]
|{{USA}}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스테이션 Q, 미국
|4-다양체의 토폴로지 분석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 4차원 푸앵카레 추측 증명.
|}
1990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일본, 교토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소련
|버킨 연구소, 소련
|시카고 대학교, 미국
|지난 10년 동안 드린펠드의 주요 관심사는 랭글랜즈의 프로그램과 양자 그룹이며, 두 영역 모두에서 드린펠드의 연구는 결정적인 돌파구를 구성했으며 풍부한 연구를 촉발
|-
|[[본 존스]]
|{{NZL}}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미국
|폰 노이만 대수학과 기하학적 토폴로지 사이의 놀라운 관계를 발견. 3공간에서 매듭과 연결에 대한 새로운 다항식 불변량을 발견.
|-
|[[모리 시게후미]]
|{{JPN}}
|교토 대학교, 일본
|교토 대학교, 일본
|하트손 (Hartshorne)의 추측 증명 및 3차원 대수적 다양성의 분류에 대한 그의 작업
|-
|[[에드워드 위튼]]
|{{USA}}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1981년 일반 상대성 이론의 양의 에너지 정리 증명
|}
1994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스위스, 취리히
|[[예핌 젤마노프]]
|{{RUS}}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미국
시카고 대학교, 미국
|스테클로프 수학연구소, 러시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미국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
|-
|[[피에르루이 리옹]]
|{{FRA}}
|파리 도피네 대학교, 프랑스
|콜라주 드 프랑스, 프랑스
에콜 폴리테크니크, 프랑스
|확률 이론에서 편미분 방정식(PD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을 다룸. PDE 영역 내에서 그는 비선형 방정식에서 몇 가지 아름다운 작업을 수행
|-
|[[장 부르갱]]
|{{BEL}}
|IHÉS, 프랑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Banach 공간의 기하학, 고차원의 볼록성, 조화 분석, 에르고딕 이론, 마지막으로 수리 물리학의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과 같은 수학적 분석의 몇 가지 중심 주제를 다룸.
|-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FRA}}
|파리 제 11 대학, 프랑스
|콜라주 드 프랑스, 프랑스
|C∞ 접합 불변량의 완전한 시스템을 증명
|}
1998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독일,
|[[리처드 보처즈]]
|{{GBR}}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대수학, 자동 형태 이론, 수리 물리학(꼭짓점 대수 및 Borcherds의 거짓말 대수 도입 포함), Conway-Norton 밀주 추측 증명 및 새로운 종류의 자동 무한 곱 발견 등의 공로
|-
|
|{{GBR}}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기능 분석 및 조합론에 대한 그의 공헌을 위해 Banach의 두 가지 문제에 대한 솔루션과 소위 Gowers의 이분법 발견을 포함하여 무한 차원 기하학의 새로운 비전을 개발
|-
|[[막심 콘체비치]]
|{{RUS}}
|IHÉS, 프랑스
럿거스 대학교, 미국
|IHÉS, 프랑스
럿거스 대학교, 미국
|안정적인 곡선의 계수 공간에서 Witten의 교차 수 추측 증명, 매듭의 보편적인 Vassiliev 불변량 구성, 푸아송 다양체의 형식적 양자화를 포함하여 대수 기하학, 토폴로지 및 수학 물리학에 대한 공헌
|-
|[[커티스 맥멀런]]
|{{USA}}
|하버드 대학교, 미국
|하버드 대학교, 미국
|Teichmüller 공간의 경계에 있는 커스프 점의 밀도에 대한 Bers의 추측 증명과 Kra의 세타 함수 추측을 포함하여 정형 동역학 및 3-다양체의 기하학 이론에 대한 공헌.
|}
2002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2" |중화인민공화국,
|[[로랑 라포르그]]
|{{FRA}}
|IHÉS, 프랑스
|IHÉS, 프랑스
|Laurent Lafforgue는 양수 특성의 함수 필드에 대한 전체 선형 그룹 GLr(r≥1)에 대한 Langlands 대응 증명
|-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RUS}}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그는 동기 코호몰로지(motivic cohomology)와 A1-호모토피 이론(A1-homotopy theory)을 정의하고 개발했으며, 대수적 다양성에 대한 많은 새로운 코호몰로지 이론을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K-장 이론에 대한 Milnor 추측을 증명
|}
2006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스페인,
|[[안드리오 오쿤코프]]
|{{RUS}}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미국
|확률, 표현 이론 및 대수 기하학을 연결하는 데 기여
|-
|[[그리고리 페렐만]] (취소됨)
|{{RUS}}
|없음
|샹트페테르부르크 수학연구소, 러시아
|기하학에 대한 공헌과 Ricci 흐름의 분석 및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혁신적인 통찰
|-
|[[테렌스 타오]]
|{{AUS}}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미국
|편미분 방정식, 조합론, 조화 분석 및 덧셈 이론에 대한 그의 공헌
|-
|[[벤델린 베러너]]
|{{FRA}}
|파리 제 11대학, 프랑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스위스
|확률론적 로우너 진화,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학, 등각장 이론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
|}
2010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인도,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RUS}}
|제네바 대학교, 스위스
|제네바 대학교, 스위스
국립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러시아
|통계 물리학에서 퍼콜레이션의 등각 불변성과 평면 이싱 모델의 증명
|-
|[[엘론
|{{ISR}}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이스라엘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이스라엘
|에르고딕 이론의 측정 경직성에 대한 그의 결과와 정수 이론에 대한 적용.
|-
|
|{{FRA}}{{VNM}}
|파리 제 11대학, 프랑스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시카고 대학교,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새로운 대수-기하학적 방법의 도입을 통한 자동 형태 이론의 기본 보조정리 증명.
|-
|[[세드리크 빌라니]]
|{{FRA}}
|ENSL, 프랑스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프랑스
|리옹 대학교, 프랑스
앙리 푸앵카레 연구소, 프랑스
|볼츠만 방정식의 비선형 란다우 감쇠 및 평형으로의 수렴에 대한 증명
|}
2014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대한민국,
|[[아르투르 아빌라]]
|{{BRA}}
{{FRA}}
|파리 제 7대학, 프랑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프랑스
IMPA, 브라질
|취리히 대학교, 스위스
IMPA, 브라질
|재정규화(renormalization)라는 강력한 아이디어를 통합 원리로 사용하여 이 분야의 양상을 바꾼 역학 시스템 이론에 심대한 공헌
|-
|
|{{CAN}}
{{USA}}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숫자 기하학에서 강력한 새 방법을 개발하여 작은 등급의 고리를 세고 타원 곡선의 평균 등급을 제한하는 데 적용
|-
|
|{{AUT}}
|워릭 대학교,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영국
|확률론적 편미분 방정식 이론에 대한 뛰어난 공헌, 특히 그러한 방정식에 대한 규칙성 구조 이론의 생성에 기여
|-
|
|{{IRN}}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리만 곡면과 모듈러스 공간의 역학 및 기하학에 대한 뛰어난 공헌
|}
2018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브라질,
|[[코체르 비르카르]]
|{{GBR}}{{IRN}}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영국
|파노 다양체의 유계성의 증명과 극소 모형 프로그램에의 기여
|-
|
|{{ITA}}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스위스
|최적 운송 이론에의 기여와 편미분방정식, 계량기하학, 확률론에의 응용
|-
|
|{{GER}}
|본 대학교, 독일
|본 대학교, 독일
|퍼펙토이드 공간의 도입과 갈루아 표현에의 응용을 통한 p진수체 산술대수기하학의 변형과 새로운 코호몰로지 이론의 개발.
|-
|
|{{AUS}}
|스탠포드 대학교,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미국
|해석적 수론, homogeneous dynamics, 위상수학과 표현론을 통합하여 산술적 대상의 균등분포와 같은 분야의 오랜 문제를 해결.”
|}
2022년
{| class="wikitable"
|개최지
|수상자
|국적
|소속기관 (수상 당시)
|소속기관 (최종)
|업적
|-
| rowspan="4" |핀란드, 헬싱키
|[[위고 뒤미닐코팽]]
|{{FRA}}
|IHÉS, 프랑스
제네바 대학교, 스위스
|IHÉS, 프랑스
제네바 대학교, 스위스
|통계역학에서 상전이에 대한 확률론의 오랜 문제를 특히 3차원과 4차원에서 해결.
|-
|[[허준이]]
|{{USA}}{{KOR}}<!-- https://ja.wikipedia.org/w/index.php?title=%E3%83%95%E3%82%A3%E3%83%BC%E3%83%AB%E3%82%BA%E8%B3%9E&action=edit -->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미국
|호지 이론의 아이디어를 조합론으로 끌어옴, 기하적 격자에서 Dowling-Wilson 추측의 증명, 매트로이드에서 Heron-Rota-Welsh 추측의 증명, Lorentzian 다항식 이론의 개발, 강한 Mason 추측의 증명
|-
|
|{{GBR}}
|옥스퍼드 대학교,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영국
|소수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디오판토스 근사 분야에서 많은 발전을 이끌어낸 해석적 수론에 대한 기여
|-
|[[마리나 뱌조우스카]]
|{{UKR}}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스위스
|E8 격자가 8차원에서 가장 조밀하게 구를 채우는 방법이라는 것을 증명, 관련된 극단 문제와 푸리에 해석의 보간법 문제에 대한 기여
|}
== 역대 수상국가 ==
수상 시 국적 기준. 이중국적은 각 나라에 1개 국기는 현재의 것 (2022년 7월 현재)<ref>{{저널 인용|제목=일본-필즈상 수상국가 한국-미국 공동표기진행|url=https://ja.wikipedia.org/w/index.php?title=%E3%83%95%E3%82%A3%E3%83%BC%E3%83%AB%E3%82%BA%E8%B3%9E&oldid=100619677|날짜=2024-06-05|언어=ja}}</ref>
{| class="wikitable"
|+
!국가
!수상자
|-
|{{USA}}
|14
|-
|{{FRA}}
|14
|-
|{{RUS}}
|9
|-
|{{GBR}}
|9
|-
|{{JPN}}
|3
|-
|{{BEL}}
{{GER}}
{{ITA}}
{{AUS}}
{{IRN}}
{{UKR}}
|2
|-
|{{BRA}}
{{CAN}}
{{FIN}}
{{ISR}}
{{KOR}}
{{NOR}}
{{NZL}}
{{SWE}}
{{VIE}}
{{AUT}}
|1
|}
줄 207 ⟶ 793:
== 외부 링크 ==
{{위키공용분류}}
* {{공식 웹사이트
{{필즈상 수상자}}
|